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신체성, 일상성, 실천성, 공공성 : 성호 이익의 심학(心學) (Phisicality, Dailiness, Practicability, Publicness: The Mind-and-Heart Theory of Seongho Yi Ik)

4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14.12
47P 미리보기
신체성, 일상성, 실천성, 공공성 : 성호 이익의 심학(心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실학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실학연구 / 28호 / 77 ~ 123페이지
    · 저자명 : 김선희

    초록

    이 논문은 ‘심학’으로서의 성호 철학의 이론적 지형과 지향을 검토하려는 것이다. 성호는 다양한 층위에서 心을 논의한다. 여기에는 사단칠정론이나 미발론과 같은 전통적인 주제 뿐 아니라 심신(心腎)설, 뇌낭(腦囊)설 등 신체와 연결된 이론 층위가 포함되어 있다. 성호는 신장(腎臟) 역시 심의 물리적 근거로 보려는 이만부의 입장에 반대해왔으나 서학의 삼혼설과 뇌낭설을 접한 뒤 심장 이외의 다른 인체 기관을 통해서도 심의 활동을 설명할 수 있음을 인정하게 된다. 성호는 지각과 판단, 도덕적 실천의 주체인 심을 초월적 차원에서 설명하기보다 인체의 기관과 작동을 통해 설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경향은 미발설에도 나타난다. 성호는 전통적으로 형이상학적 영역으로 여겨졌던 미발을 일상적인 감각 지각과 그에 따른 앎까지 포함하는 것으로 확장한다. 성호에게 이발의 경계는 의식 여부, 리에 대한 형이상학적 지각 여부가 아니라 和의 여부다. 일상적 인식과 판단은 여전히 미발에 속하며 오직 윤리적 판단과 결단이 있을 때 이를 이발로 여기는 것이다. 결국 성호는 미발, 이발을 심과 성의 관계가 아니라 지각과 도덕적 실천의 관계로 파악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그는 사칠론에서 이 도덕적 실천의 마음을 公의 차원으로 규정함으로써 마음의 기원보다 그 실질적 작동의 문제에 주목한다. 이런 관점에서 본다면 성호의 심학은 마음의 형이상학적 근원성이나 우주에 대한 포괄성, 가치 인식의 즉각성을 표현하는 말이 아니라 지각, 사려, 판단, 도덕적 실천 등 다양한 분기와 계기로 분화되는 인식과 도덕적 실천의 과정을 의미할 것이다. 성호는 형이상학적이고 이념적으로 선언된 性에서 물리적 토대와 구체적 작동의 방식을 포괄하는 구체적인 心으로 논점을 전환한 것이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is aimed at examination of the theoretical topography and orientation of philosophy of Seongho Yi Ik. Seongho deals with the traditional Confucian subject of xin[心] from various perspectives. It includes not only traditional themes such as Four-Seven Debate and the theory of weifa[未發; not yet stirring], but also physical level like heart-kidney theory[心腎說], brain-pocket theory[腦囊說], and so on. He had been against the heart-kidney theory of Lee, Man-bu(李萬敷) which regarded kidney as another physical basis of xin just as heart, but he came to acknowledge that the activities of xin could be explained through another organs of the body besides heart. Seongho tries to explain xin, which is an agent of cognition, judgment and moral practice, through organs and operation of human body rather than its transcendental dimension. The trend is also found in his theory of weifa. He extends the concept of weifa which was traditionally regarded as being in the metaphysical domain, to including sensory perception of everyday life and its data. For him, the boundary of yifa[已發; already expressed one’s feelings] is whether or not xin is in the state of he[和; harmony], not whether xin perceives something or recognizes Li[理] metaphysically. He regards sensory perception of everyday life and its data as the part of weifa, and only regards something with moral judgment and decision as the part of yifa. Consequently, he tries to consider the relationship between weifa and yifa as the one between cognition and moral practice, not Xin and Xing[性]. Furthermore, he focuses on the matter of actual operation of the moral practical xin, rather than its origin, by defining the Xin in terms of the public dimension[公]. In this respect, his theory of Mind-and-Heart does not mean metaphysical origin of Xin or its embracement of universe, but the process of cognition and moral practice of Xin, which would be divided into perception, consideration, judgment, moral practice and so on. He changes his point from metaphysical and ideologically declared xing to concrete xin including its physical basis and concrete process of its oper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실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