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十二運星과 陽順陰逆의 상관성에 대하여 - 사주명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12 Unseong(運星) and Yangsoon-eumyeok(陽順陰逆) - Focusing on Saju-Myeongli(四柱命理) -)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4 최종저작일 2016.10
22P 미리보기
十二運星과 陽順陰逆의 상관성에 대하여 - 사주명리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동양학 / 65호 / 125 ~ 146페이지
    · 저자명 : 김계성

    초록

    본고는 기를 기반으로 하는 동양철학 전반에서 사용하는 십이운성의 순행과 역행에 대한 상관성을 살펴본 것이다. 기존학계에서는 십이운성이 오행에 따라 순행하는 관점에 이의가 없으므로, 오행을 음양으로 구분했을 때음간의 역행에 대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였다. 그 문제점을 크게 셋으로 분류하였는데, 이를 한마디로 말하자면 고전에서 음간의 역행하는 이치를 정확하게 거론하지 못하는 데에서 문제가 파생되었다는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양포태는 이론적인 완성도가 높다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하도낙서의 원리라든가 계절이 순환하는 이치뿐만 아니라 지장간으로 따져볼 때에도 양간은 이치에 부합한다. 다만 음간의 역행에는 오류가 보이는데 그 원인 중의 하나는 고전에서 정확한 이치로 설명하지 못한 데서 제기된 문제라고 본다. 이 음간의역행이 불합리한 것처럼 보이는 현상은 본말의 관계로 볼 때 말단의 문제일 뿐이므로 음포태가 근본적으로 잘못되었다고 할 수는 없다. 그 근본이란 ‘음양의 순역관계’에서 살펴보듯이 하도낙서의 원리와 천체의 운행에있다. 또한 음양의 작용이 달라지는 것을 대대의 관계를 이용하여 풀었는데 역학계몽 의 ‘음양호근(陰陽互 根)’이 그것이다.
    음간 역행설을 제시하였다. “갑목이 기로서 시작하는 ‘장생[亥水]’으로부터 기가 질로 변하여 을목이 되고 쇠퇴하여 죽어서 ‘묘[未土]’에 들어간다면 이후의 단계는 ‘절’로 순환과정이 단절되기 때문에 을목은 어쩔 수 없이 묘[미토]에서 되돌아 나와 다시 운동을 시작해야 하는데 이곳이 ‘午火’라고” 볼 수 있겠다. 또 그것을 운용할 때에는, 사주팔자에서 천간에 어떤 오행이 음양으로 나뉘지 않고 어느 한쪽만 있을 때에는 양포태를 적용하지만, 만약 천간에 음양으로 나뉘어 동시에 드러나 있다면 양간과 음간을 구분하여 음간은 음포태를 적용시켜야 한다고 본다.

    영어초록

    This paper examines the relation between the direct motion and the retrograde motion of 12 Unseong(十二運星), which are used in Eastern philosophy in general based on Gi(氣). As there are no objections in the existing academic circles to the viewpoint that the 12 Unseong(十二運星) go in order following Five Elements(五行), the problems of the retrograde motion of Eumgan(陰干) when Five Elements(五行) were classified into Eum-Yang(陰陽) were to be solved. The problem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main ones, and in a word, these problems can be said to have resulted from the fact that the antique books don’t exactly present the principle of the retrograde motion of the Eumgan(陰干).
    As everyone knows, it cannot be denied that the theoretical completeness of Yangpotae(陽胞胎) is of a high level. Yanggan(陽干) also accords with logic when discussed through Jijanggan(地藏干) as well as in the principle of Hado-Nakseo(河圖洛書) and the logic of seasonal recursion. Yet, the retrograde motion of Eumgan(陰干) looks like an error seems, whose main reason lies in the insufficient explanation in the antique books with exact reasons. The phenomenon that this retrograde motion of Eumgan(陰干) appears unreasonable is just the matter of minority in terms of the relation of means and ends, so Eumpotae(陰胞胎) cannot be said to be fundamentally wrong.
    The basis is, as in 'the relation of the direct motion and the retrograde motion of Eum-Yang(陰 陽)’, the principle of Hado-Nakseo(河圖洛書) and the movements of celestial bodies. In addition, the changes in the effects of Eum-Yang(陰陽) were investigated using successive relations, and ‘Eum-Yang-Hogeun(陰陽互根)’ of Yeokhakgyemong(易學啓蒙) corresponds to them.
    The theory of Eumgan(陰干)’s retrograde movement was p ropos ed. “When it’s t rue that f rom ‘Jangsaeng[Haesoo](長生[亥水])’ where Gapmok(甲木) begins as Gi(氣), Gi(氣) turns into Jil(質), becomes Eulmok(乙木), declines, dies and enters into ‘Myo[Mito](墓[未土])’, the following step is ‘Jeol(絶)’, and because the circulation process becomes cut off, Eulmok(乙木) has no choice but return from Myo[Mito](墓[未土]) and resumes its movements, and this can be regarded as ‘Ohwa[午 火].’” Moreover, as for its management, when one of Five Elements of Cheongan(天干) in Sajupalja(四柱八字) is not divided into Eum(陰) and Yang(陽), but only one part exists, Yangpotae (陽胞胎) is applied. However, if one is divided into Eum(陰) and Yang(陽) in Cheongan(天干) and they are exposed simultaneously, Yanggan(陽干) and Eumgan(陰干) need to be separated and Eumpotae(陰胞胎) should be applied to Eumgan(陰干).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