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의당 박세화 명덕설의 특징과 의의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Euidang Park Se-hwa’s the Doctrine of Illustrious Virtue)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6.12
40P 미리보기
의당 박세화 명덕설의 특징과 의의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율곡학회
    · 수록지 정보 : 율곡학연구 / 33권 / 327 ~ 366페이지
    · 저자명 : 이영자

    초록

    의당 박세화를 중심으로 충북지역에서 활동한 의당학파(윤응선, 신국현 등)는 기호지역의 5대 기호학파 중 한 유파임에도 인지도가 낮고 연구 또한 저조하다. 그동안 박세화는 ‘매산 홍직필을 사숙’했다고 평가되어 ‘매산 홍직필의 유파’라고 평가되거나 김평묵, 유중교, 유인석 등 주로 화서학파와 교류했다는 점에서 간혹 화서학파로 오인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홍직필-임헌회-전우로 이어지는 간재학파나 화서학파와는 심성론 등에 있어서 매우 다른 입장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독자적인 성향을 갖춘 학파라고 할 수 있다.
    박세화는 정통 주자학을 계승하려는 의지가 강하고 율곡, 우암 등을 철저히 계승하려는 측면에서 학문적 소양이 기호학파의 학통에 있음은 분명하다. 그러나 그는 학문적 기초를 기호학에만 의존하지 않고 폭넓은 학문으로 승화하려는 의지 또한 드러낸다.
    그 대표적인 것이 바로 명덕설이었다. 그의 명덕설의 결론은 한 마디로 명덕을 “심(心), 성(性), 정(情)이 광명정대(光明正大)한 것”으로 해석하면서, 이를 리기론(理氣論)으로 귀속시키지 않았다는 것이다. 이 점은 여타의 명덕주리주기론자(明德主理主氣論者)들과는 전혀 다른 관점이며, 의당학파만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가장 큰 특징이다.
    박세화는 주자나 율곡, 우암의 정통 기호유학을 왜곡시키지 않으면서도 심설논쟁이나 명덕논쟁으로 분열된 성리학자들에게 구국의 도학적 실천 지향에 동참시키기 위해서 명덕주리주기 불가설(不可說)을 주장하였던 것이다. 이것은 박세화의 명덕설이 기호유학을 기반으로 하면서도 오히려 그 범주를 초월하여 폭넓은 사유로 기호유학을 승화시켰다고 할 수 있다. 그것은 그가 평생을 지행합일의 정신을 투철하게 실천해 온 도학(道學)적 실천가였기에 가능했다. 그 결과 성리설이나 의리론, 대외관이 다르다 할지라도 화서학파나 간재학파와 두루 교류하며 의병활동도 펼치고 순국도 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런 면에서 박세화는 한말 유학의 진정한 대학자라고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영어초록

    The School of Euidang(毅堂學派) led by Euidang Park Se-hwa(毅堂 朴世和, 1834~1910) in North Chungcheong Province was one of five major schools in the Giho(畿湖) region covering Seoul, Gyeonggi and Chungcheong Provinces, but it has been less known and researched. In the meantime, Park Se-hwa was mistakenly associated with the scholar Maesan Hong Jik-pil(梅山 洪直弼, 1776~1852) that Park had studied under Hong, thus evaluated as the School of Maesan Hong Jik-pil, or since Park exchanged with scholars Kim Pyeong-muk, Yu Jung-gyo, Yu In-seok and the like of the School of Hwaseo(華西學派), he was at times mistaken for a scholar of the School of Hwaseo. But, Park Se-hwa’s stance was very different, in terms of the Theory of Human Mind(心性論) argued in Neo-Confucianism, from the School of Ganjae(艮齋學派) or Hwaseo which led to Hong Jik-pil, Im Heon-hoe and Jeon Wu. Park Se-hwa’s School of Euidang was independent.
    Due to Park Se-hwa’s inclination that he carried a strong will to transmit the authentic Doctrines of Zhu Xi(朱子學) and that he attempted to strictly adhere to teachings of Yulgok(栗谷) and U-am(尤菴), apparently Park’s academia belonged to one of the sects under the School of Giho(畿湖學派); however, he did not entirely base his academic foundation on the studies by Giho scholars but tried to transcend his learning to much broader studies. His attempt was represented by the Theory of the Luminous Virtue of Mind(明德說). His conclusion of the Theory of the “Luminous Virtue of Mind” was, in short, interpreted as “mind(心), sex(性) and affection(情) being open and righteous(光明正大),” while he did not revert to the Theory of Principles and Material Force(理氣論) under Neo-Confucianism. This was an entirely different viewpoint from other scholars who argued the Theory of Luminous Virtue of Mind and the Theory of the Primacy of Material Force(主氣論), thus the point is characterized as the main identity of the School of Euidang.
    Without distorting the authentic Confucianism of the Giho region led by Yulgok and U-am, the scholar Park He-hwa asserted that the Theory of the Luminous Virtue of Mind and of the Primacy of Material Force could not be explained(不可說) in order to entice Neo-Confucian scholars who were then divided over arguments of the Theory of Human Mind(心性論) or the Theory of the Luminous Virtue of Mind to save the country while practicing Neo-Confucianism. This can be interpreted that Park Se-hwa’s Theory of the Luminous Virtue of Mind had its foundation in Confucianism of the Giho region, which at the same time expanded its scope to transcend to a broader cause. That was possible because throughout his life the Neo-Confucian scholar Park Se-hwa strictly practiced what he preached, the Neo-Confucian ideal, or the Unity of Knowledge and Action(知行合一). As a result, he was able to widely exchange with scholars of the School of Hwaseo or of Ganjae, despite their different views in the Theory of Values Based on Benefit(性利說) or the Theory of Justice(義理論), and he engaged in civil army activities and sacrificed his life for his country. In that regard, Park Se-hwa can be evaluated as a truly great scholar of Confucianism in the late period of the Korean Empi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율곡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