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禪師의 ‘여유로움’과 한국 禪詩에서의 구현 (‘Breadth of mind’ of Seon monks, and its realization in the Seon poetry in Korea)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1.06
37P 미리보기
禪師의 ‘여유로움’과 한국 禪詩에서의 구현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한문학연구 / 47호 / 237 ~ 273페이지
    · 저자명 : 조상현

    초록

    본고에서는 선사의 삶에 드러난 覺者의 여유로움을 규정하고, 이것의 시적구현을 한국 禪詩에서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즉 이러한 선사의 여유로움을 ‘대상에 無碍한 여유로움’과 ‘生死에 自在한 여유로움’으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구체적으로 ‘대상에 무애한 여유로움’은 法界의 實相과 自我의 內面을 관조하여 그 본질이 空性임을 투철히 깨닫고는 현실의 어떠한 상황에서도 걸림 없이 자유로운 여유임을 밝혔다. 이는 또한 眞/俗이 다르지 않는 ‘眞俗不二’의 여유로도 나타난다. 즉 臨濟 義玄(?∼867) 禪師의 법문을 통해 선사들이 대상에서 자유로울 수 있는 원인을 밝혔으며, 龐居士(?~?)·丹霞 天然(739~824)·鏡虛 惺牛(1846~1912) 선사의 일화를 통하여 그에 대한 구체적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생사에 자재한 여유로움’은 선사들이 삶을 유희하며, 죽음에 초연한 여유임을 논하였는데, 普化 및 龐居士와 그의 딸 靈照의 입멸 이야기를 통해 선사들의 생사에 자재한 여유를 고찰하였다.
    한편 이러한 선사들의 여유로움은 한국 선시에서도 구현되는데, 본고에서는 위의 특징에 따라 ‘대상에 무애한 여유로움’과 ‘생사에 자재한 여유로움’이 구현된 시를 분석하였다. 즉 白雲 景閑(1299~1374)의 ‘無心’과 眞覺 慧諶(1178~1234)의 ‘眞俗不二’ 등이 구현된 시를 통해 ‘대상에 무애한 여유로움’의 시적 구현을 살펴보았고, ‘생사에 자재한 여유로움’은 太古 普愚(1301~1382), 懶翁 慧勤(1320~1376), 淸虛 休靜(1520~1604)의 시에서 그 구현 양상을 자세히 파악하였다. 특히 선사들의 「臨終偈」를 중심으로 선사의 ‘생사에 자재한 여유로움’의 시적 구현을 살펴보았는데, 그 중 懶翁과 淸虛의 「臨終偈」는 상호보완적 의미를 갖추고 있음을 확인 하였다. 즉 각각의 선시에는 ‘卽心卽佛’의 唯識佛性思想과 ‘非心非佛’의 般若中觀思想에 의거한 생사자재의 선사상이 나타난다. 하지만 括虛 大師(1720~1789)의 詩文에서는 兩者 融會的 사상이 나타난다. 특히 그의 「臨終偈」에는 그러한 사상이 선명히 구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禪詩는 논리적 사상에 의거하여 창작 되는 것이 아니라 철저한 수행을 바탕으로 이루어진 自覺에 의한 것임도 浮休堂 大師(1543~1615)의 시를 통해서 살펴보았다.

    영어초록

    This study examines to define the breadth of mind of seon monks and its realization in the seon poetry in Korea. The breadth of mind is divided into two: ‘breadth of mind to free from the object' and 'breadth of mind to free from life and death.' Specifically, ‘breadth of mind to free from the object’ is a mind to meditate the reality of the universe and inner side of ego, and to realize its nihility as a nature that gives a bold mind in any circumstances. It illuminates the reason for free through the lesson of Imje Euihyeon(臨濟 義玄, ?∼867), and examines specific features through the anecdotes of Banggeosa(龐居士, ?~?)· Danha Cheonyeon (丹霞 天然, 739~824) · Gyeonhe Seongwoo (鏡虛 惺牛, 1846~1912). And, the breadth of mind to 'free from life and death' is a mind to enjoy life and to keep clear of death. It is particularly examined by the stories of death of Bohwa(普化), Banggeosa(龐居士) and his daughter Youngjo(靈照).
    Such mind of monks based on mindless(無心) is realized in the seon poetry of Korea. This study, according to the above features, analyzes the poems that realize 'breadth of mind to free from the object' and 'breadth of mind to free from life and death'. 'mindless' of Jawoon Gyeonghan (白雲 景閑, 1299~1374), and 'non-duality of ultimate truth and relative truth' by Jingak Hyesim (眞覺 慧諶, 1178~1234) are chosen to investigate the breadth of mind to free from the objects'. And ‘the breadth of mind to free from life and death’ is investigated through the poems of Taego Bowoo (太古 普愚, 1301~1382), Naong Hyegeun (懶翁 慧勤, 1320~1376), and Cheongheo Hyujeong(淸虛 休靜, 1520~1604). The poetic realization of 'freedom from life and death' is investigated based on Imjonggye(「臨終偈」, deathbed confession), among which confessions of Naong(懶翁) and Cheongheo(淸虛) are complementary to each other. Each poem has a seon thought based on knowledge based attaining Buddhahood thought(唯識佛性思想) of ‘This very mind itself is Buddha.'(卽心卽佛’), and 'Banyajunggwan' thought (般若中觀思想) of 'This very mind which is Buddha is neither mind nor Buddha.'(非心非佛). However, the poem of the great Gwalheo (括虛 大師, 1720~1789) shows syncretic thoughts of both ideas and it is clearly embodied in his 'Imjonggye'(「臨終偈」). However, the fact that the seon poetry is not created by the logical ideas, but by the thorough seon practice is also examined by the poems of the Great Buhudang (浮休堂 大師, 1543~1615).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한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9:3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