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영남선비들의 구곡경영과 최남복의 백련서사 (Yongnam Sunbi's Gugok Management & Chae Nam-bok's Backryen-seosa)

6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10.12
60P 미리보기
영남선비들의 구곡경영과 최남복의 백련서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영남학 / 18호 / 99 ~ 158페이지
    · 저자명 : 이종호

    초록

    주희의 무이구곡 경영과 「무이도가」가 조선에 소개된 이후 한국의 구곡문화가 전개되었다. 초기 구곡문화의 전개는 15세기 영남사림파의 형성과 연계되어 있다. 성리학적 세계관을 공유한 영남사림은 은둔과 소요의 공간으로 구곡원림을 기획했다. 아울러 문학이나 회화, 건축 등을 통하여 구곡경영의 의의를 부각시켰다. 조선의 구곡문화는 조선중기 퇴계 이황을 만나면서 몇 가지 주요한 특징을 드러낸다. 이황은 구곡을 이상과 현실의 조화에서 이해했다. 도가적 별유천을 부정하고 현세에서 이상향을 찾으려 했다. 이황은 주희의 「무이도가」가 주로 경치를 노래한 것으로 보아 도학적 의미를 크게 부여하지 않았다.
    이황은 「무이도가」를 차운하고 도산서당을 중심으로 원림을 경영하여 영남학파 구곡시가 창작에 절대적인 영향을 끼쳤다. 율곡 이이는 직접 석담에서 구곡원림을 경영하면서 「고산구곡가」를 지어 기호학파의 구곡문화 인식에 전범으로 작용하였다. 이이의 「고산구곡가」는 주자학의 조선적 전개를 표지하는 중요한 단서가 될 뿐 아니라 이황이 미처 성취하지 못한 구곡문화의 토착화를 웅변하고 있어 문화사적 의의가 크다. 기호 서인들은 보고 배울 모델이 있었기에 구곡경영에 적극적인 편이었다. 반면에 이황이 몸소 구곡경영을 시범하지 않았기에 18세기 후반까지 영남의 구곡경영은 좀처럼 시도되지 않았다.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초반에 오면 영남선비들의 구곡경영과 구곡시가 창작이 활기를 띠어간다. 그 가운데서 최남복(1759~1814)의 구곡경영은 주목할 만하다. 최남복은 울산 반구대 주변에 백련구곡을 지정하고 백련서사를 경영했다. 백련구곡은 주희 이래 틀이 잡힌 구곡문학의 18세기 말기적 특징을 잘 보여준다. 최남복은 여러 편의 한시와 산문을 통해 백련구곡의 의미와 이상을 밝혔다.
    최남복의 연화동천 경영은 혼란한 현실 상황을 단순히 도피하여 은둔하는 것에 목표를 두지 않았다. 그는 서학이 유교전통의 예교질서를 흔들고 당쟁의 편파적인 의론이 사대부의 은둔을 촉진하는 현실을 성리학적 이념으로 무장하여 극복하고자 했다. 또한 개인적으로는 마음의 안정을 통해 육신의 병고를 다스리고자 하는 목적도 한 몫 했다. 장수와 유식의 공간인 蓮華書社에서 최남복은 독서와 강학을 통해 虎溪三笑로 유명한 慧遠法師의 晉代風流를 재현하고자 했다. 또한 연화동천의 산수경치를 폭넓게 감수함으로써 보다 심화된 天人合一의 경계에 다가서려 했다. 최남복은 백련동천에서 온갖 시름과 번뇌가 소거된 淸虛한 경지를 보고 싶어 했다.
    요컨대 최남복의 구곡경영은 난세에 明哲保身하는 한 가지 방편으로 추구된 측면이 강하다. 사대부가 뜻을 잃으면 산림 속으로 몸을 숨겼다. 당쟁이 살육과 복수로 점철되자 조선은 참으로 벼슬하기 어려운 나라가 되었다. 당쟁이 신선세계와 같았던 조선을 하루아침에 아수라장으로 만들어버린 것이다. 최남복의 明哲保身이 주는 정치사적 의미이다. 최남복은 사적 욕망을 억제하여 명철보신의 생활철학으로 세상을 살아가지 않는 한 어디에도 파라다이스는 없다고 생각했다. 이것이 조선후기 구곡경영의 이상향이 드러내는 양면성이다.

    영어초록

    In late 18th century, Yongnam sunbi's gugok management and gugok poetry writing showed signs of activity. Chae nam-bok(1759~1814)'s was considered the most noteworthy. He designated Backryen-gugok and managed Backryen-soesa near the Bangudae in Ulsan province. The Backryen-gugok was typically characteristic of late Chosun's gugok culture which originated in the Chuxi of Namsong very well. Chae said so clearly his utopia through gugok poems and sansu proses in chinese characters.
    What is the goal of Chae's management of Yeonhwa-dongchun? Simply escaping from a chaotic realities or renouncing the world was not his ultimate goal. He thought we should protect the traditional Confucian moral philosophy which was being destroyed due to a pollution by Western Learning, espec. Catholics. Besides he believed that the cruel strife between the parties stimulate Sadaebu, cultured noblemans secluding themselves in a mountain hermitage. Therefore Chae decided to overcome conflicts and troubles between realities and ideals by rearmament of Neo-confucian ideology.
    In the space of changsu and ganghak, Backryen-seosa, Choe would try to practice reading of classics and discussion about philosophical subjects, while he had a desire to reproduce Dongjin dynasty's poongryu(wonderful moods) being famous by 'Hogaesamso' episode came from Heawon who was a high buddhist monk of China at the same time. In short, he managed Backryen gugok to take care of his health and improve his mental state through enjoying beauties of nature. So he hoped to reach a unity between heaven and man by controling man´s endless human desire. That is a ideal utopia that he dream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영남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16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