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程明道의 仁說 연구 (I) (A Study on the Ren(Benevolence) Theory of ChengMingDao (I))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5.08
39P 미리보기
程明道의 仁說 연구 (I)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양명학회
    · 수록지 정보 : 양명학 / 41호 / 213 ~ 251페이지
    · 저자명 : 박길수

    초록

    이 글은 북송(北宋)의 유학자인 정호(程顥:1032-1085, 호는 明道)의 仁 사상을 우주론과 존재론의 측면에서 체계적으로 분석하고 해명한 것이다. 먼저 우주론의 관점에서 仁의 본질을 고찰하면, 仁은 생도(生道)와 생의(生意)라는 두 가지 특징을 함축한다. 이때 생도는 천도(天道)의 부단한 창조성을 가리키고, 생의는 각 개체의 고유한 생명의 의지를 가리킨다. 다음으로 존재론의 관점에서 보면, 이러한 仁의 우주론적 본질과 특징은 독특한 존재 논리와 근거로 전개되는데 일본(一本), 감응(感應), 철상철하(徹上徹下)가 그것이다. 먼저, 일본은 명도 사상에서 가장 독창적인 개념 가운데 하나로서 그것은 천도(天道)와 인도(人道)의 근원은 완전히 동일하다는 천인무간(天人無間)을 핵심으로 한다. 다음으로, 감응(感應)은 모든 사물의 자기 생성과 존재 방식의 기제(mechanism)를 설명한 것으로 한 사물이나 사태는 오직 가장 근원적인 두 가지 상이한 속성과 운동의 대립과 통일에 의해서만 발생하고 전개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철상철하는 두 가지 의미를 지닌다. 하나는 존재론의 측면에서 ‘도즉기(道卽器)’, 곧 형이상(形而上)과 형이하(形而下)의 존재가 철저하게 하나로 관통되어 있다는 것을 천명한 것이고, 다른 하나는 수양론의 측면에서 하학(下學)과 상달(上達)이 완전히 통일되어 있다는 것을 가리킨다. 이처럼 명도가 우주론과 존재론의 측면에서 仁 사상의 근거와 배경을 정립한 까닭은 무엇보다도 천인합일(天人合一)이라는 궁극적 이념을 전제로 구인(求仁) 공부의 최고 경계로서 ‘일(一)’을 제기하려고 했기 때문이다. 이때 일(一)은 수양의 주체와 타자가 조금의 간극도 없이 완전히 하나가 된 상태를 상징하는 것으로 오직 주-객의 대립과 갈등으로 상징되는 이분법적 가치와 논리를 철저하게 극복했을 때에만 비로소 완전하게 체현되는 성인의 이상적인 경지로 볼 수 있다. 명도의 전체 仁 사상에서 이러한 우주론과 존재론적 구도와 의의는 이후 전개된 그의 구체적인 仁說의 사상적 토대를 이룬다.

    영어초록

    This research systematically explains and analyzes the theory of 仁(Ren, benevolence) proposed by CheongHao, one of Confucian scholars in BeiSong, from the point of Cosmology and Ontology. First, to investigate the essence of 仁 theory from Cosmology’s perspective, 仁 connotes two characteristics, which is ShengDao (Cosmic Creativity itself) and Shengyi(Vitality). In this context, ShengDao refers to the continuous creativity of the law of Heaven while Shengyi points to the individual’s own willingness to live. Next, from Ontology’s perspective, these Cosmological essence and features of 仁 develop through unique logic and theoretical bases of existence, which are Yiben(Monism), Ganying(cosmic resonance) and Cheshangchexia (penetrating from the bottom to the top). To start with, Yiben(Monism) is one of the most creative concepts among theory of MingDao, which centers around the idea of TianRenWujian(harmony between the heaven and human), meaning that the origins of the way of Heaven and the way of Human are the same. Next, Ganying illustrates the mechanism of self-creation and existence of every object, illustrating how one object or situation can only be produced and unfolded through the conflicts and unification of two most essentially different features and movement. Lastly, Cheshangchexia implies two meanings. One is DaojiQi from the perpective of Ontology, which declares that the existence of Xingershang(The upper principle or law) and Xingerxia(The lower materials or objects) is thoroughly penetrated in unilateral way and the other one is that from self-cultivation theory‘s aspect, Xiaxue and Shangda is completely unified. The reason why MingDao established its basis and background of Ren theory from the perspective of Cosmology and Ontology is to propose ‘Yi(Oneness, Unification)’ as the utmost boundary in the study of QiuRen(seeking benevolence) under the premise of TianRenheyi(harmony between the heaven and human) as the ultimate philosophy. In this respect, Yi symbolizes the state of complete synchronization between the One and the Other of self-cultivation without even the slightest disparity, an ideal stage of the Saint which can only be embodied when the dichotomous value and logic represented by the conflicts and confrontation between subject and object have been overcome. The structure and implications of Cosmology and Ontology within MingDao’s Ren theory in general forms the theoretical basis for his RenShuo that developed subsequent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양명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17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