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추사 김정희(秋史 金正喜)의 「실사구시설(實事求是說)」 재고찰 (A Re-examination of ChuSa Kim Jeong-hee(秋史 金正喜)’s 「Shishiqiushishuo(實事求是說)」)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6.08
30P 미리보기
추사 김정희(秋史 金正喜)의 「실사구시설(實事求是說)」 재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영남학 / 59호 / 233 ~ 262페이지
    · 저자명 : 서근식

    초록

    실사구시는 실제 일에 있어서 옳음을 구한다는 의미이다. 이러한 의미에 대해 다시 고찰해 봄으로써 그 의미를 명확하게 하였다. 이러한 실사구시가 한송절충론과 관련된다는 것을 살펴보았는데, 이러한 부분은 청(淸)나라의 고증학과 같은 것이다.
    추사의 학문관이 실사구시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추사는 실사구시라는 학문방법론을 어떻게 실천할 수 있을까라는 문제에 있어서 구체적으로 하학(下學)․상달(上達)과 박학(博學)․독행(篤行)을 강조하였다. 이러한 점은 추사의 학문이 고증학과 깊게 연관됨을 보여주고 있다.
    학문방법으로서 추사는 고증학을 내세운다. 고증학에서 추사는 한(漢)나라의 훈고학을 중시했고 그 가운데 정현(鄭玄)의 주석에 대해 신뢰를 보냈다. 또, 고증학의 방법으로서 추사는 금석학을 내세우는데 그 가운데 「진흥이비고(眞興二碑攷)」에서 북한산순수비를 발견하게 되는 과정을 소개 하고 있다. 「진흥이비고」를 자세히 보면 본래는 무학대사의 비석이었다가 추사의 손을 거쳐 진흥왕의 순수비로 되었다는 기록되어 있다. 이는 실제 있는 일에서 옳음을 구한다[實事求是] 정신과 꼭 들어맞는 것이다.

    영어초록

    ‘Shishiqiushi(實事求是)’ means looking for what’s right in practical matters. In this paper, this meaning was examined again, and became clear. It was investigated that this ‘Shishiqiushi(實事求是)’ is related to ‘Hansongzhezhonglun (漢宋折衷論)’, which is similar to Kaozhengxue(考證學) of Ching(淸) Dynasty.
    It’s been examined that ChuSa(秋史)’s view of learning was based on ‘Shishiqiushi(實事求是)’. Regarding the matter of how to practice the academic methodology of ‘Shishiqiushi(實事求是)’, ChuSa(秋史) specifically emphasized Xiaxue(下學)․Sangda(上達) and Boxue(博學)․Duxing(篤行). It shows that ChuSa(秋史)’s studies were deeply related to the study of ancient documents.
    As for the academic methodology, ChuSa(秋史) insisted on Kaozhengxue(考證學). He attached importance to exegetic studies of Han(漢) Dynasty. among which, he paid credit to ZhengXuan(鄭玄)’s annotation. In addition, with regard to the methodology of Kaozhengxue(考證學), ChuSa(秋史) advocated epigraphy, and among which, the discovering process of the monument commemorating a king’s tour in Bukhan Mountain in 「Zhenxingerbeikao(眞興二碑攷)」. When 「Zhenxingerbeikao(眞興二碑攷)」 was closely investigated. it’s been found to have been recorded that it used to be the Buddhist Great Master Muhak’s tombstone, but came to be recorded as the monument commemorating King Jinheung’s tour through ChuSa(秋史)’s hands. It perfectly corresponds to the spirit of seeking righteousness in practical matters[實事求是].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2:2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