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경주 구황동 塔址의 石塔材 고찰: 異型石塔說에 대한 再論을 중심으로 (Study on Stone Pagoda Material of Guhwangdong Pagoda Site : Focused on re-discussion about the theory of different style in stone pagoda)

3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5.10
32P 미리보기
경주 구황동 塔址의 石塔材 고찰: 異型石塔說에 대한 再論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불교미술사학회
    · 수록지 정보 : 불교미술사학 / 20권 / 7 ~ 38페이지
    · 저자명 : 김지현

    초록

    경주 구황동 탑지에는 분황사 석탑의 초층탑신에 감실과 함께 구비된 금강역사상 판석과 유사한 금강역사상 판석 4개와 통일신라시대 일반형 석탑의 部材(이하 일반형 석탑재)인 갑석재와 옥개석 2개 등이 있다. 그리고 주변에서는 안산암석재와 와편 등이 확인되고 있다. 殘存한 이들 석탑재를 바탕으로 구황동 탑지에조성되었던 석탑의 형식을 추정하는 견해는 크게 두 가지 정도로 구분된다. 분황사 모전석탑과 같은 형식으로 이해하는 경우와 모전석탑이 아닌 특이하고 변형된석탑 즉, 모전석탑 방식과 일반형 석탑의 형식이 혼합된 異型石塔으로 보는 것이다. 특히, 후자는 안산암석재와 금강역사상 판석 그리고 일반형 석탑재가 동일한석탑의 부재로 사용되었다고 생각한다. 이에 반해 본고는 구황동 탑지에 있는 금강역사상 판석과 일반형 석탑재가 동일한 석탑의 부재가 아님을 연구한 글이다.
    다시 말해 금강역사상 판석은 안산암석재와 함께 분황사 모전석탑과 동일한 형식으로 조성된 탑부재이며, 일반형 석탑재는 이와는 별개인 일반형 석탑의 부재임을 추론한 글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구황동 탑지에 있는 금강역사상 판석과 일반형 석탑재의 현상및 일제강점기 당시의 정황을 분석하여 금강역사상 판석은 원래 구황동 탑지에있었고, 일반형 석탑재는 구황동 탑지에 유입되었을 가능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큰 일반형 석탑재만으로 별개의 일반형 석탑이 구성될 수 있음을 제기하였다. 일반형 석탑은 대개 갑석의 탑신받침석과 옥개석 5단받침석의 규모가 비슷한 크기로 조성되는데, 구황동 탑지의 일반형 석탑재 간에서 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이들 석탑재의 크기, 비례, 양식적 특징을 중심으로 통일신라시대 일반형 석탑과의 비교․분석을 하였다. 그 결과 구황동 탑지의 일반형 석탑재는 9세기 이후 제작된 일반형 석탑의 부재로 판단되었다. 이는 구황동탑지의 금강역사상 판석에서 像의 제작시기로 추정되는 7세기 중․후반과 시기적 차이를 보여 동일한 석탑의 부재로 파악하는 것은 再考할 필요가 있다.
    게다가 구황동 탑지의 금강역사상 판석의 치석수법은 분황사 석탑과 매우 흡사한데, 금강역사상의 크기와 감실 上面의 상인방석이 높일 곳의 너비와 감실 開 口部의 크기까지 비슷한 것을 확인하였다. 기단부에서 확인되는 石列의 크기(650cm×650cm)는 분황사의 초층탑신받침석과 비교되는 크기이기도 하다. 이 모든 현상과 주변에서 수습되는 안산암석재의 존재를 통해 7세기 중․후반, 구황동탑지에 분황사 모전석탑의 형식을 띤 석탑이 조성되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이 규모를 참작하고 현재 잔존하는 일반형 석탑재와 그 크기를 살펴볼 때 모전석탑과 일반형 석탑이 혼재된 이형석탑으로 판단하는 것은 무리가 따른다.

    영어초록

    There are 4 images of Vajrapani flagstones similar to those in the tabernacle of first body in Bunhwangsa stone pagoda, and two types of stones, capstone and roof stone, which was a standard pagoda configuration during Unified Silla on the Guhwangdong pagoda site. Andesite and pieces of roof tile have also been found around the site.
    There are two divided views of estimating the type of composition of the Guhwangdong pagoda site on the basis of these pagoda materials. One is understood to be the same type of Bunhwangsa temple mojeonsoektap(imitation brick pagoda), and the other is the stone pagoda of special form(ehyeonseoktap), which is a mixed shape of a stone brick pagoda and a standard type. In particular, the latter is understood to be andesite, images of Vajrapani flagstone, and standard stone pagoda material.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shows that images of Vajrapani flagstone and standard stone pagoda material are not used to build a pagoda. In other words, Guhwandong pagoda is composed of images of Vajrapani flagstone, the same material used at Bunwhangsa stone pagoda, and andesite. However, standard stone material is absent in the pagoda on the Guhwagdong pagoda site.
    To verify this, we first looked at the context of the history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by analyzing images of Vajrapani flagstone and standard stone material. Then we studied the possibility of an influx of images of Vajrapani flagstone, and standard pagoda stone, into the original Guhwangdong pagoda site. Then we suggested that it is likely that the standard stone pagoda was constructed using only standard pagoda stone material, of which there was alarge influx at that time.
    Standard pagodas of similar sizes consist of a body support and tiered roof support(5 level bridging stones). These are found in the standard stone material of the Guhwangdong pagoda site. In addition, the size, proportion, ratio, and style traits of the pagoda stone material are analyzed and compared with standard stone pagodas of Unified Silla. As a result, standard pagoda stone material was determined by the absence of a standard pagoda construction since the ninth century. It illustrates that it is necessary to re-think the reason for the absence of similar styles of pagoda because of the difference in time of images of Vajrapani flagstone on the Guhwangdong pagoda site which is estimated between mid and late 7th century. In addition, the method of leveling of images of Vajrapani flagstone on the Guhwangdong pagoda site is very similar to that of Bunhwangsa stone pagoda. It is also identified the similarity in the size of images of Vajrapani flagstone and width of upper aspect of tabernacle and the size of the tabernacle opening. The size of stone alignments (650x650cm) identified on the the base is also compared to the first body support of imitation brick pagoda in Bunhwangsa temple. Through the presence of andesite recovered from the surroundings of the site, it is speculated that there were stone pagodas similar to the brick-like stone pagoda of Bunhwangsa on the Guhwangdong pagoda site in the mid 7th century. It seems unreasonable to recognize it as a mixed-styled pagoda of standard and imitation brick pagoda considering the scale of Guhwangdong pagoda.

    참고자료

    · 없음

    태그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불교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