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섬주민기본소득제 도입을 위한 탐색적 연구 -전라남도를 사례로- (An exploratory study on the introduction of basic income guarantee for island residents -A case study of Jeollanam-do province-)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21.12
30P 미리보기
섬주민기본소득제 도입을 위한 탐색적 연구 -전라남도를 사례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도서문화』 / 58호 / 205 ~ 234페이지
    · 저자명 : 박성현, 최조순

    초록

    본 연구는 오늘날 섬지역의 현실에서 섬주민기본소득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그 실행방안을 탐색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의 범위를 전국 섬의 65%를 보유하고 있는 전라남도로 제한하여 섬주민을 대상으로 기본소득의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섬주민기본소득제는 섬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인구소멸과 소득감소, 삶의 질 저하 등 복합적 문제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오늘날 섬지역은 공간적 제약 및 급격한 인구고령화에 따른 지역 재생산성 등의 문제로 인하여 지속가능성을 담보하기 어렵고, 인구 유입 촉진 및 섬 거주에 대한 공익적 가치의 지속 측면에서 일정 수준의 소득보장책인 섬주민기본수당제는 필요하다.
    섬주민기본소득제는 시행의 우선순위가 높은 지역을 1차 정책대상으로 설정하고, 이에 대한 성과평가 후 점증적으로 대상지역을 확대하는 형태로 운영하는 것이 적절하다. 정책대상은 연륙교 등의 내륙과의 접근성이 개선된 섬을 제외한 220개의 유인도로 총 46,805명으로 설정하였다. 인구소멸지수가 낮은 지역을 1단계로 시작으로 하여 3단계에는 모든 시․군의 섬지역으로 확대하는 방법을 설계하여 섬주민 개인당 월 10만원(지역화폐)을 지급하는 방식으로 설계하였다. 이러한 방식으로 1단계 3개 군의 17,936명의 주민이 대상이 되어 연 215.2억원이 소요되고, 2단계 7개 군의 39,166명의 주민이 대상이 되어 연 469.9억원, 3단계 10개 시․군의 46,805명의 주민이 대상이 되어 연 511.6억원이 소요된다. 모든 섬 주민이 대상이 되는 3단계의 예산은 2021년 전남 총 예산액의 0.6% 수준으로 재정적 부담이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섬주민기본소득제의 도입을 통해 커먼스(commons)의 재발견, 지속가능한 경제와 자급모델의 개발,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한 정책조합 탐색 등의 과업들로 확산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영어초록

    This study suggested the necessity of the basic income system for the people residing in islands under the current situation and explored the implementation plan.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is study limited the spatial scope to Jeollanam-do, which accounted for 65% of South Korea's islands, and evaluated the possibility of social experimentation for the islanders in Jeollanam-do.
    The basic income system for the people residing in islands was initiated to more actively respond to complex issues such as demographic extinction, income decrease, and uninhabited islands for the residents of islands. It is difficult to guarantee the sustainability of island regions due to problems such as spatial restrictions and regional reproductive ability due to rapid population aging. In terms of facilitating population inflow and continuing the public value of island residents, the basic income system for the people residing in islands, which secures a certain level of income, is necessary.
    It is appropriate to establish the area with high priority for implementation as the primary policy target for the basic income system for the people residing in islands and expand the implementation gradually after evaluating the performance in the primary policy target area. This study targeted 46,805 subjects living in 220 inhabited islands after excluding islands with improved accessibility to inland due to bridges and other means. This study designed to start to implement the system in areas with a low demographic extinction index (stage 1) and cover all islands in the region (stage 3) and planned to pay KRW 100,000 per person. According to this plan, stage 1 targets 17,936 residents of three counties and costs KRW 21.52 billion per year, stage 2 targets 39,166 residents of seven counties with a budget of KRW 46.99 billion per year, and stage 3 covers 46,805 people of ten cities and counties and requires KRW 51.16 billion per year. The budget for stage 3, which would cover all islanders, accounted for 0.6% of Jeollanam-do's annual budget for 2021. Therefore, the financial burden would not be large. It is hoped that the introduction of the basic income system for the people residing in islands can be expanded to other tasks such as the rediscovery of the commons, the development of a sustainable economy and self-sufficiency model, and the exploration for the policy mix to secure sustainabil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도서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8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