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이몽선전(李夢仙傳)』의 성격과 의미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 and Meaning of Leemongseonjeon)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9.08
22P 미리보기
『이몽선전(李夢仙傳)』의 성격과 의미에 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동국대학교 한국문학연구소
    · 수록지 정보 : 한국문학연구 / 60호 / 179 ~ 200페이지
    · 저자명 : 유춘동

    초록

    이 글은 구활자본 고소설 『이몽선전(李夢仙傳)』의 성격과 의미를 살펴본 것이다. 『이몽선전』은 아내의 불륜을 의심한 남주인공 ‘이몽선’이 가출한 뒤에, 집안에서 일어난 여러 복잡한 문제를 암행어사 ‘박공(朴公)’이 해결한다는 내용의 고소설이다. 이러한 내용만 놓고 본다면 이 소설을 ‘진가쟁주형(眞假爭主型) 소설, 송사소설(訟事小說), 암행어사 『박문수전(朴文秀傳)』 계열’의 작품으로 생각하기가 쉽다.
    그러나 『이몽선전』은 전대(前代)에 있던 고소설을 가져다 내용을 차용(借用)/변용(變用)하고, 다시 새로운 내용을 삽입(揷入)해서 만든 소설이란 사실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이 소설은 전체 구조를 『화산중봉기(華山重逢記)』에서 가져왔고, 작품 중간에 『몽유록(夢遊錄)』과 『박문수전(朴文秀傳)』을 삽입해서 소설을 만들었다. 이렇게 만들어진 『이몽선전』은 1910년대 신소설(新小說)이 유행하면서 『단발령(斷髮嶺)』의 저본(底本)이 되었다.
    그동안 1910년대에서 1930년대 간행된 구활자본 고소설에 대한 연구는 상당한 양이 축적되었다. 하지만 구활자본 고소설의 제작 방식, 고소설과 신소설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연구가 미진한 편이다. 『이몽선전』은 이전에 존재하던 작품을 적절히 차용/변용하면서 한편의 새로운 구활자본 고소설을 만들고, 이것은 다시 신소설로 전환되는 일련의 과정을 보여주는 중요한 작품이다. 이러한 『이몽선전』의 사례를 통해서, 구활자본 고소설의 의미를 규정하고, 구활자본 고소설의 생산 방식, 전대 작품과 구활자본 고소설로서의 전환 문제, 고소설과 신소설의 관계에 대한 문제를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Characteristic and Meaning of the old printed version of a classic novel “Leemongseonjeon”, which is unknown to the Academia.
    “Leemongseonjeon” is a story about the fact that the male protagonist “Leemongseon” resolved the problem of the family that occurred after the suspicion of his wife's affair by running away.
    This novel can be divided into a series of novels that distinguish real fakes and a reference to the genre a novel about a lawsuit, “ParkMoonSujeon”.
    The contents of “Leemongseonjeon” are made by borrowing a previously existing old novel and inserting or changing some new contents. In other words, the whole structure of the work was created by inserting and using the “Hwangsanjungbokgi”, and inserting “Mongyurok” and “ParkMoonSujeon” in the middle of the work. And the contents of this novel have had a certain effect on the creation of the new story “Danbalryoung”.
    Although there have been considerable amounts of research on old type novels published in the 1910s and 1930s, many works have not been introduced yet. In the case of the old version of the old novel, “Leemongseonjeon” shows the possibility that a new work can be created by properly borrowing, transforming, and inserting new contents. In addition, the old type textbook shows the possibility that it can be influenced and influenced not only by the old novel but also by the close connection with the new novel.
    Therefore, “Leemongseonjeon” is an important work in literary history in that it can examine the production methods of old type textbooks, the relationship between old works and old tex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old and new sto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3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