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조선전기 『風雅翼選詩』의 간행과 『選詩補註』의 주해방식에 대하여 (The publication of Fengyayi Xuanshi (風雅翼選詩) in the early Joseon period and its historical meaning)

3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8.06
36P 미리보기
조선전기 『風雅翼選詩』의 간행과 『選詩補註』의 주해방식에 대하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한문고전학회
    · 수록지 정보 : 漢文古典硏究 / 36권 / 1호 / 123 ~ 158페이지
    · 저자명 : 노요한

    초록

    세종은 활자로 서적을 간행하여 문신들에게 반포하고 지방관아로 하여금 정판 간행케 함으로써 문화 수준을 향상시키려고 하였다. 詩學을 진흥시키기 위해 경자자로 『選詩演義』(1422, 1434)를 간행하고, 『分類補註李太白詩』(1435), 『唐柳先生集』(1440)을 갑인자로 간행하였으며, 별도로 『唐詩鼓吹』ㆍ『續鼓吹』도 갑인자로 간행하였다. 그 후 세종은 劉履의 『風雅翼選詩』를 갑인자로 간행하였다.
    『風雅翼選詩』는 劉履가 주희의 유의를 계승하여, 『문선』에서 시를 선별하고 『문선』에 누락된 시를 채록하여 『選詩補註』를 엮고, 다시 唐虞 이래 晉에 이르기까지 傳記와 諸子集에 산견하는 古歌辭를 선별하여 『選詩補遺』를, 그 외 唐宋의 여러 작품들과 주희 「감흥시」를 선하여 『選詩續編』을 엮은 것이다. 유리는 또 세 편 모두에 대해 주해를 붙이되 『선시보주』의 경우 『시집전』과 『초사집주』의 방식을 따랐다.
    劉履의 『보주』는 형식에 있어 『시집전』과 마찬가지로 크게 訓詁를 설명하는 圈內註와 작자의 旨意를 풀이하는 圈外註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내용상 『보주』는 시를 逐句 부연하여 시의 주제를 부각시키는 『시집전』의 주해방식과는 달리, 주석자 자신이 시인의 입장이 되어 詩想의 흐름을 따라가며 詩語에 나타난 시인의 심리를 드러내고자 하였다. 『보주』의 흥설은 『시집전』의 흥설을 대체로 따랐다.

    영어초록

    This article aims to provide the bibliographic information of Fengyayi Xuanshi published with Gabin type in early Joseon period and to describe the features of its grosses.
    King Sejong published various books with newly cast types and made local governments to republish them to improve national cultural level. He ordered to publish Xuanshi Yanyi (選詩演義) with Gyeongja type in 1422 and 1434, Fenlei Buzhu Litaibo Shi (分類補註李太白詩) in 1435 and Tang Liuxiansheng Ji (唐柳先生集) in 1440, both of them with Gabin type, and Tangshi Guchui (唐詩鼓吹) and Xuguchui (續鼓吹) with Gabin type, to develop poetics. It was after the series of publication of Chinese literature books that he ordered to publish Fengyayi Xuanshi (風雅翼選詩) edited by Liu Lü (劉履) with Gabin type.
    Fengyayi Xuanshi is composed of three parts: Xuanshi Buxhu (選詩補註) which is the selection of poems from Wenxuan (文選) and other poems omitted in Wenxuan, Xuanshi Buyi (選詩補遺) which is a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chosen from literatures in ancient China as well as works of the masters, and Xuanshi Xubian 選詩續編 which is a collection of poetry in Tang and Song period with Ganxing shi (感興詩) by Zhu Xi (朱熹) attached. Liu made it clear that it was a task to follow up the intention of master Zhu, and that he also followed the way of commentary suggested in Shi Jizhuan (詩集傳) and Chuci jizhu (楚辭集注).
    The commentary of Xuanshi Buzhu is, in its form, similar to that of Shi Jizhuan which is made up of quannaizhu (圈內註, commentary inside the circle) that explains the meaning of words and its sound etc. and quanwaizhu (圈外註, commentary outside the circle) that explains the meaning of the poems. However, Liu tries to explain the poet's mind behind the words following the flow of sentiment expressed in a poem which is unlike Shi Jizhuan that clarifies the subject of the poems with every sentence explained. As to the theory of Xing (興), Liu follows the theory suggested in Shiji zhuan on the whol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漢文古典硏究”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0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