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난설헌시집』 수록 산문 2편의 저자 및 저작 시기에 대한 검토 (A critical investigation into the authorship of two proses in Nanseolheonsijip, allegedly written by Heo Nanseolheon)

5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21.02
54P 미리보기
『난설헌시집』 수록 산문 2편의 저자 및 저작 시기에 대한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동양한문학연구 / 58권 / 345 ~ 398페이지
    · 저자명 : 이철희

    초록

    허균이 편집한 『난설헌시집』에 수록된 산문 「몽유광상산시서」ㆍ「광한전백옥루상량문」 2편은 그간 허난설헌이 각각 1585년과 1570년에 지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두 작품은 작품 그대로 이해되기보다는 자신의 죽음을 예언하거나 어렸을 때 비범한 천재성을 나타내는 등 난설헌의 신비적인 능력과 연관되어 이해되었다. 그러나 작품을 보다 잘 이해하기 위해서는 작품의 저작 경위를 합리적인 근거를 가지고 다시 정립할 필요가 있다.
    「몽유광상산시서」는 서두에 저자가 을유년 모친상을 당해 외가에 머물 때 지었다는 문구를 근거로 1585년 저작으로 이해되었으나, 후단의 몽유시가 허균의 『학산초담』에 1588년 저작으로 언급되어 상충이 있다. 또 허난설헌이 죽은 1589년 이후에도 그의 모친 강릉 김씨는 생존해 있었으며, 강릉 김씨는 1594년 6월에 사망한 정황이 확실하다. 때문에 이 작품은 허균이 모친상을 당해 강릉에 머물던 시기에 허균에 의해 저술된 것으로 여겨진다.
    「광한전백옥루상량문」이 1570년 지어졌다는 근거는 허난설헌이 8세에 이 작품을 지었다는 기록이다. 그러나 이 작품은 세련된 문학적 기교와 풍부한 고사 인용으로 8세 아동이 지을 수 있는 수준이 아니라는 지적이 있어 왔다. 또 허난설헌의 사망 직후부터 17세기까지 이 작품을 언급한 조선의 어떤 기록에도 저자가 8세에 지었다는 언급이 없다. 8세 저작설은 17세기 초 중국에서 처음 만들어져 중국 내에서 18세기까지 꾸준히 유포되었는데, 이 기록들에는 난설헌의 생애에 관한 많은 부정확한 정보들이 함께 포함되어 있다. 중국에서 기원한 8세 저작설은, 김성립 순국설 등 다른 정보와 함께 늦어도 19세기에 조선에 역수입되었고 20세기에 보편화되었다.
    「광한전백옥루상량문」의 핵심 소재인 백옥루 상량문은, 당나라의 이하(이장길)가 27세에 요절하기 전에 꿈에서 그것을 짓기 위해 하늘로부터 부름을 받았다고 전승되고 있었으며 16세기의 문헌들에서도 문인의 요절을 가리키는 상투적인 비유로 사용되었다. 허난설헌의 향년이 27세이므로 그가 생전에 자신의 요절을 정확히 예측하고 이 작품을 지었다는 것은 비현실적이며, 타인이 난설헌의 요절을 추모하며 지었다는 것이 더 합리적인 설명이다. 또 「광한전백옥루상량문」은 당대부터 타인에 의한 위작설이 상당히 구체적인 정황 증거와 함께 제기된 작품이다. 특히 허균이 1589년에서 1593년 사이에 누이를 추모하기 위해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훼벽사」의 주요 소재가 이 작품과 중복되는데, 허균은 모티브를 송나라 황정견에게서 따왔다고 하였을 뿐 누이의 작품을 전혀 언급하지 않아, 그가 「훼벽사」를 바탕으로 이 작품을 썼을 가능성을 높인다.
    결론적으로, 「몽유광상산시서」는 1595년 봄에 허균에 의해 창작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광한전백옥루상량문」은 적어도 1570년에 지어지지는 않았고, 허균이 1589년부터 1593년 사이에 지었을 가능성이 상당히 있다.

    영어초록

    Nanseolheonsijip(蘭雪軒詩集), edited by Heo Gyun(許筠), contains two proses, Mongyugwangsangsansiseo(夢遊廣桑山詩序) and Gwanghanjeonbaegongnusangnyangmun(廣寒殿白玉樓上樑文), which are believed to have been written by Heo Nanseolheon(許蘭雪軒), in 1585 and 1570, respectively. Though traditional approaches have related them to the alleged author’s mystical ability, their authorship needs to be investigated on a reliable evidence for its adequate understanding.
    The conventional belief that Mongyugwangsangsansiseo was written in 1585 is grounded on its first sentence that the author wrote it in 1585, while she stayed at her mother’s house because of her mother’s death. However, in another source, i.e., Haksanchodam(鶴山樵談) by Heo Gyun, her younger brother, described that the poem contained in the work had been written in 1588. Moreover, Heo Nanseolheon’s mother was dead in 1594, 5 years after her death. Hence, it is suggested that this work was written by Heo Gyun in 1595, when he stayed at his mother’s house.
    As for Gwanghanjeonbaegongnusangnyangmun, there are anecdotal records that the author wrote it at her age of eight. Based on those records, it is believed to have been written in 1570, though it contains a lot of sophisticated expressions and pedantic metaphors, which makes it unreasonable to believe the author was an eight-year-old child. A philological review reveals that no Korean source in 17th and 18th century had mentioned the author’s age. Rather, Chinese courses, which contained lots of wrong information about her life, insisted that she had written it at eight. This possibly wrong information was reimported into Korea.
    Furthermore, this work’s core motif, Baegongnusangnyangmun, had been traditionally related to a writer’s early death, originated from a story about Li He(李賀), who was known to have written Baegongnusangnyangmun in his dream before he died at the age of 27. Heo Nanseolheon was dead at 27 as well, which suggests that this work was written after her death to commemorate her short life. Additionally, the motifs included in this work appeared also in Hwebyeoksa(毀璧辭) by Heo Gyun, written for commemorating Heo Nanseolheon after her death, without any reference to it.
    In conclusion, it is strongly suggested that Mongyugwangsangsansiseo was written by Heo Gyun in 1595, and it is possibly proposed that Gwanghanjeonbaegongnusangnyangmun might have been written by Heo Gyun between 1589 and 1593.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50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