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張載의 ‘大心’ 공부론과 朱子의 비판 — 格物致知와 연관하여 — (Zhangzai's Theory of Studying "Enlarged Mind(大心)" and Its Criticism by Zhuzi - Related to "The Theory of the Things to Extend Knowledge(格物致知說)")

2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4.05
24P 미리보기
張載의 ‘大心’ 공부론과 朱子의 비판 — 格物致知와 연관하여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양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동양철학연구 / 78호 / 69 ~ 92페이지
    · 저자명 : 부지훈

    초록

    장재철학에 있어 참된 본성을 구현할 수 있는 공부의 핵심은 ‘大心’이다. 장재는 세계의 본질을 파악하는 진정한 인식이 우리의 오감에 의한 ‘見聞知’가 아닌 ‘德性知’에 의해서만 가능하다고 본다. 그는 오감을 통해 외부세계를 인식할 때에는 각종 한계에 부딪치게 된다고 생각하였으며, 결국 참된 공부는 ‘見聞知’에 의거한 것일 수 없다고 보았다. ‘德性知’는 보고 듣는 감각 경험에서 비롯되지 않는 일종의 선험적 지식이다. 이 ‘德性知’로 말미암아 氣質이 변화되고 근원적 太虛와 天地之性의 회복이 가능하다고 본다. 心의 도덕적 지각인 ‘德性知’를 얻는 것이야말로 유가적 공부의 진정한 대상이 된다고 생각한 것이다. 그래서 ‘德性知’를 얻기 위한 방법으로 ‘大心’을 주장하였으며, 그 과정의 끝에서 텅 비고 고요한 마음상태(虛心)를 얻을 수 있다고 보았다.
    그러나 주자는 장재의 ‘大心’ 공부를 통해 지식을 확충하는 것에 대해서는 회의적이다. 장재의 ‘大心’은 사물에 대한 구체적 格物窮理 없이 단지 공허한 생각으로 마음을 크게 하려는 것이라고 보았다. 주자는 ‘格物致知’를 해석함에 있어 ‘見聞知’를 강조하였다. 장재 철학에서 제기된 ‘見聞知’와 ‘德性知’의 구조를 수용하는 동시에 그 둘의 범주를 분명히 함으로써 자신의 철학을 정립한 것이다. 따라서 주자는 장재의 ‘大心’ 공부방법을 수용하면서도 지각의 방법으로서 格物致知를 제시하였다. 주자에게 있어 ‘見聞知’와 ‘德性知’는 외적 지식의 습득인 ‘見聞知’와 내적 수양의 완성인 ‘德性知’로 수용되었다.

    영어초록

    In the philosophy of Zhangzai, the core of the study to realize one's true nature is "enlarged mind(大心)." Zhangzai saw that one is truly able to figure out the essence of the world not by his/her five senses(見聞知, learning by seeing and hearing), but by intuitive learning(德性知). He believed that the awareness of the outer world relying on five senses is faced with various limits, and that learning by seeing and hearing cannot reach the genuine study. Intuitive learning is a sort of a priori knowledge which is not derived from the sensory experiences. Zhangzai thought one can change his/her temperament and restore basic principles of heaven and his/her nature through this intuitive learning; in other words, he believed that obtaining intuitive learning as moral perception is the true object of Confucian study. Zhangzai therefore suggested enlarged mind as the method of mastering intuitive learning. He also believed that one will become calm and peaceful(虛心, void mind) at the end of the process.
    Zhuzi, however, was skeptical about the cultivation method of Zhangzai to expand one's knowledge. Zhuzi argued that the "enlarged mind" of Zhangzai does not contain any specific investigation of things and principle(格物窮理), only to broaden one's mind with hollow thoughts. Zhuzi emphasized learning by seeing and hearing when he interpreted the investigation of things to extend knowledge(格物致知). He embraced the structure of "learning by seeing and hearing" and "intuitive learning" which Zhangzai suggested, and established his own philosophy by clear categorization of the two. Therefore, Zhuzi accepted the study method of enlarged mind by Zhangzai and presented the investigation of things to extend knowledge as the perceiving method. Zhuzi accepted learning by seeing and hearing as acquisition of external knowledge, and intuitive learning as the completion of inner cultivati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양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