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선(禪)은 변증법인가?-일심삼문(一心三門)의 가능성과 자유의지- (Is Zen (禪) a Dialectic?: ‘One Mind and Three Gates (一心三門)’ and ‘the Free-Will’)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23.04
25P 미리보기
선(禪)은 변증법인가?-일심삼문(一心三門)의 가능성과 자유의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종교학회
    · 수록지 정보 : 종교연구 / 83권 / 1호 / 149 ~ 173페이지
    · 저자명 : 이찬희

    초록

    성철 스님의 1981년 종정 취임 당시 법어인 “산은 산이요, 물은 물이로다.”라는 화두(話頭)는 깨달음에 대한 논리적이고 교리적인 설명을 초월하여 깨달음을 직접 지시하는 선(禪)의 정신을 잘 나타내 주는 말이다. 그런데이렇게 원래 사량(思量)과 분별(分別)을 허락하지 않는 선(禪)의 화두를 이론적인 설명을 통해서 이해하려는 시도가 계속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선(禪)의 화두에 대해 이론적으로 설명을 시도한 기존의 대표적인 사례로서 고형곤의 선의 세계를 고찰하고, 그의 시도의 적합성을 변증법의부정성의 원리에 내포한 근원적인 이원성(二元性)의 한계라는 점에서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또한 이러한 화두를 철학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또 다른방법으로 셸링의 긍정철학이 가진 유용성과 한계를 고찰하였다.
    나아가 선(禪)의 입장에서는 교(敎)의 방법을 통한 깨달음에의 길에 근원적인 이원성(二元性)이라는 한계가 있음을 일심이문(一心二門)에 대한 논의를 통해 고찰하였다. 하지만 일심이문 또한 근원적인 이항(二項)성에 의거한 사변적인 논리라는 점에서 궁극적인 분별과 부정성에서 벗어나지 못한점을 언급하였다. 나아가 천태종의 일심삼관(一心三觀)에 내포된 삼항(三 項)성을 검토하면서, 선(禪)적 깨달음에 대해 삼항성에 의거한 설명의 타당성을 비판적으로 고찰함과 동시에 삼항성에 내재한 자유의지 관념의 의미에 대해 고찰하였다. 이러한 시도는 헤겔의 변증법적 해석과 셸링의 긍정철학적 해석, 하이데거의 존재론적 해석의 차이점을 밝히며 진행되었다. 나아가 이러한 해석의 차이의 근원으로서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의 일심(一 心)과 이문(二門)의 관계에 대해 고찰하며 언어와 언어 이전, 사고와 사고이전의 깨달음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일심(一心)과 이문(二門)의 관계에서 과연 서양 근대 독일관념론 철학적 의미에서의 자유의지 개념 또한포괄하여 설명되고 있는지를 검토해 보았다. 이를 통해 여기에 내포한 근원적인 이원성(二元性)의 한계를 넘어서기 위한 일심삼문(一心三門)의 가능성을 모색해 보았다. 이를 위해 천태종의 일심삼관(一心三觀)에서 보이는 삼분법(三分法)에 내재하는 근원적인 이항(二項)적인 논리를 지적하였다.
    본 연구의 입장에서 선(禪)이 탄생한 이유는 중론(中論) 등에서 대표되는 불교 논리의 근본적인 틀인 이항(二項)적 성격의 한계에서 기인한 바가크다. 이 또한 실질적/내재적 삼항(三項)이 아닌, 근원적으로 내재된 이항성(二項性)의 전개인 형식적 삼분법을 피할 수 없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일심(一心)이 삼문(三門)일 수 있는 가능성을 통해 삼항(三項)적 논리에 의한 인식론과 존재론의 가능성을 모색해 볼 과제가 생긴다.

    영어초록

    Monk Seongcheol (性徹) said, “Mountain is mountain, water is water.” This well represents the spirit of Zen (禪) that directly instructs enlightenment beyond logical and doctrinal explanations. However, attempts have been made to understand these topics (話頭) of Zen (禪) through theoretical explanations.
    In this study, Ko Hyung-gon (高亨坤)’s ‘World of Zen (禪)’ was considered as an existing representative example that attempted to theoretically explain the topic of Zen (禪). In addition, the suitability of his attempt was critically reviewed, due to its limitation of the fundamental dualism implied in the principle of negativity of dialectics. In addition, the usefulness and limitations of Schelling’s positive philosophy were considered as another way to interpret these topics philosophically.
    Furthermore, it was revealed that there is a fundamental limitation of dualism in the path to enlightenment through the method of teaching. This study considered this point through the discussion of ‘One Mind and Two Gates (一 心三門)’. However, ‘One Mind and Two Gates (一心二門)’ also failed to escape the ultimate discrimination and negativity, in that it was a speculative logic based on the fundamental binary nature. Additionally, the validity of the explanation based on triangulation was critically examined for Zen enlightenment while reviewing the triangulation implied in Cheon Tae-jong (天 台宗)’s ‘One Mind and Three Views (一心三觀)’. At the same time, the meaning of the concept of free will inherent in the three stars was examined.
    These attempts were made by revealing the differences between Hegel’s dialectical interpretation, Schelling’s positive philosophical interpretation, and Heidegger’s ontological interpretation. Furthermore, as the source of this difference in interpreta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One Mind (一心)’ and ‘Two Gates (二門)’ of ‘Discourse on the Awakening of Faith in Mahayana (大 乘起信論)’ was examined. Through this, the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 and language transfer, thinking and realization before thinking was examined. In addition, the question of whether the concept of free will exists in the philosophical sense of modern German idealism in the Wes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ne Mind (一心)’ and ‘Two Gates (二門)’ was examined. Through this, the possibility of ‘One Mind and Three Gates (一心三門)’ was explor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fundamental dualism implied here. To this end, he pointed out the fundamental binomial logic inherent in ‘One Mind and Three Views (一心三觀)’ seen in Cheontaejong (天台宗)’s ‘One Mind and Three Gates (一心三門)’.
    From the standpoint of this study, the reason for the birth of Zen (禪) is largely the limitations of the binomial nature, which is the fundamental framework of Buddhist logic represented by ‘Mūlamadhyamakakārikā (中論).’ This is also because the formal triad, which is the development of the inherent binary star, cannot be avoided, not the actual/internal triad. For this reason, there is a task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epistemology and ontology based on trinomial logic through the possibility that the ‘One Mind (一心)’ can be a ‘Three-Gate (三門)’.
    Through this, the task of simplification arises in the area of how to reach realization beyond thought, beyond the fundamental binary star. Like the binomial dialectic of identity and negativity, the task is not the binomial ontology of identity and difference, but the Korean trinomial ontology and epistemology that appear in the theory of ‘Three natures (三才)’ – that is, ‘Heaven and Earth and Human (天地人)’. This can be called the third something, beyond reason and non-reason.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2:2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