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현대조각의 파편화된 형상과 부분대상에 관한 연구: 마크 퀸의 <완전한 대리석상> (1999-2001) 해석을 위한 이론적 고찰 (Partial Figure and Part Object in Modern Sculpture: Towards Understanding Marc Quinn’s The Complete Marbles (1999-2001))

3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2.08
30P 미리보기
현대조각의 파편화된 형상과 부분대상에 관한 연구: 마크 퀸의 &lt;완전한 대리석상&gt; (1999-2001) 해석을 위한 이론적 고찰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미술사학 / 26권 / 231 ~ 260페이지
    · 저자명 : 정은영

    초록

    본 논문은 2005년 런던 트라팔가 광장의 제 4 대좌에 세워졌던 <임신한 앨리슨 래퍼>를 포함한 마크 퀸의 <완전한 대리석상>(1999-2001)을 연구대상으로 하여 그 조각사적인 위상과 심층심리적인 의미를 고찰한다. 총 열 점의 조각으로 이루어진 <완전한 대리석상>은 장애자의 인체형상을 “[그 자체로] 전체인 사람들의초상조각”으로, 팔다리가 없는 고대 조각에 찬사를 보내는 사람들이 현실의 파편화된 신체에 대해서는 정반대의 반응을 보이는 사실에 주목하여 제작된 것이다.
    <완전한 대리석상>에 함축된 부분과 전체, 주체와 타자, 인체와 대상이라는 문제를 분석함에 있어 본 연구가 핵심 개념으로 사용하는 것은 현대조각의 담론에서발견되는 ‘파편화된 형상(partial figure)’과 ‘부분대상(part-object)’이다. 본 논문은이 두 개념을 각각 형식주의적인 모더니즘 조각과 반(反)형식주의적인 현대조각의내적 논리이자 작동 방식으로 접근하고, 마크 퀸의 인체조각이 지닌 부분대상적인특징을 파편화된 형상과의 관계 속에서 분석, 제시한다.
    현대조각의 시작을 알리는 로댕의 토르소는 광의의 파편화된 형상과 구별되는 현대성을 지닌다. 즉 완전한 조각이 되기 위해 인체의 전체형상을 최종 목적지로 상정할 필요가 없다는 근본적인 인식의 변화와, 재료를 다루는 과정을 그대로드러내어 매체 자체의 물질적인 형식을 강조하는 것이 그것이다. 형식주의 모더니즘 조각의 담론은 로댕의 이러한 파편화된 형상을 추상조각의 출현을 가능케 한시발점으로 본다. 특히 형식주의 모더니즘의 역사에서 콘스탄틴 브랑쿠시의 추상조각은 로댕이 파편화된 형상을 통해 열어놓은 가능성들을 그 한계까지 밀고 나간 결과로 이해된다. 파편화된 형상에서 추상조각으로 나아가는 형식주의적인 진화 속에서 작동하는 중요한 원리는 바로 본질로의 ‘환원’과 순수로의 ‘승화’이다.
    한편 20세기 중반 대상관계이론이 발전시킨 부분대상은 로댕의 파편화된 형상으로부터 브랑쿠시의 추상조각으로 이어지는 모더니즘 조각의 진화론적 발전이론에서 억압되거나 경시되었던 다양한 오브제 작업을 해석할 수 있는 중요한 개념적 도구를 제공한다. ‘탈승화’를 핵심으로 하는 부분대상의 개념을 중심으로 재구축된 현대조각에서 본 논문이 주목하는 것은 마르셀 뒤샹과 루이즈 부르주아의작업이다. 이들의 작품에서 드러나는 부분대상의 해방적인 탈승화는 크게 두 양상으로 나타나는데, 첫째는 성적 리비도의 고착과 고착대상의 전치, 반복 및 확산을원리로 하는 양상이고, 둘째는 논리의 침식과 범주의 해체로 나아가는 전격적인비정형(informe)과 애브젝션(abjection)의 양상이다.
    현대조각의 내적 논리와 작동 방식에 대한 이상과 같은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본 논문은 마크 퀸의 <완전한 대리석상>이 파편화된 형상의 논리를 참조하고나아가 전복함으로써 부분대상적인 충동을 작동시키는 양상을 심층적으로 분석한다. <완전한 대리석상>은 퀸의 표현대로 “전통의 무게를 사용하여 전통 자체를 상쇄”함으로써 현대 조각의 환원과 승화의 원리를 효과적으로 전복한다. 특히 <임신한 앨리슨 래퍼>는 문화적인 재현의 영역에서 오랫동안 배제되고 억압되어온 극단적인 타자성을 탈승화의 방식으로 상징계의 영역에 돌출시킨다. 이로써 본 논문은 퀸의 작업이 추상조각의 순수형식과 선험적인 주체에 비판을 제기하고 몸의정치학과 타자성의 재현 문제를 적극적으로 담론화하는 계기를 마련하였음을 확인한다.

    영어초록

    This paper aims to explore rich and complex implications of Marc Quinn’s Complete Marbles, a series of ten life-size sculptural portraits of amputees and disabled individuals done between 1999 and 2001. Included in the series is the Alison Lapper Pregnant which was installed on the fourth plinth in Trafalgar Square, London, for eighteen months in 2005-2007. As Quinn stated,he was struck by the fact that people admiring the fragmented marble statuary would have the opposite reaction to real people who have missing or deformed limbs. Intending to reveal this ironic gap between art and life,Quinn created the sculptural images of disabled people in the style and medium of classical antiquity and addressed that they are portraits of whole people, not fragments of people.
    Attending on such issues as the part and a whole, the subject and the other, the body and the object that constitute the core meaning of Quinn’s work, I suggest to position his work within the discourse and practice of modern sculpture, and explore its critical and transgressive implications based on two key concepts: ‘partial figure’ and ‘part-object.’ These two concepts respectively relate to the formalist perspective of modern sculpture (emphasizing the evolution from partial figure to pure abstraction) and the anti-formalist intervention in the modern sculptural practice (desublimating the libidinal drive into the abject or formless). Especially for the sculptural adventure into the realm of part-object, I highlight Marcel Duchamp’s erotic objects, such as Please Touch and Erotic Objects, and Louise Bourgeois’morphologically ambivalent sculptures including Janus Fleuri and Fillette.
    This paper situates Quinn’s Complete Marbles and the Fourth Plinth project of Alison Lapper Pregnant within such revised history of modern sculpture. I suggest Quinn’s sculptural portraits have appropriated the elements of partial figure to undermine the logic of abstraction and sublimation, and created a powerful rupture in the symbolic, phallogocentric order by bringing forth the body of the other as part-object. As such, The Complete Marbles has subverted the formalist tradition founded on the idealist notion of wholeness/completeness and activated the anti-formalist impulse to erode the very foundations of normative subjectivit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미술사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4일 목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09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