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도의 편평상피암 환자에서 외부 방사선 치료의 결과 (The Outcome of Conventional External Beam Radiotherapy for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Esophagus)

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08.03
7P 미리보기
식도의 편평상피암 환자에서 외부 방사선 치료의 결과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방사선종양학회
    · 수록지 정보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26권 / 1호 / 17 ~ 23페이지
    · 저자명 : 장지영

    초록

    목 적: 최근 진행된 식도암의 치료는 병행항암방사선요법 후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가장 성적이 좋은 것으로 보고
    되고 있다. 그러나 병행치료의 발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많은 식도암 환자에서 병행치료가 어려워 방사선치료 단
    독으로 치료받게 된다. 이에 저자는 통상적인 외부방사선치료를 받은 식도암 환자의 치료성적과 예후인자를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식도의 편평상피세포암으로 진단받고 40 Gy 이상 외부방사선조
    사를 받은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총방사선량은 44∼60 Gy (중간선량 57.2 Gy)이었으며 방사선치료
    기간은 36∼115일(중간방사선치료기간 45일)이었다. 13명(43.3%)의 환자는 당뇨, 고혈압, 결핵 등의 과거력이 있
    었으며 그중 4명의 환자에서 식도암 진단 전 3명이 위암, 1명이 하인두암으로 진단받고 치료받은 적이 있었다. 원
    발병소부위는 중흉부식도에 위치한 예가 19명(63.3%)으로 가장 많았고 상흉부식도 4명(13.3%), 하흉부식도 7명
    (23.3%)이었다. 원발병소의 길이는 2∼11 cm이었고, 중간 길이는 6 cm이었다. 진단당시 병기는 AJCC 병기로 병
    기 I이 2명(6.7%), 병기 II 4명(13.3%), 병기 III 19명(63.3%), 병기 IV 5명(16.7%)이었다.
    결 과: 전체 환자의 중간 생존기간은 8.3개월이었고 1년 생존율 33.3%, 2년 생존율 18.7%이었다. 치료종료 1∼3
    개월째 치료결과를 판정하여 완전관해를 보인 환자가 6명(20%), 부분관해 21명(70%)이었다. 치료종료 1∼3개월
    후에 평가한 연하곤란증상은 29명(96.7%)의 환자에서 호전되었다. 치료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인자에 대한 단
    변량 분석결과 연령, 종양의 길이, 병기, 치료 전 식사, 치료 목적, 치료에 따른 반응정도가 통계적인 유의성을 보
    였다. 다변량분석에서는 종양의 길이, 치료 목적, 치료에 따른 반응정도가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로 확인되
    었다. 치료실패는 국소 실패가 28명, 전이가 4명이었다. 추적조사기간동안 2명의 환자에서 이차적인 암이 발생하
    여 과거력상 식도이외의 암이 있었던 환자를 포함하면 6명(20%)에서 다발성 암으로 진단받았다. 치료로 인한 부작
    용 중 식도협착이 발생한 예가 3명(10%), 방사선폐렴이 발생한 예가 2명(6.7%)이었다.
    결 론: 식도암에서 단독 방사선치료 결과는 병행치료에 비해 만족스럽지 못하지만 부작용이 많지 않아 연하곤란증
    상을 완화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여전히 이용되고 있다. 진행된 식도암에서 항암제 혹은 항암제 이외의 적절한 병행
    치료를 시행하여 완전관해율을 높인다면 생존율의 향상을 얻을 수 있으리라 기대해 본다.

    영어초록

    Purpose: The best treatment for advanced esophageal cancer is chemoradiotherapy followed by surgery. In spite
    of the advance of multimodality therapy, most patients with esophageal cancer are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alone. This study reports the outcome of the use of conventional external beam radiotherapy alone for the
    treatment of esophage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1998 and December 2005, 30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esophagus were treated with external beam radiotherapy using a total dose exceeding 40 Gy.
    Radiotherapy was delivered with a total dose of 44-60 Gy (median dose, 57.2 Gy) over 36∼115 days (median
    time, 45 days). Thirteen patients (43.3%) had a history of disorders such as diabetes, hypertension, tuberculosis,
    lye stricture, asthma, cerebral infarct, and cancers. Four patients metachronously had double primary cancers.
    The most common location of a tumor was the mid-thoracic portion of the esophagus (56.7%). Tumor lengths
    ranged from 2 cm to 11 cm, with a median length of 6 cm. For AJCC staging, stage III was the most common
    (63.3%). Five patients had metastases at diagnosis.
    Results: The median overall survival was 8.3 months. The survival rates at 1-year and 2-years were 33.3% and
    18.7%, respectively. The complete response rate 1∼3 months after radiotherapy was 20% (6/30) and the partial
    response rate was 70% (21/30). Sixteen patients (53.3%) had an improved symptom of dysphagi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s were age, tumor length, stage, degree of dysphagia at the time of diagnosis and tumor
    response. Cox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e aim of treatment, clinical tumor response and tumor length as
    independent prognostic factors for overall survival. Twenty-eight patients had local failure and another four
    patients had metastases. Three patients were detected with double primary cancers in this analysis. A
    complication of esophageal stricture was observed in three patients (10%), and radiation pneumonitis occurred
    in two patients (6.7%).
    Conclusion: The prognosis of esophageal cancer remains poor, in spite of advances in radiotherapy techniques.
    Radiotherapy is one of the main treatment modalities for the relief of dysphagia and treatment related
    complications are minimal. It is expected that the addition of chemotherapy or another systemic modality to
    radiotherapy will improve tumor control and increase the survival rate in advanced esophageal cancer.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Radiation oncology journal”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5:4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