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후기 선리비판의 근원에 대한 고찰 (A study on the source of the criticism of zen-theory in the Late-Joseon Dynasty)

2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22.08
28P 미리보기
조선후기 선리비판의 근원에 대한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선학회
    · 수록지 정보 : 禪學(선학) / 62호 / 125 ~ 152페이지
    · 저자명 : 김호귀

    초록

    조선후기에 임제종지를 중심으로 출현한 선리논쟁은 한국선의 특색을 보여주는 역사였고 사건이었다. 그 논쟁의 핵심은 백파의 선론을 둘러싸고 벌어진 여타의 비판과 옹호와 반박과 수렴 등의 모습으로 전개되었다.
    본고에서는 그 발단에 해당하는 논점을 기존의 많은 논고에서 『선문수경』을 대상으로간주하여 논의했다는 점을 부분적으로 인정하고, 나아가서 『선문수경』 이전에 출현한『선문오종강요사기』의 내용을 분석하여 거기에 이미 논쟁의 여러 주제에 해당하는 주장이 이루어졌다는 점을 고찰하였다. 『사기』에서는 선종오가와 관련한 삼종선을 비롯하여 임제삼구, 그리고 임제삼구로부터 분화한 격외선과 여래선과 의리선의 의미 등 다양한 선리에 대한 이해를 『임제록』을 위시하여 『선문강요집』과 『선문오종강요』를 통해서 천착했던 백파의 안목을 엿볼 수가 있었다.
    나아가서 백파의 견해에 대하여 초의가 비판한 일곱 가지 주제 가운데 다섯 가지, 그리고 우담이 비판한 네 가지 주제도 『사기』에 이미 드러나 있었다. 이러한 점은 초의와 우담이 비판한 백파의 견해에 대한 내용이 비단 『선문수경』만이 아니었음을 보여준 것이므로, 이후의 비판에 대한 대상과 주제를 보완해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나아가서 그들비판의 연원 내지 발단의 역할을 제공해줄 수도 있을 것이다. 그 때문에 이후로 백파의선리논쟁에 대한 이해는 『선문수경』을 넘어서 우선적으로 『사기』에서도 찾아보아야 할필요성이 제기되었다. 따라서 임제종지에 대한 백파의 견해는 50대 후반의 저서로부터79세 때 저술한 『법보단경요해(法寶壇經要解)』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견지되어 있음을엿볼 수가 있는데, 그 직접적인 단초를 『사기』에서 찾아볼 수가 있었다.

    영어초록

    The criticism of zen-theory, which appeared in the late Joseon-Dynasty, centered on the end of Línjizong, was a history and an event that show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zen.
    It may be natural to think that the history of the so-called Korean-zen has been around the end of Línjizong, but it is unique that the controversy over the relatively short end of Línjizong has continued for over a hundred years. The core of the debate was the criticism, advocacy, refutation and convergence of other criticisms surrounding Backpa-Geungsun's zen-theory.
    In this paper, I partially acknowledged that the arguments corresponding to the beginning were discussed in many existing papers by considering the subject of the Seonmoon-soogyeong, and furthermore, I analyzed the contents of the previous Seonmoon-Ojong-gangyo-Sagi of the Seonmoon-soogyeong and examined that there were already various arguments on the subject of the debate.
    For example, in the Seonmoon-Ojong-gangyo-Sagi, the understanding of the three types of Zen related to the five Zen-sects, Línji-sānju, and various concepts differentiated from Línji-sānju, including Línjilu, and the Seonmoon gangyojip and Seonmoon-gangyojip, The Backpa-Geungsun's perspective which was studied deeply through SeonMoon-Ojong-gangyo, was also seen.
    For example, five of the seven topics criticized by Choui-uisoon about Backpa-Geungsun's views, and four topics criticized by Udam-honggi were already revealed in the Seonmoon-Ojong-gangyo-Sagi.
    This is because the contents of Backpa-Geungsun's views criticized by Choui-uisoon and Udam-honggi showed that they were never Seonmoon soogyeong, so they can complement the subject and theme of the criticisms and also provide the role of origin or origin of their criticism.
    Since then, the understanding of Backpa-Geungsun's the criticism of zen theory has been suggested to be found in the Seonmoon-Ojong-gangyo-Sagi, which is before the Seonmoon-soogyeong.
    Therefore, the Backpa-Geungsun's view on the end of Línjizong is consistently claimed fromthe writings ofthe late 50sto theBuppbodangyeong Yohae written at the age of 79, and the direct appearance of the works can be found in the Seonmoon-Ojong-gangyo-Sagi.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禪學(선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2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