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금당 이재복의 선사상 (The Great Master Yongbong, Geumdang Lee Jae-bok’s Seon Thought)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9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24.06
29P 미리보기
금당 이재복의 선사상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각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대각사상 / 41호 / 143 ~ 171페이지
    · 저자명 : 김방룡

    초록

    본 고는 대전-충남지역의 대표적인 교육자이자 시인으로 알려진 금당 이재복(1918~1991)의 선사상을 밝힌 글이다. 이재복은 일제강점기 석전 박한영의 영향 아래 불교 근대화의 길을 찾기 위해 애국 애족의 마음을 가지고 교학과 역경 및 문예 분야에 큰 노력을 기울였다. 해방 이후 한국불교태고종의 창종에 큰 역할을 하였던 이재복은 대전-충남지역을 중심으로 교육자와 시인 그리고 불교 대중화에 크나큰 족적을 남겼다.
    근현대 고승으로서 이재복의 위상이 확고하지 않은 현실에서 이재복의 선사상에 대한 연구는 미개척 분야이다. 이재복의 선사상을 밝히기 위하여 그의 생애 및 『용봉 대종사 이재복 선생 전집』 그리고 금당의 시집을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이재복의 삶과 사상 속에 드러난 선사상의 내용과 특징을 규명하였다.
    일제강점기와 해방 후 분단과 혼란의 시기를 살다 간 이재복의 삶은 승속(僧俗)을 초탈한 보살승이자, 선교(禪敎)를 아우르면서도 선사(禪師)의 모습에 얽매이지 않은 선사였다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이재복의 선사상을 규명하고자 하는 시도는 근현대 한국불교의 질곡 속에서 타자화되고 우리들의 기억 속에서 사라져가는 고승들의 삶을 복원해가는 과정이라 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reveals Seon thought of Geumdang Lee Jae-bok (1918~1991), known as a representative educator and poet in the Daejeon-Chungnam area. Under the influence of Seokjeon Park Han-young in Japanese colonial era, Lee Jae-bok made great efforts in the fields of Buddhist studies, Buddhist scripture translation, and literature with the heart of patriotic love to find the way to modernize Buddhism. Lee Jae-bok, who played a major role in the founding of the Taego order of Korean Buddhism after liberation, left a great mark on educators, poets, and the popularization of Buddhism in the Daejeon-Chungnam area.
    In the reality that Lee Jae-bok’s status as a modern high monk is not firm, research on Lee Jae-bok’s Seon thought is an unexplored field. In order to reveal Lee Jae-bok’s Seon thought, the writer analyzed his life, 『The Great Master Yongbong, Lee Jae-bok’s collection』, and the poetry of Geumdang, and then identified the contents and characteristics of Seon thought revealed in Lee Jae-bok’s life and thoughts through this work.
    It can be said that Lee Jae-bok, who lived in a period of division and chaos after Japanese colonial era and liberation, was a Bodhisattva who transcend the sangha and the vulgar and a Seon master who was not bound by the appearance of a Seon master while encompassing Seon school and doctrinal school. Therefore, attempts to identify Lee Jae-bok’s Seon thought can be said to be the process of restoring the lives of the ancient monks who are otherized in the fetter of modern Korean Buddhism and disappearing from our memorie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각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EasyAI 무료체험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1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42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