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감화원이 있는 섬-영화 <해연>(1948)과 남한 초기 소년 수용시설 (Island with Reformatory School-Film Haeyeon(Seagull) and Correctional Institutions for Juvenile Delinquents in Early South Kore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21.08
32P 미리보기
감화원이 있는 섬-영화 &lt;해연&gt;(1948)과 남한 초기 소년 수용시설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구보학회
    · 수록지 정보 : 구보학보 / 28호 / 491 ~ 522페이지
    · 저자명 : 이화진

    초록

    이 논문은 기존연구가 주목해온 건국 서사의 프레임을 넘어서 영화 <해연>(1948)을 접근하는 다양한 길을 모색하고자 한다. <해연>은 1930년대 이후 비행소년을 소재로 한 영화적 계보 안에 위치되는 영화로서, 해방 전후에 한반도에서 상영되었던 비행소년 소재 영화들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무엇보다 이 영화는 남한 초기 비행소년의 급증과 소년 수용시설의 설립 등 제작 당시의 구체적인 사회적 사실과 관련되어 있다. 이 논문은 <해연>을 감화원 소재 영화로서 접근하고, 부랑아와 비행소년을 ‘순애의 훈육’으로 교화한다는 명분으로 정당화된 감화원의 재현 양상을 당대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관련해 검토한다. 우선, 해방 직후 비행소년 및 소년 수용시설 문제를 에드워드 J. 플래나간(Edward J. Flanagan)의 방한을 즈음해 형성된 ‘플래나간-보이스 타운-영화 <소년의 거리(Boys Town)>’의 연관성과 더불어 검토한다. 다음으로, <해연>의 제작 배경을 해방 전후 한반도에서 상영되었던 비행소년 소재 영화들과의 관계에서 추적하고, <해연>의 감화원을 남한 초기 소년 수용시설의 설립 및 확충과 연관해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영화에서 서사의 두 축을 이루는 교사와 원생을 중심으로 ‘순애의 훈육’이라는 감화 교육의 이상 및 그 실현과 관련된 영화의 재현을 분석하고, 다른 비행소년 소재 영화나 남한 초기의 연극이나 영화와 비교해 이 영화의 특징을 설명한다. 이를 통해, 이 논문은 <해연>이 인도주의적 담론과 치안 담론이 착종된 남한 초기의 소년 수용시설 담론과 연결되는 영화이며, 해방 후의 수용시설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하는 역사적 장소라고 주장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n attempt to find various ways to approach the film Haeyeon (Seagull)(1948) beyond the frame of the nation-building narrative that existing researches have been focusing on. Haeyeon is a film located within the cinematic genealogies about delinquent boys since the 1930s, especially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films based on juvenile delinquents, which were screened on the Korean Peninsula before and after liberation. Moreover, the film is related to specific social facts at the time of production, including the surge of juvenile delinquents and the correctional institutions for juvenile delinquents in early South Korea. This paper approaches Haeyeon as a film about reformatory school and examines the representation of correctional institution justified under the pretext of enlightening the vagrant and the delinquent boys into “discipline of genuine love” in relation to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time. First of all, it considers the issue of vagrants and delinquent boys and correctional institutions for juvenile delinquents immediately after liberation, along with the connection of the “Flanagan-Boys Town-the film Boys Town” formed around Edward J. Flanagan’s visit to South Korea. Next, it traces the film’s production background in relation to the juvenile delinquency films screened on the Korean Peninsula, and examines the reformatory school in Haeyeon in relation to the establishment and expansion of correctional institutions in early South Korea. Finally, it analyzes the reenactment of the film Haeyeon regarding the ideal and practices of the “discipline of genuine love” between teacher and student who form the two pillars of the narrative, and explains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lm compared to other juvenile delinquency films or early South Korean plays and films. In doing so, the paper argues that Haeyeon is a film linked to the early South Korean discourse on correctional institutions for juvenile delinquents, which is a complex intersection of humanitarian and security discourse, and is a historical place to rethink the post-colonial detention facilit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구보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8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