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韓國 禪畵에 관한 小考 (The study of Zen Painting in Korea)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09.02
36P 미리보기
韓國 禪畵에 관한 小考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보조사상 / 31호 / 304 ~ 339페이지
    · 저자명 : 문경순

    초록

    인간은 구체적 형상의 세계에 살고 있다. 우리는 이 형상의 세계에서 구체적 대상을 관조함으로써 미를 체험한다. 예술은 역사적으로 종교를 모태로 탄생하여 발전되었고 종교는 예술의 힘과 함께 더욱 심화될 수 있었다. 예술은 일종의 종교적 의미, 다시 말하면 깊은 흔들림이 없는 엄숙성에 자리 잡고 있다. 그 때문에 회화를 포함하는 조형예술은 종교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왔고 다양한 조형예술은 종교와 그 맥을 함께하고 있다.
    禪畵는 불교의 종파인 禪宗이 자유로운 繪畵精神과 결합해 창출한 독특한 藝術形態이다. 禪宗의 사상 아래 행해진 禪의 經驗에 대한 회화적 표현이며 언어와의 결합이 불가능한 예술가 자신의 내면의 반영으로써 깨달음의 깊이를 나타내는 회화라 할 수 있다. 禪의 繪畵理念은 정신수양으로 이루어지는 宇宙無限의 抽象美로 그에 관계되는 소재를 다루어 禪宗의 傳法手段으로 사용되었으며 達磨를 비롯하여 祖師像, 羅漢, 尋牛圖 등에 그 정신이 많이 들어있다. 이 중 達磨와 尋牛는 禪畵의 美的 분위기를 갖추는 독특한 효과를 지니고 있으면서 화면 안에 깨달음의 표현이라 할 수 있는 선정의 직관적 세계를 목적으로 한다.
    中國 선종은 달마(Bodhidharma)로부터 계속적인 발전을 가져오다가 五祖 弘忍 이후 六祖 慧能에 이르러 南宗禪과 北宗禪으로 양분된다. 이는 明代의 董其昌과 莫是龍 등이 주장한 南北分宗論의 繪畵로 二分하는 구분개념에 이르렀고 文人畵家들에게 精神的ㆍ樣式的 인 면에서 영향을 끼쳤으니 禪의 범주가 미치는 직ㆍ간접적 영역은 실로 막대하다 하겠다.
    우리나라에서는 新羅末부터 유입되기 시작한 禪宗과 관련하여 朝鮮時代 前半期 末葉에 金明國, 韓時覺을 비롯한 몇몇 畵家들에게서 達磨와 布帶를 소재로 한 다수의 우리나라 禪畵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작품을 찾을 수 있다.

    영어초록

    Human beings are living in the concrete world. We experience the beauty by contemplating the concrete objects in that world. Religion gave birth to art and has developed it from the perspective of history while religion has been more intensive along with the power of art. Art resides in a kind of religious meaning, i.e. in the deep and unchangeable solemnity. Hence, art has been closely associated with religion and the history of art has been together in line with religion.
    Zen painting is a unique pattern of art which was created with the combination of free painting spirits by Zen Buddhism as a sect of Buddhism. It is an expression of painting not only for Zen experience that has been performed under thoughts of Zen Buddhism, but also for the depth of awakening as reflection of one's own introspection of an artist which can be hardly combined with any language. The ideology of Zen painting has been used as instruments to propagate Zen Buddhism while dealing with materials related to the abstract beauty of cosmic infinity which is organized with the spiritual cultivation of mind. Much of such spirits are contained not only in Dharma but in the founder image of the sect, disciples of Buddha, painting of Simwu (searching for the ox), etc. Dharma and Simwu among them aim at the state of pure conscience that might be called expressions of Zen spirits in screens while sustaining unique effects with the aesthetic atmosphere of Zen painting.
    Zen Buddhism in China was bisected into both the south and north division of Zen Buddhism when it came to the Sixth Patriarch Huineng after the Fifth Patriarch Hongren as it had been continuously advanced since Bodhidharma. This again affected the divisional concept to bisect into the theory of both the south and north divisional Zen painting suggested by Dong Qi-Chang and Mo Shi-Long in Ming Dynasty, which can be said to have great direct and indirect influences on the scope of Zen in the history of painting.
    We can find many works with Dharma and Budai as their artistic materials from a few painters including Kim Myung-Kook and Han Si-Gak in the end of first half in Chosun Dynasty, which might be considered representative in Zen painting in our country, in relation with Zen Buddhism that began its inflow from the end of Kingdom Shill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조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2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5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