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큰쿠폰이벤트-통합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세 보디가드 이야기 최근 연구동향 (Recent Research Trends in the Study of the Story of the Three Bodyguards)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23.08
32P 미리보기
세 보디가드 이야기 최근 연구동향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서양고대사연구 / 67호 / 79 ~ 110페이지
    · 저자명 : 곽은성

    초록

    세 보디가드 이야기는 성전 재건 내러티브를 다루고 있는 에스드라스서 안에 포함되어 있다. 에스드라스서는 칠십인역에 속한 책으로 역대하 35-36장, 에스라 1-10장, 느헤미야 7:72[73]-8:13a, 그리고 세 보디가드 이야기로 구성되어 있다. 개신교에서는 외경으로 분류하며, 현재 동방 정교회에서만 두 번째 정경(Deuterocanonical)으로 사용되고 있다. 에스드라스서 자체가 한국 학계에 널리 알려지지 않았기 때문에, 이에 속한 세 보디가드 이야기는 아직 우리말 번역 전문조차 없다. 세 보디가드 이야기는 에스라서에 성전 재건에 큰 역할을 하는 스룹바벨이 주인공으로 펼쳐지는 내러티브다. 세 보디가드 이야기의 전체적인 내용이 구약 성경에서 잘 알려진 인물인 스룹바벨의 이야기이기 때문에 현대뿐만 아니라 고대에도 여러 문헌에서 그 관심도가 발견된다. 예를 들면 어거스틴은 그의 책 『하나님의 도성』에서 세 보디가드 이야기 속의 스룹바벨의 두 번째 연설에서 나타나는 ‘진리’를 메시아적 관점에서 해석하기도 했다. Augustine, City of God, Volume VI: Books 18.36-20, trans. William Chase Greene, LCL 416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1960), pp. 2–5.
    이 외에도 흥미로운 주제가 상당히 많다. 세 보디가드 이야기가 성전 재건 내러티브 안에 왜 포함되었으며 어떤 역할을 하는지, 에스드라스서가 저작된 시점인 헬레니즘 시대에 이 이야기를 읽거나 들었던 독자들에게 어떤 메시지를 전하고자 했는지, 이 이야기 속에 담겨있는 수사적 및 희극적 특징과 유대 문학이 어떻게 통합되어 있는지, 역대기-에스라-느헤미야와의 관계성에 대한 논의 등 다양한 주제에 관한 연구가 가능하다. 본 논문은 이러한 세 보디가드 이야기에 관한 다양한 연구를 진행하기에 앞서 그에 필요한 세 보디가드 이야기 최근 연구동향에 대해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 이야기의 쟁점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 쟁점을 통해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어초록

    The Story of the Three Bodyguards is contained in the book of 1 Esdras, which deals with the narrative of the rebuilding of the Temple. 1Esdras belongs to the Septuagint and consists of 2 Chronicles 35-36, Ezra 1-10, Nehemiah 7:72[73]-8:13a, and the Story of the Three Bodyguards. It is classified as an apocryphal in Protestant circles, and is currently used as one of the deuterocanonical books only in the Eastern Orthodox Church. Because the book itself is not widely known in Korean academia, the full text of Korean translation does not exist. The Story of the Three Bodyguards is a narrative in which Zerubbabel, who plays a major role in rebuilding the temple in the Book of Ezra, is the main character. Since the entire story of the three bodyguards is the story of Zerubbabel, a well-known figure in the Old Testament, there are quite a few interesting themes related to it.
    Why was the Story of the Three Bodyguards included in 1 Esdras? What is the role of the story in consideration of the wider context of 1 Esdras? What is the message of the story? How can we understand the rhetorical and comedic features in the story? What is the significance of the story in relation to Chronicles, Ezra, and Nehemiah? In order to discuss these issues, first, an overview of the book of 1 Esdras and the story of the Three Bodyguards are required. Therefore, through this paper, I would like to provide recent research trends for research on the story of the Three Bodyguards before proceeding with various studies on the Story. In addition, I will suggest several research issues based on the study of recent research trends.
    Towards this purpose, in Chapter 2, I will lay out an overview of the genre, formation process, and date of the book of 1 Esdras. In Chapter 3, I will look at the structural analysis and main contents of the story of the Three Bodyguards. In Chapter 4, I will discuss various perspectives on the genre, language, formation process, and purpose of the Story of the Three Bodyguards. In the last chapter, based on Chapters 2-4, I will discuss various research topics on the Story of the Three Bodyguards related to the Septuagint studies. This will contribute not only to Korean academia but also to international Septuagint academ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서양고대사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1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4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