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시대 선잠 의례의 동선과 제단의 크기 (A review of the movement of rituals in the Seonjam altar and changes in the size of the altar in the Joseon Dynasty)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22.06
30P 미리보기
조선시대 선잠 의례의 동선과 제단의 크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사학회
    · 수록지 정보 : 여성과 역사 / 36호 / 169 ~ 198페이지
    · 저자명 : 한형주

    초록

    본고는 성종 8년(1477) 윤2월 27일과 영조 43년(1767) 3월 10일에 시행된왕비의 선잠단과 채상단에서의 의식을 검토하여 왕비가 실제로 제사를 할때 의식의 동선을 초헌관의 움직임과 비교 검토해 보았고, 왕비가 채상단을통한 친잠의 방식과 그 움직임을 추적해 보았다.
    성종 8년에는 선잠단에서 관료의 제사가 시행된 후 창덕궁에서 왕비의친상(親桑)이 이루어졌는데, 여기서는 왕비의 친제가 없었다. 왕비가 궁 밖으로 나가 행사를 치룰 수 없다는 인식에서 나오는 것으로, 관료들만이 행사를 진행하였다. 그러나 영조 43년의 행사에서는 숙종대의 종묘, 영녕전의묘현례를 통해 제사에 참여한 것을 본받아 친제를 시행하였는데, 그 방식은왕비가 궁궐 밖으로 나가지 않는 대신 경복궁의 강녕전 옛터에서 선잠제를거행했던 것이다. 친제를 시행할 때는 남성 관료가 준비과정을 시행하지만행사가 시작되면 여성들인 궁관의 도움을 받아 행사를 진행하였다. 왕비는관세를 한 후 집규(執圭)→국궁사배흥평신(鞠躬四拜興平身)→삼상향(三上 香)→작헌례(酌獻禮)→독축(讀祝)→국궁사배흥평신→예필(禮畢)의 과정을시행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마친 후에 채상단으로 가서 친잠의 의식을 거행하였다. 이 의식은 완전히 여성만이 참여하는 의식으로 성종 대와 영조 대가 상당히 비슷한 방식으로 행해졌다. 성종 대는 왕비 채상위에서 동향→채상위 앞에나가 갈고리를 올림→왕비가 갈고리를 받아 뽕을 오조(五條)를 채취→내명부·외명부의 뽕 채취→예필→왕비 자리로 돌아오는 방식을 취하였다. 영조43년의 의식은 성종 대와 유사하게 시행되었지만 이때에는 혜빈과 왕세손빈이 행사에 참여했기 때문에 이들이 7잎의 뽕나무를 채취하는 의식이 설정되어 있었고, 또 잠모가 고두례를 시행하는 방식이 첨가되어 있었다. 성종대에는 왕비의 채상단이 북쪽에 설치되어 있고, 내명부와 외명부의 채상단이 별도로 설치되었지만 영조 대에는 혜빈과 왕세자빈의 채상단과 내명부와 외명부를 합친 내외명부단이 합쳐서 설치되었던 것이다.
    그런데 선잠단의 규모는 국조오례의에 사방 2장 3척, 높이는 2척 7촌으로 설정되어 있었으나 친잠의궤나 춘관통고에서는 경복궁에 설치한 선잠단을 방(方) 14척, 고(高) 2척으로 설정하여 원래 선잠단의 크기보다 약간의 축소를 보이고 있다. 그런데 이것은 경복궁밖에 있는 선잠단을 새로 고치고 이를 바탕으로 경복궁에 선잠단을 제작한 것이 아니라 따로 경복궁에 왕비의 제단을 만들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따라서 대한예전에서도 영·정조대의 새로 바뀐 제단의 규모가 아니라 국조오례의의 사방 2장 3척, 높이 2척 7촌의 기록을 따랐던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ovement of the queen by examining the rituals of the queen's Seonjamdan and the rituals at Chaesangdan, which were carried out in the 8th year of King Seongjong and the 43rd year of King Yeongjo. And the size of Seonjamdan recorded in Gukjo-oryeui in the early Joseon period became smaller in Chungwantonggo 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it was intended to examine the reason.
    In the 8th year of King Seongjong's reign, after the bureaucratic rites were held at Seonjamdan, the queen's ritual act was held at Changdeokgung, but there was no relative of the queen here. It came out of the ceremony that the queen could not go out of the palace to hold the ceremony, and the bureaucrats conducted the entire ceremony. However, in the 43rd year of King Yeongjo, the queen's ancestral rite was carried out following the participation in ancestral rites through the MyoHyeonrye(廟見禮) of Jongmyo and Yeongnyeongjeon of Sukjong's era. When the king's personal sacrifice was held, a male official was in charge of the preparation process, but when the event started, the ceremony was conducted with the help of a female palace official.
    This ceremony was entirely attended by women, and was performed in a very similar way to the Seongjong and Yeongjo era. In particular, during the reign of King Yeongjo, the queen collected 5 types of mulberry leaves, Hyebin and Crown Princess collected 7 types, and Naimyungbu(내명부) and Oemyungbu(외명부) collected 9 types of mulberry. The ceremony of Yeongjodae was similar to that of Seongjongdae, but Hyebin and Crown Prince newly participated in the event, and a person named Jammo performed Go Du-rye to the queen was added.
    However, in 『Gukjo-oryeui』, the size of Seonjamdan was set to be 2 Jang(2장) and 3 cheok(3척) on all four sides and 2 Jang(2장) and 7 chon(7촌) in height. It is different by setting it to 14 cheok(14척) and 2 cheok(2척) high, but this is a reworked Seonjamdan outside Gyeongbokgung, not a rebuilt Seonjamdan. Therefore, in Daehanyeje, the contents of Gukjo-oryeui were written without paying attention to the Seonjamdan of Yeongjo perio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여성과 역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1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