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豊璋·翹岐의 동일인물설 검토 (A review on the hypothesis that Poong-jang(豊璋) and Gyo-gi(翹岐) are same person)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20.12
40P 미리보기
豊璋·翹岐의 동일인물설 검토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사학연구 / 140호 / 5 ~ 44페이지
    · 저자명 : 박주선

    초록

    西本昌弘가 제기한 ‘豊璋=翹岐’라는 가설은 일본학계의 정설이고, 한국학계에서도 수용하는 연구자들이 있다. 본고에서는 그 타당성을 확인하기 위해 두 인물의 도왜시기, 교기 일행의 성격, 의자왕과의 혈연관계, 그리고 주변인물(糺解·禪廣·塞上·忠勝) 등의 쟁점과 논거를 검토하였다. 그리하여 ‘⑴ 서명 3년 풍장 도왜기사는 기년 오류 ⑵ 경복 사망기사는 풍장 도왜기사의 기년 오류를 답습 ⑶ 풍장과 교기는 의자왕 아들 ⑷ 선광 = 부여용 = 새상 ⑸ 풍장 = 규해 = 교기 ⑹ 교기 도왜시기는 중복기사 중 황극 2년 ⑺ 백제대란 소식은 虛報이며 교기는 정식사절’ 등의 전제가 모두 타당해야 이 가설이 성립할 수 있지만 각각에 대한 비판이 설득력 있고, 여러 논점이 상호 긴밀하게 연결되어있어 하나가 무너지면 연쇄적으로 무너질 수 있으므로 성립하기 어렵다고 결론지었다. 특히 ‘선광 = 부여용’이라는 대전제가 성립하지 않는다면 ‘豊璋 = 翹岐’설은 입론조차 불가능해진다. 그런데 백제 멸망 전후 선광 및 부여용 행적을 보면 이들은 별개 인물이므로 ‘豊璋 = 翹岐’설은 기초가 부실한 沙上樓閣이라고 할 수 있겠다.
    더욱이 西本昌弘가 백제-왜 관계를 다룬 다른 논고들도 함께 검토하면, 동일인물설의 기저에는 ‘任那의 調’와 ‘任那復興’을 역사적 사실로 받아들이는 인식이 자리하고 있음을 간파할 수 있다. ‘豊璋 = 翹岐’설을 통하여 ‘642년 백제가 구 가야지역을 차지하자 왜는 임나 영유권을 주장하며 백제에게 왕자와 대좌평을 요구하였고, 643년 백제는 의자왕 아들 풍장(= 교기)을 大使(質)로 삼아 왜에 파견하였다’라고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를 고려하면, 위의 여러 논점을 我田引水 격으로 풀이하였다는 인상이 강하게 남는다. 요컨대, 이 가설은 사료를 다루는 태도와 시각에서 한계가 명확하다. ‘豊璋 = 翹岐’설이 흥미롭기는 하지만, 이 견해가 도출된 논증과정에도 주목하여 바라볼 필요가 있다. 본고에서는 풍장과 교기를 별개 인물로 이해하면서 풍장은 631년 아버지 의자가 왜로 파견한 정식사절이고, 교기는 의자왕 조카이며 642년 정변에 의해 축출된 인물이라고 정리하였다.

    영어초록

    Nishimoto Masahiro(西本昌弘)’s hypothesis that Poong-jang(豊璋) and Gyo-gi(翹岐) are same person has been widely accepted in Japanese academia, and some Korean scholars accepted it. To confirm its validity, several issues were reviewed. As a result, it can only be established if all arguments are valid;⑴AD631’s article on Poong-jang’s arrival to Wa had a date error ⑵Gyeong-bok(敬福)’s death article followed the error on Poong-jang’s visit date ⑶Poong-jang and Gyo-gi were King Uija(義慈王)’s son ⑷Seon-gwang(禪廣) = Buyeo Yong(扶餘勇) = Sae-sang(塞上) ⑸Poong-jang = Gyu-hae(糺解) = Gyo-gi ⑹Gyo-gi’s arrival to Wa was AD643 ⑺A news of political change in Baekje(百濟) was false, so Gyo-gi was a leader of formal envoy. However, criticism of each is persuasive, above issues are closely connected to each other, and if one collapses, it may collapse in a chain reaction. So the hypothesis is difficult to establish. In particular, Nishimoto presented multiple other same person theories, to prove ‘Poong-jang = Gyo-gi’, however if ‘Seon-gwang = Buyeo Yong’ is not convincing, it cannot even be introduced. But, traces of Seon-gwang and Buyeo Yong before and after the fall of Baekje indicated that they were different persons. Therefore, basis of it is extremely precarious.
    Examining Nishimoto’s other papers on Baekje-Wa relation together, it can be found that he recognized ‘Tax of Imna(任那調)’ and ‘Reconstructing Imna(任那復興)’ as the historical facts. Based on ‘Poong-jang = Gyo-gi’, he said when Baekje occupied the former Gaya region in AD642, Wa who has claimed dominium of Imna demanded the dispatch of a prince, then Baekje sent Poong-jang(= Gyo-gi), the son of King Uija, to Wa in AD643. Given this, it remains the impression he interpreted the above issues in line with his opinion. In short, 'Poong-jang = Gyo-gi’ has clear limits in the attitude and perspective of handling with historical materials. Although ‘Poong-jang = Gyo-gi’ is attractiv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process from which this view was derived. In this paper, Poong-jang and Gyo-gi are understood as different persons, and Poong-jang was a formal envoy sent to Wa by his father King Uija in AD631, and Gyo-gi was a nephew of King Uija and expelled by political change in AD642.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사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46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