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洪世泰 <金英哲傳>에 나타난 세 가지 暴力과 문학사적 의미 (The Three Types of Violence and Meaning of Literature History in Kimyoungchul-Jeon by Hong Setae)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16.06
26P 미리보기
洪世泰 &lt;金英哲傳&gt;에 나타난 세 가지 暴力과 문학사적 의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중앙어문학회
    · 수록지 정보 : 어문론집 / 66권 / 61 ~ 86페이지
    · 저자명 : 김용기

    초록

    이 글은 홍세태의 <김영철전>을 대상으로, 17세기 동아시아 전란이 조선, 명, 청 삼국의 백성들에 끼친 폭력성과 문학사적 의미를 드러내는데 목적을 두었다. 논의 결과 다음과 같은 세 가지 폭력성과 문학사적 의미를 추출할 수 있었다.
    첫째는 중원 강대국(명·후금)이 조선에 가한 군사적 폭력이다. 특징적인 것은 명나라가 조선에 가한 군사적, 정치적 폭력성은 미약하게 처리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 비해 조선이 청나라의 군사적 폭력성 때문에 받는 피해는 개인으로부터 관리, 조정에 이르기까지 직접적이고도 구체적으로 나타난다. 이는 작가와 당시의 인식이 숭명배청 의식에 입각해 있었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라고 보았다.
    두 번째는 조선 조정이 백성들에게 가한 정치적 폭력이다. 이는 주인공 김영철이 국가에 공을 세웠음에도 불구하고 보상은커녕 반복적으로 물질적, 정신적, 육체적 피해를 입는 것으로 나타난다. 그리고 김영철이 큰 공을 세웠음에도 80세가 되어 죽어서야 군역에서 면제되는 것은 그 정칙적 폭력의 극한을 보여준다.
    세 번째는 전쟁의 피해자인 김영철이, 삼국의 처자에 가한 정신적 폭력성이다. 이는 김영철이 여진의 아내와 두 아들, 그리고 명나라 등주 아내와 두 아들에 대한 정신적 폭력을 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조선 아내와 네 명의 자식들에게 가한 정신적 폭력성도 간접적으로 나타난다. 이렇게 입체적으로 드러난 정신적 폭력성은, 전란이 국가나 특정 개인의 물질적, 육체적 훼손뿐만 아니라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서 가해지는 정신적 폭력의 아픔을 강조한 것이라고 보았다.
    마지막으로 <김영철전>의 이러한 폭력성은 개인사에 걸쳐서 다양한 중세 디아스포라의 양산과 문제점을 보여주고 있는 문제작이라는 점을 드러내었다. 이런점에서 <김영철전>은 <최척전>과 함께 전란으로 야기된 민중들의 현실적 삶의 문제와 아픔을 잘 그려낸 수작이라고 평가할 만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aims to reveal how the violence of the East Asian war in the 17th century affected the people of the Joseon, Ming, and Qing dynasties, and how this violence was interpreted in historical literature. Specifically, Kimyoungchul-Jeon, written by Hong Setae is a work of particular significance for understanding the politics of the time. The researcher will discuss three types of violence and their significance in literary history.
    The first discussion is about the military violence that the powerful nations Ming and Hugeum committed on Joseon. The military and political violence that Ming committed towards Joseon was handled in a distinctively weak manner. In contrast, the damage caused by Qing violence manifested directly and concretely among the common people, government officials, and the royal court. This was the result of the fact that both the writer’s and common people’s thinking of the time was grounded in a particular saying: “Worship Ming and Exclude Qing.” The second discussion is about the military violence that the court of the Joseon dynasty committed on the common people. The hero of Hong’s book, Kimyoungchul, didn’t receive a reward for his efforts, and repeatedly suffered from material, psychological, and mental damage, all in spite of his contribution to the country. He was exempted from military service when he was eighty years old, even though he made a contribution. This is a commentary on the extremity of the political violence.
    The third discussion is about the victims of the war, and Kimyoungchul’s mental violence towards his wives and children, who were from three different countries (two sons from Yeojin, a wife and four sons from Joseon, and a wife and two sons from Ming. It is revealed indirectly that he offered to permit his wife and four sons from Joseon to commit these acts of mental violence instead. This offering emphasizes the results of the pain caused by war, both materially and physically, as well as the lasting but invisible mental violence.
    Lastly, the violence in Kimyoungchul-Jeon elevates the conflict between these diasporic communities above personal histories. For this reason, Kimyoungchul-Jeon, along with Choichuk-Jeon can be considered the two works that truly dealt with the reality of pain caused by war on a personal leve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어문론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