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독도의 영토주권 평화선 존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xistence of a Peace Line of territorial sovereignty on Dokdo)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3 최종저작일 2023.12
36P 미리보기
독도의 영토주권 평화선 존재에 관한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독도연구 / 35호 / 107 ~ 142페이지
    · 저자명 : 김명기, 김도은

    초록

    이 연구는 특수국제법상 수역인 인접해양을 연구 중심으로 하여 인접해양주권선언, 평화선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한민국 정부는 1952년 1월 18일 인접해양에 대한 주권 선언을 국무원고시 제14호로 선언했다. 동 선언은 전문과 4개항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1항은 대륙붕, 제2항은 어업보전수역, 제3항은 인접해방주권의 경계선, 그리고 제4항은 공해의 자유이다. 그중 제3항인 인접해양경계선은 평화선 또는 이승만 라인이라고 부르며, 이 경계선 내에 독도가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제3항은 인접해양의 경계선이고 동시에 독도의 영토주권이 한국에 귀속된다는 독도의 영토주권 선언의 의미를 갖고 있다. 평화선 선언이란 넓게는 인접해양주권선언을 의미하며, 좁게는 제3항의 인접해양 경계선의 선언과 독도의 영토주권 선언을 의미한다. “인접해양 주권선언”이 1952년 있은 후 1965년 “한일어업협정”이 체결되어 이 두 협정에 의해 인접해양 국제선언의 내용이 저촉되게 되고 또한 유엔해양법협약이 채택되고 한국이 이에 가입하게 됨에 따라 제정된 배타적경제수역법에 의해 인접해양주권선언의 내용이 저촉되게 됨에 따라 평화선 선언이 실효되게 되어 평화선이 소멸되게 되었다는 주장이 제기되게 되었다.
    그러나 “한일어업협정”은 한국과 일본이 체결한 것이므로, 이러한 주장은 한국과 일본과의 관계에서만 가능하며 일본 이외의 국가에 대해서는 그러한 주장이 불가능한 것이다. 인접해양주권선언 후 이를 시행하기 위한 어족자원보호법은 법적으로 아직 유효하며, 어업협정과 인접해양주권선언에 저촉되면 어업협정이 우선 적용되는 경우 인접해양주권선언은 무효로 되나 소멸되는 것이 아니다. 영토주권의 선언은 대체의 대상이 될 수 없는 것이므로 “인접해양주권선언” 즉 “평화선 선언”은 유효하며 독도는 한국의 주권현시 하에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The President of the Republic of Korea developed “the Republic of Korea President Proclamation of some over Adjacent Sea” on January 18 1952. The declaration constitutes a preamble and 4. paragraphs. The paragraph 3 stipulates as following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hereby declares and maintain. The Lines of demarcation as given below, which shall define and delineate the zone of control and protection of the national resources and control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witch shall be liable to modification, in accidence with the circumstance arising from new discoveries, studies of interests that may come to light in future. The zone to be placed under the sovereignty and protec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shall consist of seas lying between the coasts of the peninsular and insular territories of Korea and the line of demarcation made from the continue” of the following lines.
    The line of demarcation grave maintained is so called peace line. Dokdo is located inside of the line of demand Korean. The Fishery agreement of 1965 and 1989 between the Republic of Korea the Law of 1998 conflict with the proclamation. Therefore, the Opinion concerning the existence of the Proclamation, that is to say, Peace Line are divided positive and negative. However this study is maintain the Position which the proclamations is not nullified but existence of account the following reasons.
    (ⅰ) The protection of history resources law to enforce the Proclamation is has the legal effect since history Agreement between the Po-public of Korea and Japan was concluded 1965.
    (ⅱ) The Proclamation was declared toward not only Japan but also all states.
    (ⅲ) The Proclamation I contained territorial sovereignty that could not be nullified.
    (ⅳ) In conflict of law, the law not choose is not nullified but excluded to apply.
    (Ⅴ) The “Peace Line Declaration” is valid.
    It is urgently requested for the to inform the fact that peace line is sovereignty to the an peopl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독도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5일 금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8: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