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A study on a Typological System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Place Identity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1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22.04
12P 미리보기
A study on a Typological System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Place Identity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 / 17권 / 3호 / 11 ~ 22페이지
    · 저자명 : 서동진, 김주연

    초록

    (Background and Purpose) Users who experience a contemporary city are demanding to experience a space with new contents based on spontaneous needs that is different from the classification and characters of ready-made spaces so far. A place reinforces its identity by creating various contents in the place including human psychological, mental, and emotional parts from a city image and an atmosphere, identity of a place, personality and differentiation of a place, and various experiences that citizens unconsciously feel in their daily life. From the point of view, this study is a basic study for the reconstruction of human-oriented place identity, and its purpose is to examine the types and the system of place identity based on the formation structure and elements of place identity. (Method) Although a city has achieved quantitative growth according to the diverse needs and activities of people, the reality is that its place identity is not valued due to universality, uniformity, and similarity. Therefore, as a basic study for the reconstruction of human-oriented identity, it conducted a theoretical study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then a qualitative study to analyze it. It attempts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a place through the concept of space and place, and the process of place-making of space,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nd structure of sense of place and placeness that constitute place identity. It tries to derive types of place identity and a system that can change and develop in various ways by identifying the formation structure, elements, and characters of place identity. (Results) It examined the types of place identity through its formation structure and elements in a contemporary city, and it derived a typological system of place identity with various combinations and configurations such as physical property of placeness, identity of a place itself, identity of spatial contact and sense of place centered on human experience, human identity with a place, and identity of human contact that appears through an interaction such as human feelings, emotions, attitudes, and behaviors about a place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place identity. (Conclusions) This study identified the type of place identity through its formation structure and elements, and derived the typological system by dividing them into the identity of place itself and the human identity of the place with various elements such as spatial classification, formation structure, experience process, experience state, difference in degree, and sensory results. It is expected that the typological system of place identity, such as identity of spatial contact, human identity with a place, and identity of human contact, is extended in a various way due to the typological system, temporality, reflection of the times, and variable facto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논문집”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