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金光明經』 三身說에 대한 元曉의 이해 ‒ 慈恩基와 淨影慧遠과의 비교 고찰을 통하여 ‒ (A Comparison of the Views of Wonhyo, Cien Ji and Jingying Huiyuan on the ‘Three Buddha Bodies’ as Presented in the Golden Light Sutra)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7.06
28P 미리보기
『金光明經』 三身說에 대한 元曉의 이해 ‒ 慈恩基와 淨影慧遠과의 비교 고찰을 통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불교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불교학 / 82호 / 7 ~ 34페이지
    · 저자명 : 이수미

    초록

    대승불교의 대표적 불신론이라고 할 수 있는 三身說은 여러 경전에 설해져있지만 그 명칭과 설명은 경전에 따라 차이가 있다. 호국경전으로 잘 알려져있는 『金光明經』은 삼신을 설하는 대표적 경전들 중 하나로서 여러 동아시아 논사들의 주목을 받았다. 이 경전에 설해진 삼신설에 대한 해석은 논사들의 사상적 입장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금광명경』 삼신설에 대한 해석의 차이점을 통해 논사들 간의 사상적 차이점을 살펴볼 수 있다. 元曉 (617-686)의 『금광명경』 의 주석인 『金光明經疏』 는 일실되어 현존하지 않지만, 일본 삼론승 간교(願曉, 835-871)의 『金光明最勝王經玄樞』등 고대 일본 승려들의『금광명경』 주석에 원효소의 인용문이 포함되어 있고, 현존하는 원효의 저술에 산발적으로『금광명경소』가 인용되어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잔간들을 바탕으로 상대적으로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은 원효의 『금광명경』 삼신설에 대한 입장을 고찰하고, 이 원효의 입장을 慈恩 基(632-682)와 淨影慧遠(523-592)의『금광명경』삼신설에 대한 해석과 비교한다. 이를 통해 이 세 논사들의 삼신론에 대한 해석의 상위성을 살펴보고 나아가 이러한 삼신론해석의 상위성이 그들의 사상적 입장과도 연결되어 있음을 고찰한다.

    영어초록

    The theory of the “three Buddha bodies” (Skt. trikāya 三身) is a well-known doctrine of Mahāyāna Buddhism. However, Buddhist scripture accounts of this theory show a wide range of variation. The Golden Light Sutra (Skt. Suvarṇaprabhāsottama-sūtra, Ch. Jinguangming jing, K. Geumgwangmyeong gyeong 金光明經)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scriptures that discusses this theory. Many East Asian exegetes paid attention to this theory as it was presented in the Golden Light Sutra, but their interpretations of it differed according to their doctrinal positions.
    This article explores the Silla exegete Wonhyo’s 元曉 (617-686) position on the theory of three Buddha bodies by comparing his interpretations of the Golden Light Sutra to Cien Ji’s (慈恩基 632-682) and Jingying Huiyuan’s (淨影慧遠 523-592). Although Wonhyo’s commentary on the Golden Light Sutra, the Geumgwangmyeong gyeong so (金光明經疏), no longer exists, the Japanese monk Gangyō 願曉 (835– 871) cites a significant part of Wonhyo’s text in his own commentary on the sutra, the Konkōmyō saishō ō kyō gensū (金光明最勝王經玄樞). By comparing Wonhyo’s commentary to Cien Ji’s and Jingying Huiyuan’s, this article ultimately aims to bring about a better understanding of Wonhyo’s scholastic position within the contemporary dynamics of the East Asian Buddhist tradi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불교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4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