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주희의 복괘설(復卦說) (Zhu Xi’s theory of the hexagram of Fu)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1.09
26P 미리보기
주희의 복괘설(復卦說)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철학연구회
    · 수록지 정보 : 철학연구 / 94호 / 27 ~ 52페이지
    · 저자명 : 최천식

    초록

    『주역』 단사(彖辭)의 “복(復)에서 천지의 마음[天地之心]을 보리라.”는 구절에서 ‘복’은 심(心)을 의미하고 ‘천지의 마음’은 성(性)을 의미하기 때문에 이 구절에 대한 해석 속에는 해석하는 사람의 수양 이론이 담기게 된다. 장재는 복괘 해석에서 동(動)함이 전혀 없는 지정(至靜)의 상태를 천지의 마음[純善]으로 본다. 인간의 감정은 이미 동(動)한 것이므로 순수한 감정이란 있을 수 없다. 곤괘[至靜]를 미발[純善]로 보는 주정주의(主靜主義)는 이처럼 인간의 감정[情]은 결코 신뢰할 수 없다는 전제를 담고 있다. 지정(至靜)은 경험의 영역에 실재하지 않기 때문에, 장재는 경험의 영역에 실재하면서 동(動)함이 가장 적은 상태인 복(復)을 통해 천지의 마음[性]을 구하려 한다.[心統性情] 여기에서 복(復)은 정(情)으로 표출되기 전의 마음[心]을 뜻한다. 복괘 해석에서 정이는 한 겨울에 스스로 발아하는 씨앗처럼 외부 환경에 상관없이 안에서 솟아나는 순수한 마음을 천지의 마음으로 본다. 복괘[動]를 미발[純善]로 보는 주동주의(主動主義)는 사람에게는 ‘안에서 솟아나는 순수한 마음’[性]이 선천적으로 주어져 있다[性卽理]는 전제를 담고 있다. 주희는 정이의 주동주의를 계승하면서도 ‘인간의 순수한 마음은 그냥 드러나는 것이 아니라 잘 길러내야만 샘물처럼 솟아나는 것’이라는 미발함양(未發涵養) 이론을 세웠다. 그리고 이러한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해 순수한 마음이 ‘아직 자신에게 드러나지 않았을 때’와 ‘자신에게 드러난 때’를 구분한다. 복괘를 미발에서 이발로 나아가는 과정으로 설명함으로써 마음이 미발에서 이발로 나아가는 과정[心統性情]임을 밝힌다. 주희의 미발함양은 장재의 심통성정을 변용하여 그 틀 속에 정이의 성즉리를 담아 계승한 것이다.

    영어초록

    The Commentary of the Judgement in the hexagram of Fu(復) of I Ching notes “In the hexagram of Fu one sees the mind of heaven and earth”: here, since Fu denotes the human mind (心) and the mind of heaven and earth denotes the human nature (性), the interpretation of this phrase cannot but reflect the essence of one’s philosophy.
    Zhang Zai (張載) regards ‘absolute tranquility’ (至靜) as the mind of heaven and earth. However, because absolute tranquility cannot exist in the reality, he attempts to search for the mind of heaven and earth in Fu instead, where movement is at its slightest, but actual. The assertion that human emotion can never be reliable is contained in his tranquility-centered theory (主靜主義).
    Cheng Yi (程頤), on the other hand, projects the sprout that shoots forth against the cold as Fu, and strives to see the mind of heaven and earth in the life-force that exists even in the desert and glacier. In his movement-centered theory that considers the budding blossoms as the supreme good, it is mainly asserted that nothing can be good unless it is in movement.
    Zhu Xi (朱熹), while succeeding the legacy of Cheng Yi’s movement-centered theory, argues that the human goodness is not something that can be issued forth out of nowhere, but must be cultivated carefully in order to be poured forth like spring water. To buttress such an argument, he builds a theoretical framework that allows both cases, one being the human mind manifests itself to oneself and the other that does not. In Zhu Xi’s interpretation of Fu, which denotes November of lunar calender setting winter solstice at its center, he places what is before the winter solstice as wei-fa (未發, before-issuance) and after the winter solstice as yi-fa (已發, after-issuance), reflecting the structure of mind that comprises of both wei-fa and yi-f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철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4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