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설담집』「몽행록」의 시맨틱 데이터 모델 설계 (Semantic Data Model Design for Monghaengrok in Seoldamjip)

5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25.04
54P 미리보기
『설담집』「몽행록」의 시맨틱 데이터 모델 설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연구 / 77호 / 49 ~ 102페이지
    · 저자명 : 장지훈

    초록

    설담 자우(雪潭自優)의 「몽행록(夢行錄)」은 승려 문집 및 불가 기문이 활발히 창작되던 18세기에 저술된 불가 유람기로, 한 달간 전북 일대를 유람한 체험을 기록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몽행록」의 지식요소와 그 관계를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온톨로지 기반의 시맨틱 데이터 모델을 설계하였다.
    「몽행록」은 설담의 유람 체험과 함께 그가 경유한 사찰 및 암자, 여정 중 만난 승려, 전해 들은 불교 설화 등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다. 이러한 지식요소는 설담의 이동 반경을 확인하고, 승려와의 네트워크를 조직하며, 승려의 유람을 불세계 탐방으로 이해하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정보를 데이터로 편찬해 지식관계망을 구축함으로써, 기존의 문자열 데이터베이스와 달리 보다 유연하게 자료를 탐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몽행록」은 유관 자료와의 연계를 통해 여정의 맥락과 의미를 확장할 수 있기에, 『설담집』 내 다른 작품과 『불조원류』 등을 참조하여 함께 기초 데이터로 확보하였다. 데이터를 정리하는 과정을 통해 설담의 여정이 청허계 승려와 교유하고, 그들의 불사를 확인하며, 청허계 승려로서 자신의 위치를 환기하는 목적이 있었다는 해석을 도출․제시하였다. 이처럼 「몽행록」 내외로 채집한 데이터를 수집하여 시맨틱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이를 시각화한 결과물을 공유하였다.
    본 연구는 「몽행록」이라는 불가 유람기의 데이터를 편찬하는 방식을 제안하며, 향후 불가 유람기 전반을 포괄하는 시맨틱 데이터베이스로 나아가는 발판이 되길 바란다.

    영어초록

    The Monghaengrok (夢行錄) by Seoldam Jaoo (雪潭自優) is a Buddhist travelogue written in the 18th century, a period marked by the active production of collected works and prose literature by monks. This work records Seoldam Jaoo's month-long journey through the Jeonbuk region, detailing his experiences and observations. This study systematically organizes the knowledge elements in Monghaengrok and their interrelations to construct an ontology-based semantic data model.
    Monghaengrok contains diverse information, including his travel routes, the temples he visited, monks he encountered, and Buddhist narratives he heard. These elements help reconstruct his movements, analyze monastic network, and interpret his journey as an exploration of the Buddhist world. By structuring this information into a knowledge network, this study enables a more systematic and flexible approach to data exploration Furthermore, Monghaengrok expands its contextual significance through connections with related works. To enhance the dataset's comprehensiveness, this study incorporates references from Seoldamjip (雪潭集) and Buddhist Lineage (佛祖源流). This process suggests that Seoldam Jaoo’s journey was an opportunity to engage with monks of the Cheongheo lineage, examine their practices, and reaffirm his position within the monastic tradition.
    By compiling, structuring, and visualizing data from Monghaengrok and related texts, this study develops a semantic database that facilitates advanced exploration of Buddhist travel records. Ultimately, it proposes a methodological framework for compiling Buddhist travelogues, laying the foundation for a comprehensive semantic database of diverse Buddhist travelogu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1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