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사회적 관행 이론의 세 모델: 비판적 고찰 (Three Models of Social Conventions Theory: An Critical Study)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17.03
38P 미리보기
사회적 관행 이론의 세 모델: 비판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법학논집 / 21권 / 3호 / 197 ~ 234페이지
    · 저자명 : 이현경

    초록

    관행은 일상적인 삶에서 뿐만 아니라 법적 영역에서도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행 그 자체에 대한 본격적인 법철학적 연구는 충분하지 못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 이 글은 우선 기존의 사회적 관행 이론들의 전체 지형도를 조망하고 각 모델의 주요 내용을 살펴본 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구체적으로는, (1)관행을 조정 문제에 대한 해법으로 정의하는 흄과 루이스를 중심으로 한 ‘조정 해법 모델’, (2)루이스의 기본 전제를 거부하며 등장한 대안적 접근들로 길버트, 밀러, 밀리칸의 ‘대항 모델’, 그리고 (3)루이스의 조정 관행을 수용하면서도 그 이론이 설명하지 못하는 새로운 관행 유형들을 제시함으로써 조정 관행 모델의 결함을 보완한 마머의 ‘복합적 관행 모델’이 있다. 세 모델은 각기 고유한 이론적 배경과 해결 과제를 바탕으로 관행의 개념과 본질을 규명하고 있지만, 일부 공통적인 한계도 발견된다. 필자는 기존의 이론들은 사회적 관행에 대한 일반 이론의 차원에서도, 그리고 법이론의 차원에서도 결함이 있음을 지적한다. 나아가 궁극적으로는 관행의 동적 측면과 법이라는 담론 영역의 특수성을 반영한 대안 이론 모델 개발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대안적인 ‘법학적 관행 이론’은 사회적 관행에 대한 일반 이론 차원에서의 개선일 뿐 아니라, ‘법이론으로서’의 특수한 과제도 수행할 수 있어야 한다. 본고에서 탐구한 기존의 사회적 관행 이론의 세 모델에 대한 충실한 분석과 비판적 검토는 대안적인 관행 이론 모델 개발을 위한 중요한 이론적 기초를 제공할 것이다.

    영어초록

    As well as in our daily life, conventions play a significant role in the specific context of legal discourse, in the light of which serious inquiry into convention per se cannot be said to have been sufficiently done in the field of legal philosophy. With this in mind, this article first overviews and critically examines the three major theoretical models that has been advanced on social convention: (a) ‘Coordination Solution Model’ by Hume and Lewis, which defines conventions as a solution to the coordination problem; (b) ‘Alternative Model’ by Gilbert, Miller, Millikan, which is based on a denial of Lewis’ fundamental premises; and (c) ‘Multi-Layered Alternative Convention Model’ by Marmor, which basically accepts the ‘coordination convention’ concept but provides a new perspective on the concept of convention itself to overcome limitation of Lewis’ theory.
    Though the above models explain the concept and nature of convention with different theoretical backgrounds and with respective merits, they are found to have some limitations in common: (i) as general theory on social conventions, and (ii) as ‘legal’ theory. Accordingly, the author stresses the necessity to establish a new model defining the concept of ‘legal convention’, acknowledging the dynamic character of conventions (‘dynamic approach’) and the peculiarity of ‘legal’ discourse. The new ‘Legal Convention Theory’ should also be able to elucidate the normative features of genuine social conventions in depth.
    The critical study in this article on the above existing models seeks to provide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actual development of the new convention theor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법학논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