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호익 『역상설(易象說)』의 역학사상과 그 위상 (The Yi-ology of the Theory of the Images of Changes of Cho Ho-ik)

31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21.12
31P 미리보기
조호익 『역상설(易象說)』의 역학사상과 그 위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태동고전연구 / 47권 / 199 ~ 229페이지
    · 저자명 : 황병기

    초록

    본 연구는 조선 전기 조호익의 『역상설』에 나타난 상수역학적 특징을 조선시대 역학의 다원론적 관점에 기초하여 조선의 주역경학사의 한 흐름을 연구한 것이다.
    조호익이 수행했던 『주역』의 석해(釋解)는 한국의 역사 이래로 구결과 현토 등을 통해 중국과 차별화하는 조선 특유의 학술현상이며, 비록 그의 『주역석해(周易釋解)』가 현재 전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이황의 문도로서 퇴계학파에서 처음 시도했던 주역언해의 학통을 계승한 것이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조호익의 석해 저작은 이황의 사후에 교정청에서 언해사업을 담당하는 당상관으로 임명된 일을 계기로 시작된 것이고, 스승인 이황의 『사서삼경석의』 저작시기와 40여 년의 거리가 있는 것이어서 만약 오늘까지 전해졌다면 언어학사의 좋은 자료가 되었을 것이다.
    『역상설』은 조호익의 연보에서 말한 것처럼 『주역석해』와 『역상설』이 모두 정이(程頤)의 역전(易傳)과 주희(朱熹)의 본의(本義)를 가지고 단상(彖象)을 발휘한 것이 정밀했다고 하니, 정이의 의리학과 주희의 상수학을 겸전하여 단상의 의미를 밝힌 것으로 볼 수 있다.
    그의 『역상설』이 정이와 주희의 관점을 수용하여 단상을 설명한 책이라고 하지만, 해석방법론은 정이와 주희의 의리적 해석방법론을 부분적으로 계승하면서도 주로 상수역학의 해석 방법으로 괘효사를 해석한다는 점에서 상수역학의 방향으로 한 단계 나아갔다고 할 수 있다.
    조호익은 의리와 상수의 통합적 관점을 가지고, 상수적 방법론을 통해 의리를 밝히려는 목적의식이 분명 있었지만, 그가 사용한 해석방법론은 정이와 주희의 의리역학적 방법론으로서 중정(中正)과 비응(比應)론으로 괘효사를 해석하면서도 호체(互體)와 효변(爻變) 등 상수역학의 방법론을 주로 사용하였다.
    『역상설』에서 조호익이 정주의 역학관점을 발휘했다고 하는 것은 정이의 의리적 목적의식과 주희의 점서(占筮) 원형에 대한 긍정의식을 발휘했다는 의미인 것이고, 그것을 발휘하는 데 사용한 방법론은 정이와 주희를 넘어 상수역학의 해석방법을 적극 수용했다는 것이다.
    조호익의 이러한 상수학적 방법론은 조선 후기의 신후담, 정약용의 상수학적 방법론으로 이어지는 조선 전기의 중요한 매개이며, 조선의 역학사에서 최초로 거의 모든 취상(取象)의 방법론을 사용한 것이라고 할 것이다. 이것은 조선의 역학사에서 상(象)을 매개로 한 하나의 학술적 경향을 형성하는 것이다.

    영어초록

    This paper is about the Learning of Meaning and Principle of his the Theory of the Images of Changes 易象說, focusing on Yi-ology of Cho Ho-ik in the early Joseon Dynasty.
    The Learning of Image and Number of Han Dynasty was strictly a combination of Learning of Image and Learning of Number, and after Song Dynasty, traditions with Learning of Number developed relatively independent of the Iconographic Image-numerology of Shao Kangjie and Zhu Xi, and the Learning of Image played a certain role and function in the large frame of Image and Number combined.
    Cho Ho-ik's interpretation of Guayao-ci 卦爻辭, such as Haoti 互體, Yao position 爻位, Yaobian 爻變, are typical interpretation frameworks of the Learning of Image. This is related to Zhu Xi's identification of the Zhou-yi 周易 as a Book on Divinations, highlighting the Image and Divination as the core values of the Zhou-yi, but showing that he is on a different line in interpreting the role than Zhu Xi, given that Divination is closely related to Learning of Number.
    In other words, if Zhu Xi wanted to restore the prototype as the Book on Divinations of the Zhou-yi, Cho Ho-ik wanted to reveal the righteous goal of the Image with a Iconographic methodology. Therefore, in the first place, Zhu Xi's purpose, and perhaps Lee Hwang's purpose will be the same as Zhu Xi's, but Cho Ho-ik's purpose is very different.
    What should be noted in Theory of the Images of Changes 易象說 is that it is following the flow of Yi-ology, which is different from that of Zhu Xi who has a different personality from that of the Official studies of Yuan Dynasty China. However, since both Hu Yi-jie 胡一桂 and Hu Bingwen 胡炳文 claim to inherit Zhu Xi's Yi-ology, it should be said that they inherit a separate character of Yi-ology that is different from the official studies within Zhu Xi's Yi-olog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태동고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4일 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3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