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무속적 해원 공간으로서의 섬 -이청준 『신화를 삼킨 섬』을 중심으로- (Island as a Shamanic Space for Liberation -Focusing on Lee Cheong-jun’s Novel The Island that Swallowed Myths-)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24.06
28P 미리보기
무속적 해원 공간으로서의 섬 -이청준 『신화를 삼킨 섬』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국립목포대학교 도서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도서문화』 / 63호 / 7 ~ 34페이지
    · 저자명 : 김개영

    초록

    본문에서는 이청준 『신화를 삼킨 섬』를 중심으로 4ㆍ3의 비극은 섬의 자생적 한계에서 비롯되었고, 이에 대한 극복은 기억을 영속화하는 무속적 해원 방식에 기대고 있음을 논증하고자 했다. 섬의 자생적 한계란 육지부의 지배욕망에 의해 양분되어 대리전을 치를 수밖에 없는 상황을 말한다. 이는 고려조 김통정과 김방경의 대립, 근대 들어서는 좌우 대립이 그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텍스트에서는 4.3 희생자를 둘러싼 청죽회와 한얼회의 갈등이 서사의 한 축을 이룬다. 이러한 대립과 갈등은 섬 공간이 가진 환경적 특성, 고립과 단절이라는 속성으로 인해 육지부보다 더 치열한 형태로 전개된다. 섬 공간의 폐쇄적 특성은 각 마을마다 좌정한 당신(堂神)에도 영향을 미치는데, 이들은 대부분 초월계나 육지부에서 패퇴하여 추방된 신들이다. 이 신령들은 자신의 처지나 다름없는 섬사람들의 선택에 의해 마을에 좌정하게 된다. 당신을 모시는 심방을 비롯해 섬사람들은 섬을 탈주하고자 하지만 결국은 섬 공간을 떠나지 않는다. 그 이유는 섬의 자생적 한계를 받아들이면서도 육지부 권력이 미치지 못하거나 그 권력을 교란하는 제3의 영역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 영역에서는 전면적 부정의 방법론이 통용되는데, 육지부의 기획에 의해 만들어진 권력/저항의 구도가 무력화된다. 그 공간은 로고스적 성격과 대별되는 미토스적 성격을 발휘하는 곳으로 신화가 내면화된 영역이다. 이곳에서는 굿이라는 무속적 제의를 통해 섬사람들의 해원(혹은 구원)이 이뤄지고 4ㆍ3의 (수행적) 진실이 현현된다. ‘풀이’는 두 가지를 모두 구현하는데 풀어내기를 통한 기억하기의 방식으로 섬 특유의 신화성을 복원하여 로고스적 세계-육지부의 지배욕망-을 넘어선다.

    영어초록

    In the text, I tried to argue that the tragedy of ‘the 4ㆍ3 Incident’(the Jeju 4ㆍ3 Uprising and Massacre) originated from the island's self-sustaining limitations, and that overcoming this relies on a shamanic method of liberation that perpetuates memories. The island's natural limitations refer to a situation in which it is divided by the mainland's desire for domination and has no choice but to fight a proxy war. Representative examples of this include the conflict between Kim Tong-jeong and Kim Bang-gyeong in the Goryeo Dynasty, and the conflict between left and right in the modern era. In the work, the conflict between Cheongjukhoe and Haneolhoe surrounding the 4ㆍ3 Incident’s victims forms one axis of the narrative. These confrontations and conflicts develop in a more intense form than on the mainland due to the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and isolation and disconnection of island spaces. The closed nature of the island space also affects the gods seated in each village, and most of these are gods who were defeated and exiled from the transcendental world or the mainland. These spirits sit in the village by the choice of the islanders, who are in the same situation as themselves. The islanders, including ‘Simbang’(Jeju’s shaman), who worships God, try to escape the island, but in the end they do not leave the island space. The reason is that, while accepting the island's self-sustaining limitations, there is a third area that is beyond the power of the mainland government or that disrupts its power. In this area, the methodology of total denial is used, and the structure of power/resistance created by the land ministry's plan is neutralized. That space is a place where Mithos characteristics, which are distinct from Logos characteristics, are demonstrated and is an area where myth is internalized. Here, the liberation (or salvation) of the islanders is achieved through a shamanic ritual called ‘Gut’, and the (performative) truth of the 4ㆍ3 Incident is revealed. ‘Puri’ embodies both, and by restoring the island’s unique mythology as a way of remembering through unraveling, it goes beyond the logos world – the desire for domination by the landowner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