•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행정수도로서의 세종시 건설에 관한 헌법적 정당성 검토 (Consideration of Constitutional justification concerning construction of Sejong city as administrative capital)

2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17.12
20P 미리보기
행정수도로서의 세종시 건설에 관한 헌법적 정당성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지방자치법학회
    · 수록지 정보 : 지방자치법연구 / 17권 / 4호 / 293 ~ 312페이지
    · 저자명 : 윤수정

    초록

    세종특별자치시는 수도권의 과밀화(過密化) 방지를 위해 구상된 「신행정수도의 건설을 위한 특별조치법」이 헌법재판소의 위헌결정으로 효력을 상실하자, 그 후속대책으로 제정된 「신행정수도 후속대책을 위한 연기・공주지역 행정중심복합도시 건설을 위한 특별법」에 근거하여 건설된 행정중심복합도시이다. 당초 구상되었던 ‘행정수도’ 대신에 ‘행정중심복합도시’가 되면서 이전대상기관들의 규모와 범위가 대폭 줄어들고 그마저도 제외되는 기관들이 있어, 행정의 효율성을 위해 건설되었지만 현실적으로는 행정의 비효율성이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고민들의 근본적인 원인은 2004년 헌법재판소의 신행정수도특별법 위헌결정이라 할 수 있다. 이 결정에서 헌법재판소는 ‘서울이 수도’라는 관습헌법이 존재하므로 수도 이전의 문제는 법률 제정이 아닌 헌법 개정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그러나 수도는 헌법 개념과의 관련성이나 영토(嶺土), 공용어(公用語) 및 국기(國旗) 등과 같이 국가의 정체성을 나타내는 요소와 비교하여 보더라도 헌법사항이라 할 수 없다. 서울이 수도라는 사실 역시 관행일 뿐 이에 대한 국민들의 법적 확신이 포함되었다고 보기도 어렵다. 2004년 헌법재판소의 신행정수도특별법에 대한 위헌결정은 ‘정치의 사법화’의 부정적인 사례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제에도 불구하고 헌법재판소가 스스로 견해를 변경하지 않는 이상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존중되어야 하므로 이를 전제로 그 해결책을 모색하여야 하는데, 여러 논란들을 종식시킬 수 있는 방법은 앞으로 있을 개헌(안)에 수도에 관한 내용을 포함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행정수도의 궁극적인 목적이라 할 수 있는 국가균형발전을 위해 지방자치・분권지향형 헌법개정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국민적 합의를 도출하는 데에 주력해야 한다. 규범은 결국 (국민적) 합의의 결과물이기 때문이다. 세종시로의 행정수도 이전이야말로 그동안 등한시되고 낙후되었던 지역발전의 계기 및 지방분권의 서막(序幕)이 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방향으로 개헌이 이루어진다면 우리 헌법이 지향하고 있는 국가의 균형적인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Sejong Special Self-Governing City declared that the 「Special Measures for Construction of new Administrative Capital」 designed to prevent the overcrowding of the metropolitan area will become invalid after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becomes unconstitutional. It is a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built on the basis of the 「Special Act on the Construction of Administrative City in Yeongi-Gongju Area for follow-up Measures for new Administrative Capital」. As the city became a ‘multi-functional administrative city’ instead of the ‘administrative capital’ originally envisaged, the size and scope of the previous target organizations were drastically reduced and even those were excluded. It is the reality that it is becoming.
    The root cause of these troubles is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n 2004 to prohibit the special act on the new administrative capital. In this decision,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at the customary constitution of Seoul is the capital, and that the transfer of capital should be done through amendment of the constitution, not by legislation. However, the capital is a tool for realizing the value of the Constitution even if it is compared with the elements of important nation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relation with the function of the Constitution, the territory, the official language and the national flag. It can not be.
    The fact that Seoul is a capital city is also a practice, and it is difficult to say that it includes the members, that is, the legal convictions of the people.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n 2004 to disregard the 「Special Measures for Construction of new Administrative Capital」 is a negative example of the ‘judicialization of politics’. However, in spite of these problems, the Constitutional Court should respect the decis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unless the Constitutional Court changes its opinion on its own. Therefore, the solution should be sought on the premise of it. It is to include contents about the capital. In addition, a revision of the local autonomy and decentralization-oriented constitution should be made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nation, which is the ultimate purpose of the administrative capital city.
    To that end, we must first focus on deriving national consensus. The norm is ultimately the result of a national consensus. The relocation of the administrative capital of Sejong city is sometimes an opportunity for the development of the region that was rejected to date and a prelude to decentralization and when the constitutional amendment is done in such a direction, we It will be able to contribute to the balanced development of the country where the Constitution is orien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지방자치법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20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