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천도교의 생사관 : 성령출세설(性靈出世說)을 중심으로 (Chondogyo's idea on Life and Death : Analysis of Euiam's Emanation of the Spirituality)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0.06
25P 미리보기
천도교의 생사관 : 성령출세설(性靈出世說)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학학회
    · 수록지 정보 : 동학학보 / 19호 / 191 ~ 215페이지
    · 저자명 : 오문환

    초록

    천도교의 생사관을 잘 보여주는 글이 「성령출세설」이라고 할 수 있다. 종교에서 생사관이 차지하는 중요성에 비하여 「성령출세설」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미한 편이다. 「성령출세설」에 개진된 생사관을 세 가지 주제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①‘우주는 본래 영(靈)의 표현’이라는 말은 영과 우주의 일원성을 말해준다. 즉, 성령은 우주를 떠난 또 다른 차원의 세계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할 수 있다. 이는 한울님이 사람을 떠나서 따로 있지 않다는 ‘인내천(人乃天)’의 개념과 일치한다. ②천도교에서 ‘나’의 본성 또는 본체성은 ‘성령’이며 이 ‘성령’은 다수가 아닌 유일무이(唯一無二)하다. 천도교는 사람은 죽은 뒤에 개체성령으로 다시 사는 것이 아니라 오직 하나의 성령 본원으로 돌아간다고 본다. 그러나 죽어서만 하나의 성령으로 돌아가는 것이 아니라 살아서도 ‘본성’ 또는 ‘본체성’을 깨달게 되면 성령의 삶을 살 수 있다. 성령적 인간을 천도교에서는 ‘신인(神人)’ 또는 ‘신선(神仙)’ 등으로 부른다. 이러한 인격에게는 생사가 따로 없다고 할 수 있다. ③천도교에서 성령으로서의 ‘나’는 특정 시간에 갇힌 존재가 아니라 시간을 넘어선다. 「불연기연」에서 수운은 부모와 자식과의 관계 속에서 ‘나’는 ‘천심’ 또는 ‘성령’을 얻어 완전히 새로워진 최초의 사람이라고 하는 ‘천황씨’와 동일한 인격임을 논증한다. ‘성령의 나’는 시간적으로 영원히 영생하는 존재이다. 태어나지도 않으며 죽지도 않는 존재가 ‘본래의 나’라고 한다. 천도교에서 ‘본래의 나’는 성령의 본체이며 영생하는 존재이다.

    영어초록

    In 1911 Euiam(의암, 義菴) Shon Byung-hee had a 49 days spiritual practice in Jeokmyulgul located nearby the famous Tongdosa Buddhist temple. During practice Euiam got the spiritual realization that his spiritual nature and that of Suwoon(수운, 水雲) Choi Je-woo(1824-1864) is same. After this experience he wrote the Emanation of the Spirituality. The conception of Life and Death was well expressed in this article, so I tried to argue 3 points in this paper.
    ① The first syllable of Emanation of the Spirituality say that 'the universe is the expression of the spirituality'. In other words, the spiritual entity does not exist outside of the universe but reside in the inner core of the universe. So in order to realize the true identity of universe we should go inside of our heart not ouside. The innermost Being of the universal entities is called Spirituality or Heaven. At the same time this Spirituality and Heaven is called 'the True Self' of every entities of this universe. In Cheondogyo it's said that 'Humanity is Heaven' or 'human being is God itself'. The human being is called as 'the God in form' and the God is called as 'the God in formless'.
    ② The 'True Self' of every entities of the whole universe is only one Spirituality. Therefore, there's no second Spiritual Being. If so, there'll be no individual spiritual entity after death. After death every body consumes into the One Spiritual Being. According to Cheondogyo there's no difference at all between the normal person and the realized saint. The differences occurs in using the same mind and heart. The normal person uses mind and heart according to his own decision but the saint uses mind and heart according to the Heaven's law or to the Spirituality. If normal person cast off the egoistic attachment and follow the Heaven or Spirituality, he or she will become a completely new-born personality. This new awakened personality is the Spiritual Being or the Supreme Being. For Him or Her there's no duality like life and death.
    ③This spiritually awakened Being is beyond the time field, i.e., free from the bondage of life and death. Suwoon called this eternal Being 'God in Heaven(天皇)'. Haewol(해월, 海月) Choi Si-hyung installed the ancestral or God's tablet in front of himself not on the wall. Because all the spirits of ancestors and the mind of God are all integrated into himself. Uiam realized that the Spirituality of Suwoon and that of himself is same. So he said that the Spirituality of Suwoon is never died and live forever with the emanation of things and events in this universe.
    If we can get rid of this ignorant veil of egoistic darkness, we'll realize that the all the beings of this universe is same with the only One Spiritual God. In other words, we all are intrinsically eternal God beyond the birth and death.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학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09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