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블라인드 채용은 조직 유효성을 향상시키는가? 조직구성원의 DEI(다양성, 공정성, 포용성) 인식을 중심으로 (Does blind hiring improve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Focusing on DEI (diversity, equity, inclusion) awareness of organizational member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24.03
26P 미리보기
블라인드 채용은 조직 유효성을 향상시키는가? 조직구성원의 DEI(다양성, 공정성, 포용성) 인식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경영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경영학회지 / 37권 / 3호 / 403 ~ 428페이지
    · 저자명 : 이채민, 유태영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2017년 7월 공공기관에 도입된 블라인드 채용의 효과성에 대하여, 옹호이론인 다양성 이론과비판이론인 신호이론에 근거하여 실증 검증하고자 한다. 준정부기관 한 곳의 최신 인력데이터(2022년 1월 기준)를블라인드 채용과 기존 채용으로 입사한 그룹으로 나누어 1) 그룹 간 조직의 다양성(D, diversity) 수치 그리고공정성(E, equity)과 포용성(I, inclusion)에 관한 인식의 차이가 유의한지 비교하고, 2) 블라인드 채용이조직구성원의 DEI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3) 블라인드 채용이 조직 구성원의 만족도나 이직의향 등 개인 차원의조직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다. 첫째, t-test분석 결과 기존 채용과 블라인드 채용그룹 간 다양성 수치그리고 공정성과 포용성에 대한 인식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다만, 기존 채용 입사자와 블라인드채용 입사자의 숫자가 유사한 30대만을 별도로 분석하였을 때, 블라인드 채용 입사자에게서 수도권 대학 비율이감소하였고, 성에 대한 포용성 인식(차별인식)이 개선되었다. 둘째, 회귀분석 결과 블라인드 채용은 조직구성원의다양성 수치와 포용성 인식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만족도, 이직의도, 적극적 참여 등의 조직유효성 변수에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상기와 같은 본 연구의 실증 결과는 기존의 블라인드 채용과 관련한연구가 주로 이론적 고찰이나 제언 방식으로 이루어졌던 점을 보완하였으며, 다양성 이론과 신호이론이 블라인드채용 정책을 적절히 설명하고 있는지 이론적 논의의 실증적 기반을 제공하고, 더 나아가 블라인드 채용정책에 어떤보완점이 필요하며 향후 블라인드 채용으로 입사한 직원들의 인사관리에 어떻게 접근할 것인지에 대한 실무적시사점을 제시한다.

    영어초록

    The Korean government announced the guidelines for blind recruitment in July 2017 and in response to the government’s policy, public organizations removed personal information from the job application form during the recruitment process and prohibited the provision of personal information of applicants to interviewers. This study analyzes and empirically evaluates the effectiveness of the blind recruitment policy in terms of diversity theory, which is an advocating theory for the blind system, and signaling theory, which is a criticizing theory against the blind recruitment system.
    Accordingly, the public organizations are implementing blind recruitment. However, as of 2023, about six years after the introduction of blind recruitment, there is much debate about the effectiveness of blind recruitment, with previous studies claiming positive or negative effects.
    Using the human resources data of one quasi-governmental agency with about 500 employees, this study divided the data into two groups of employees who are recruited by the blind system or the traditional recruitment process. With the data, this study comparatively examined 1) the statistical difference of 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 between the two groups, 2) whether the blind recruitment affects employee’s perceptions about their organization’s DEI, and 3) whether the blind recruitment changes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at the individual level, such as employee satisfaction or turnover rate. The results of study show that, first, when comparing the perceptions about diversity, equity, and inclusion between two groups of those recruited by the traditional processes or by the blind system,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group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the blind recruitment has positive effects on the employees’ perceptions of their organization’s DEI, particularly on diversity and inclusion. However, the blind recruitment does not show any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uch as overall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and job commitment, contrary to the theoretical expectations such as diversity claim.
    The empirical results of this study complement the existing studies on the blind recruitment system which were mainly conducted in the form of theoretical considerations or proposals, by providing an empirical basis for the theoretical discussions on whether diversity theory and signaling theory adequately explained blind recruitment policies. Furthermore, it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by highlighting the points which are necessary to improve the blind recruitment policy and to guide the HR management of employees hired through the blind recruitment.
    Despite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described above,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future study tasks are as follows. First, in analyzing the impact of blind recruitment on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rely on qualitative survey results without quantitative data. Future research will be able to improve the strictness of analysis results by utilizing qualitative organizational performance data. Second, because the implementation period of blind recruitment was not long enough, there was a large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people who joined the agency through traditional recruitment and those who joined through blind recruitment, resulting in a deviation in the respondent sample.
    Additionally, because the analysis was conducted at one quasi-governmental agency, there are data limitations. Lastly, the perception of organizational members will be different between those who have worked for 1~2 years immediately after blind recruitment and those who have worked for more than 5 years, and this time difference may have an impact on other organizational cultur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경영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1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