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상담(相談) 및 치유(治癒)」에 대한 대승 간화선의 접근(接近) (An Approach for the Mahayana Kan-hua Meditation(看話禪) about Counseling and Healing黙照禪), and Kan-hua Meditation(看話禪).)

6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1.08
60P 미리보기
「상담(相談) 및 치유(治癒)」에 대한 대승 간화선의 접근(接近)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보조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보조사상 / 36호 / 97 ~ 156페이지
    · 저자명 : 김석암

    초록

    뇌 과학의 입장에서는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는데 불교의 수행방법인 참선 즉 사마타 위빠싸나와 천태의 지관수행 조사선 묵조선 간화선 등의 자료가 적극적으로 상담과 치유와 정신치료에 응용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위빠싸나 수행의 사마타 위빠싸나는 중국에서 지(止)와 관(觀)으로 번역되어 초기선종(初期禪宗)의 수행관으로 발전하였으니 천태지관의 25방편 등 대승선(大乘禪)의 수행법 역시 현대인들에게 맞는 마음 수행법으로 정리 될 수 있다고 생각 된다.
    대승불교의 교학에서는 상좌부의 교학보다는 마음을 좀 더 세밀하게 다루는데 치유에 있어서 병자의 병든 마음을 중생의 분별하는 망심(妄心)의 세부구조를 통하여 설명하고 중생심의 그 바탕에 아뢰야식(阿賴耶識)이 있다고 설명하는 것이 유식(唯識)이다. 유식(唯識)은 인간의 마음을 망식의 입장에서 설명 하지만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에서는 좀 더 발전된 체계로 마음을 설명하는데 그 중생심 속에는 불성(佛性)도 함께 존재한다는 진망화합식(眞妄和合識)의 아려야식(阿黎耶識)을 바탕으로 여래장(如來藏)이 있다고 설명한다. 불각(不覺)인 범부중생으로 떨어지는 유전연기(流轉緣起)와 그 범부중생이 시각(始覺)의 발심(發心)에 의하여 본각(本覺)의 깨달음의 자리로 회귀하는 설명을 하는 진여연기(眞如緣起)의 중심에 여래장(如來藏)이 있는 것이다.
    여래장(Tathagata-Garbha)연기를 통해 중생심 속에는 여래(如來)도 함께 있다는 입장에서 중생이 되고 부처가 되는 마음은 염정연기(染淨緣起)의 3세6추(三細六麤)에 의한 훈습(熏習)으로 번뇌를 조직적으로 설명한다는 면에서 현대인의 고민과 정신치료 및 상담을 잘 설명할 수 있는 방법이라 생각된다. 이러한 대승(大乘)의 교리를 바탕으로 발전된 수식관(數息觀)과 정토세계를 갈망하는 염불(念佛)수행과 조사선(祖師禪)수행, 묵조선(黙照禪)수행 그리고 더욱 발전된 간화선(看話禪)은 중생심(衆生心)이 본래 부처라는 자각(自覺)의 발심으로 더욱 긍정적인 수행의 방향을 제시하고 있으며 현대인의 스트레스와 고민을 해결하는 지남으로서 손색이 없다고 생각된다.

    영어초록

    Samatha and Vipasanna is translated with Chinese '止' and '觀' that developed into early meditation of Seon sect. It is adjustable that Mahayana Meditation is basis of 25means(方便) of Tiantai Meditation(天台止觀), and it is suitable with a moderns.Ālaya-vijñana(阿黎耶識).
    On the contrary, it can explained more developed system about mind on Mahāyāna Awakening of Faith(Dàshéng qǐxìn lùn, 大乘起信論). Moreover, Ālaya-vijñana(阿黎耶識) with sattva nature(衆生心) added to the buddha nature(佛性), that is Tathagata-Garbha(如來藏).  Tathagata-Garbha(如來藏) between Hīnayāna pratītya-samutpāda(流轉緣起) for non-enlightenment(不覺) Sattva(衆生) and Tathāgatha pratītya-samutpāda(眞如緣起) for enlightenment(本覺) Sattva(衆生).ītya-samutpāda(緣起) that is someone can be sattva(衆生) and buddha(佛).
    The Kan-hua Meditation(看話禪) that developed into various meditation based on mahayana theory about sattva nature identical with buddha nature is well presented something positive direction of the practice. It also be a way to fix about stresses and anxieties of toda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보조사상”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