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대행선과 묵조선 수행의 심리적 성격 고찰 (An Exploration into the Psychological Attributes of Daehaeng Seon and Silent Illumination)

4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21.08
40P 미리보기
대행선과 묵조선 수행의 심리적 성격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행선연구원
    · 수록지 정보 : 한마음연구 / 7권 / 97 ~ 136페이지
    · 저자명 : 김호귀

    초록

    대행선 수행의 근거는 주인공에 대한 믿음을 들 수가 있다. 이 경우의 믿음은 맡겨놓고 관찰하는 행위를 포함하고 있다. 이와 같은 모습은 또한 묵조선 수행의 경우에 이미 본증의 입장에 대한 자각을 통하여 지관타좌只管打坐로 그것을 몸소 체험하는 것과 통하는데, 이 경우에 그 주체는 다름 아닌 자기의 몸이고 마음이다.
    묵조선 수행의 경우 이처럼 자신의 몸으로 구현되는 온전한 상태는 지관타좌이고, 마음으로 구현되는 온전한 상태는 본증本證에 대한 자각이다. 이들 지관타좌와 본증에 대한 자각의 방법으로 제시되는 무분별의 사량이 바로 비사량非思量의 심리이다. 따라서 우선 조작적이고 의도적으로 닦아야 할 것은 따로 없다는 생각을 지니는 것이 묵조선의 수행에 들어가는 행위이다. 이를 위하여 보리심을 일으키는데 그것이 바로 발심이다. 따라서 묵조선에서 발심에 대한 완성 곧 믿음의 자각은 본증의 사실이 누구에게나 갖추어져 있는 것을 체험하는 행위라는 점에서 본래성불과 상통한다.
    이러한 점은 대행선 수행의 심리적인 성격일 뿐만 아니라 묵조선 수행의 심리적 성격이기도 하다. 이것은 스스로 만들어 낸 발심의 완성이기도 한 믿음을 좌선삼매를 통하여 부단히 검증하고 마침내 자신이 인정하는 것이다. 자신이 만들어낸 믿음은 주체적인 믿음이다. 곧 지관타좌에서 자기의 본래면목을 궁구하는 것인데, 온통 자신을 송두리째 그 대상 곧 자기를 궁구하는 행위에 끌어들여 하나가 되는 경험이 바로 자각이다.
    이것이야말로 공안을 자각하는 것으로 분별이 없는 전일한 사량 곧 비사량의 체험으로서 망념이 사라진 본래 믿음의 현성이다. 이것이 곧 평등과 청정의 구현이고, 주인공의 자각이며, 자성불에 대한 맡겨놓음이다. 그것은 필연적으로 추구함이 없이 추구하는 유심정토의 구현이고, 분별이 없는 사량으로서 비사량이며, 자신의 주체성을 확인하는 작업으로서 소위 자성불 내지 본각성에 대한 완성이기도 하다.

    영어초록

    In the foundation of Daehaeng Seon practice is faith in one’s Juingong [True Master]. Faith in this respect includes the act of surrendering and observing the self. This act has some connection with “silent illumination meditation” in which one personally experiences silent illumination through “just sitting (只管打坐 shikantaza)”, based on one’s own realization of original enlightenment, and in this case, the main agent of experience is one’s own body and mind.
    In silent illumination meditation, the complete state expressed through one’s body is “just sitting,” and the complete state expressed through one’s mind is the realization of one’s own original enlightenment. Non-discriminating thought, which is one way to realize just sitting and original enlightenment, is the psyche of non-thinking. Therefore, entering silent illumination meditation entails thinking that there is nothing particular for one to cultivate intentionally or otherwise. To this end one arouses the mind of enlightenment (bodhicitta), which means to arouse the aspiration for enlightenment. Consequently, completely arousing this aspiration in silent illumination meditation or the self-realization of faith interpenetrates with the concept of original Buddhahood in that it is an act of experiencing the fact of original enlightenment which is inherent in all of us.
    This represents the psychological attributes of both Daehaeng Seon and silent illumination meditation. One ceaselessly verifies one’s faith, which is also completion of the aspiration one has aroused on one’s own, through concentration from sitting meditation, and ultimately acknowledges this faith for oneself. Faith cultivated by oneself is autonomous faith. In other words, one investigates one’s true nature through sitting meditation, and the experience of immersion in the act of investigating the self and of becoming one with this act is self-realization.
    This is to penetrate one’s gongan (公案 Jap. Koan), an experience of non-discriminating, single-focused thinking, which is the state of “non-thought”; it is the manifestation of original faith where deluded thoughts vanish. This is the embodiment of equality and purity, the self-realization of Juingong, and the surrender to one’s inherent Buddha nature. This is the realization of the “Pure Land of mind-only” where one seeks without seeking; it is non-discriminating thinking which is non-thinking; and it is to confirm one’s autonomy, which is the perfect attainment of one’s inherent Buddha natu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마음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