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화 [세자매]에 나타난 중독과 치유 : 자해, 종교, 술 (Addiction and Healing in the Movie [Three Sisters]: Self-harm, Religion, Alcohol)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22.11
32P 미리보기
영화 [세자매]에 나타난 중독과 치유 : 자해, 종교, 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천신학회
    · 수록지 정보 : 신학과 실천 / 82호 / 411 ~ 442페이지
    · 저자명 : 유상희

    초록

    현대인들이 경험하는 중독의 문제는 알코올 등의 물질-관련장애와 도박 등의 비물질-관련 장애로 구분되어 논의되며, 중독에 대한 연구는 중독자뿐만 아니라 중독자 가정과 자녀들에 대한 연구로 확장되어 왔다. 중독자 자녀들의 경우는 중독으로 인한 방임과 학대의 경험이 동반된다는 점에서 중복피해에 대한 우려가 있으며, 중독과 폭력의 문제가 세대 간 전이 현상을 보인다는 점에서 심각성이 제기되기도 한다. 중독 가정에서 성장한 자녀들이 보일 수 있는 중독과 폭력의 문제가 개별적 주제들로 연구되어 왔다면, 본 사례연구는 영화 <세자매>의 등장인물들을 바탕으로 중독 및 폭력가정의 자녀들이 보일 수 있는 중독의 문제들을 논의한다.
    본 연구는 중독 및 폭력가정에서 성장한 세 자매의 자해행동, 완벽주의를 바탕으로 한 종교적 행위, 문제적 음주를 중독의 관점으로 살펴보고, 이들의 치유를 위한 목회상담의 개입방법을 제시한다. 세 자매는 아버지의 술, 폭력, 외도로 인해 오랫동안 고통받아온 가정폭력 피해자이자 복합외상 생존자이며 중독가정의 동반의존자일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하고, 40대 중년 여성인 세 자매가 치유되지 않은 고통과 상처를 중재하기 위해 자해, 완벽주의, 종교, 술을 사용하고 있다고 논의한다. 하지만 이러한 중독적 행위를 단순히 중독이라는 병명이나 문제적 행위로만이 간주하는 것이 아닌 이들이 경험한 “고통의 질”(a quality of suffering)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고 제시하며, 세 자매의 치유를 위한 목회상담적 제언으로 첫째 원가족에 의한 상처를 표현하고 자책에서 벗어나기, 둘째 생존 전략을 경청하고 회복탄력성을 증진하기, 셋째 복합 정체성을 이해하고 돌보기, 넷째 중독치유를 위한 갈망다루기와 갈등대처능력 향상시키기, 다섯째 개인과 가정의 문제는 교회와 사회의 문제임을 인식하기를 제시한다. 이러한 논의는 중독 및 폭력가정의 자녀들이 보이는 동반의존과 복합 외상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제공하며, 중독 및 폭력가정의 자녀들의 자해행동, 완벽주의와 종교적 행위, 문제적 음주에 대한 사례논의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problems of addiction experienced by modern people are divided into substance-related disorders such as alcohol and non-substance-related disorders such as gambling, and research on addiction problems has focused not only on addicts, but has also extended to addicts’ families and their children. In terms of children of addicts, concerns have been raised about the overlapping risk of neglect and abuse in an environment of addiction and the higher susceptibility of intergenerational transfer of addiction along with violence. While most studies have discussed the development of addiction problems in children exposed to addiction and violence in families in an individual way, this case study uses characters of the movie <Three Sisters> to present the addiction issues of adult-children who grew up in families with addition and domestic violence with an integrative perspective.
    This study, based on the movie <Three Sisters>, reflects on self-harm behaviors, religious activities based on perfectionism, and drinking problem of three sisters who have grown up in a family with addiction and domestic violence, from the point of view of addiction. This study presents that three sisters are considered as victims of abusive family, survivors of complex trauma, and codependents of addicted family, who have been suffered for a long time due to their father’s problems with drinking problem, abusive behaviors, and extramarital relationship, and they who now as middle-aged women try to cope with self-harm, perfectionism, religion, and alcohol in dealing with their life long suffering and unhealed wounded heart. Based on the perspective that their addictive behaviors are not only be simply labeled as pathology and problem behaviors, but also are understood as a means of naming “a quality of suffering” and survival strategies of them, in order for three sisters’ healing based on the pastoral counseling perspective, this study suggests, first, to help three sisters to express their wounded heart and free from self-blame; second, to pay attention to their survival skills and empower their resilience; third, to provide care based on understanding their complex identities; fourth, to improve their coping skills with addiction and conflict; and finally, to recognize the partial responsibility of Korean churches and society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or overcoming addiction. three sisters’ matters not only their own and their family, but also Korean churches and society. The study would be helpful both to understand codependency and complex trauma presented in children of addicted and abusive family and to discuss an intervention skills for adult-children with addiction problems through this cas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신학과 실천”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