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장자의 심성관과 이상적 인간 (Chuang Tzu's view of Xin(心), Xing(性), and the Real Man)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17.04
18P 미리보기
장자의 심성관과 이상적 인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새한철학회
    · 수록지 정보 : 철학논총 / 88권 / 2호 / 235 ~ 252페이지
    · 저자명 : 신순정

    초록

    본 논문은 장자에서의 심(心), 성(性), 정(情)으로 나타나는 심성론 및 심성론의 의미와 구조를 통해 확보될 수 있는 이상적 인간에 대해 밝히고자 하였다. 세계와 우주 앞에 선 인간의 문제란 결국은 자아에 대한 자각으로 귀결된다는 전제하에 자아란 결국 자신의 마음과 몸을 떠나 상정하기 어려운 것이라 보았다. 그러므로 자아의 중심구조로서의 심(心), 성(性), 정(情), 및 몸[形]의 관계가 장자에서 어떻게 나타나는지 밝히고자 한 것이다.
    장자가 인간이해의 근간으로서 제시한 심성관계는 「내편」에서는 심(心)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심은 진재(眞宰)로서의 심(心)과 시비ㆍ희노애락의 정(情)에 의해 영향 받는 심(心)이라는 이중구조를 지닌다. 또한 장자는 성(性)에 대해 자연성[天]으로 덕에 합치하는 의미 및 「외편」ㆍ「잡편」에서의 성(性)의 의미로서는 ‘본성을 닦는다’는 의미도 사용하였다. 그러므로 성(性)에는 닦아야 할 대상으로서의 부정적인 의미가 포함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것은 장자가 정(情)을 어떻게 보느냐와 연관이 있다. 정(情)은 사물이나 자연의 실정 및 사람이 느끼는 정서ㆍ감정으로서의 인정(人情)으로서 사용되었고, 인정에는 시비·희노애락에 의한 유정(有情)과 시비·희노애락에 좌우되지 않는 무정(無情)의 이중적 의미의 정(情)이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정(情)은 인간이 몸을 지니고 태어났다는 사실에서 비롯되는 천성이다. 이러한 유정ㆍ무정은 심(心)에 상존하고 있으며, 장자는 진인(眞人)을 통해 무정의 존재를 드러낸 것이다. 결국 시비·희노애락에 의한 정(情) 및 인간의 몸[形]의 구속에 대한 벗어남이 심(心)의 본성으로서의 덕(德) 체득에 필수적인 것이다.
    장자는 정(情)과 몸[形]의 제약으로부터 벗어남을 통해 인간은 오히려 자유로움을 지닌 도덕인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즉, 삶의 내외적 제약을 넘어서서 즐길[樂] 줄 아는 인간을 무하유지향에서 소요하는 인간으로 보여주었다. 결국 시비·희노애락의 유정(有情)은 참된 지식의 확보라는 점에서 방해되는 요소로 작용하고, 이러한 정(情)의 측면이 오히려 정신(精神)과의 관계 속에서 이해될 때 무정(無情)의 심성이라는 진인의 단계가 가

    영어초록

    This paper purposed to study about The structure and meaning of Chuang-Tzu's view of Xin(心), Xing(性), and Perfect Man, especially about Chuang Tzu showed that The opportunity of enlightenment(覺) make us to know the real mind. So Chuang Tzu showed the dual structure and meaning of Xin(心) and emotion(情). The emotion(情) has two kind of meaning, first is having emotion(有情) and second is not having emotion(無情).
    So Chuang Tzu suggested that we can approught by gaining of not having emotion(無情)., because having emotion(有情) made us lose our real mind(心). We can get this real mind(心) through not having emotion(無情). The emotion(情) is a kind of emotion, and it is some state that contains pleasure. And this pleasure is unbounded by any physical, social, and spiritual. So Chuang Tzu seek for the serge that the real man(眞人).
    Then Chuang-Tzu thought that if we free from the knowing of Things by linguistic and sensual understanding. It can reach not the phenomenal world but the true exist.
    So Chuang-Tzu thought If we want to stray these limit, we have to forget out self and body. Then we can reach the true knowledge by enlightenment and real freedom. The enlightenment, self-awareness are based on Tao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논총”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5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