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1980년대 중반 한국 소설에 나타난 섬의 공간적 상징성 연구 - 시선과 권력의 역학 관계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patial symbolism of Island in the mid 1980s Korean novels - Focused on dynamic relationship of sight line and authority)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4.09
45P 미리보기
1980년대 중반 한국 소설에 나타난 섬의 공간적 상징성 연구 - 시선과 권력의 역학 관계를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전남대학교 호남학연구원
    · 수록지 정보 : 감성연구 / 9호 / 69 ~ 113페이지
    · 저자명 : 정유미

    초록

    본 논문은 1980년대 중반 한국 소설 속에 나타난 ‘섬’의 공간적 상징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하며, 1986년도에 발표된 세 작품, 문순태의 「안개섬」과 이청준의 「섬」, 그리고 현길언의 「흔들리는 어둠」을 분석 대상으로 한다.
    먼저 작품 속에서 섬은 ‘고립’와 ‘완벽’이라는 두 특성을 동시에 지닌 공간으로서, 인물들의 욕망의 대상으로 나타난다. 「안개섬」과 「섬」에서 인물들은 섬을 완벽한 도피의 공간으로 삼는 동시에 동경의 대상으로 삼는다. 그들은 섬을 갈망하며, 그것의 실재에 다가서기 위한 노력을 기울인다. 그러나 섬은 환상과 실재의 경계, 욕망과 불안・두려움의 경계에서만 나타날 뿐 결코 실재로서 인물들에게 경험되지는 않는다. 두 작품 속에서 섬은 인물들이 ‘속해있는’ 어떤 곳이 아니라 인물들이 ‘바라보는’ 곳이며, 섬이라는 공간은 끊임없이 유보됨으로써 ‘존속’한다.
    「흔들리는 어둠」에서는 위의 두 작품과는 달리 섬에 ‘속한’ 인물들의 이야기를 다룬다. 작품 속에서 주로 다루고 있는 섬 안의 권력 관계는 유토피아의 건설에 대한 욕망과도 역시 긴밀하게 맞닿아 있다. 위의 작품과 달리 섬을 인물들이 ‘바라보는’ 공간이 아니라 ‘속해있는’ 공간으로 그리고 있는 셈이다. 섬 안의 공동체는 암묵적인 지배 체제 및 합의된 규범 속에서 존속되는데, 이 때 바다는 공동체를 가능케 하는 규범과도 같은 존재로 해석된다. 공동체에 평화가 유지되는 동안, 바다는 외부의 위협으로부터 공동체를 지키는 견고한 보호막으로 기능한다. 그러나 합의된 규범에 문제가 생기면, 그것은 곧바로 지배 체제에도 균열을 가져오며 공동체를 무너뜨리는 원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때의 바다는 더 이상 보호막이 아닌, 섬에서의 탈출을 가로막는 빗장이 된다.
    결론적으로, 섬과 뭍의 관계 혹은 섬과 바다의 관계를 중심으로 분석했을 때 세 작품은 모두 동일하게 시선과 권력의 역학 관계를 다루고 있다는 것을 첫 번째로 알 수 있다. ‘섬’은 단순한 공간적 배경이 아닌, 그 자체로 권력의 문제를 다루는 상징적 소재로 기능하고 있는 것이다. 두 번째로, 「안개섬」과 「섬」은 갈망의 대상으로서의 섬이라는 공간을 환상성 속에서 다루며 끊임없이 유보시킴으로써 존속시키고 있는 반면 「흔들리는 어둠」은 섬 안에 형성된 공동체의 문제를 직접적으로 다루고 있다. 그러나 결론적으로 그 세계는 자체적인 규범의 균열로 인해 파열되고, 그들이 꿈꾸던 유토피아의 건설 또한 묘연해지고 만다. 그들이 꿈꾸던 유토피아는 사실 민중의 입장에서 보면 디스토피아와도 같은 세계였다.
    1980년대 중반을 생각해본다. 폭압적 현실 속에서 희망을 말하는 것이 쉽지 않았던 시대에, 작가들은 희망을 유보시킴으로써, 혹은 지배 권력이 꿈꿨던 유토피아의 가능성을 무참히 꺾어버림으로써 나름대로 시대에 대응했던 것이다. 80년대 전체로 연구 범위를 확대했을 때 본고에서 다루는 주제에 부응하는 수많은 작품들이 있을 터, 그에 대한 세밀한 연구는 후속 과제로 남겨두도록 하겠다.

    영어초록

    This thesis aims to analyze that spatial symbolism of island in 1980 Korean novels, especially focused on Moon Soon-tae’s 「Island of Haze」, Lee Cheong-jun’s 「Island」, and Hyeon Kil-eon’s 「Shaky Darkness」.
    First of all an island has its own both complete and isolated place, it becomes object of fictional character’s desire. In the 「Island of Haze」 and 「Island」, characters desire to island as the perfect place that they could escape for. So that place was yearning object to them and they do their best for approach to actual island. But when they closed to there that desire was frustrated had turned into anxiety and fear. In these texts, island is not only place that characters belong to, but also place that characters gaze to. When characters face to island as isolated place, the subject of sight line is the land and then island is recognized as a object. There is a subtle distinction of relationship according to angle of sight line.
    Unlike two texts, 「Shaky Darkness」 focused on characters belong to island. And focused on authority in the island instead of relation of island and land. That is closely associate desire of construct Utopia. The community in the island continue to exist on the tacit governance system, and the sea is strong protective shield that protect community members from outside threat. But when the concerted rules come up against, that crate crack to governance system and cause a break community. And that time, the sea is no longer protective shield, just become a bolt that block the escape from island.
    To conclude, three texts are equally deal with relation of sightline and authority when we analyze these texts focused on relation of island and the land or island and the sea. Island is not only spatial background, but also symbolic material to treat authority. There will be our succession subject that analyze this theme attach to reality of society, and study about various symbolic undertone of ‘island’ in novel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1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