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頤齋 黃胤錫의 洛學 繼承的 性理說 一攷 (A Study on Hwang Yoon Seok's Theory of Neo-Confucianism with Succession of Nak-Hak)

2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1.12
25P 미리보기
頤齋 黃胤錫의 洛學 繼承的 性理說 一攷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사상문화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사상과 문화 / 60호 / 331 ~ 355페이지
    · 저자명 : 이형성

    초록

    조선의 영⋅정조 시대는 사회⋅경제적으로 안정기에 접어들면서 문예도 발전하였다. 학계는 만물의 본성과 성범(聖凡)에 대한 리기론적(理氣論的) 심층 분석도 있었고, 또한 중국으로부터 새로운 학문과 문물 그리고 서학(西學)이 들어오면서 실질적 학문을 추구하는 경향도 나타났다.
    이재(頤齋) 황윤석(黃胤錫)은 낙하(洛學)을 계승하며 성리학을 구축하였다. 그는 리기론에서 ‘리(理)’와 ‘기(氣)’에 다시 ‘질(質)’을 더하면서 상호 유기적 관계를 모색하였다. ‘질’은 ‘기’에 포함되지만, 사물의 구체성을 설명할 때 원용하곤 하였다. 리기 유기적 관계 속에서 ‘소이연의 리’를 탐구하는 경향이 강하지만, 그 ‘리’는 항상 ‘기’를 타고 발현한다는 것이다. 특히 그는 리기론에서 낙학의 거목 김창흡(金昌翕)의 성리설을 많이 수용하면서 리의 본연적 동일성을 추구하였다.
    황윤석은 리의 본연적 동일성 추구를 통해 심성론에서 ‘성인이나 범인의 본심은 같다[聖凡本心同]’와 ‘사람과 동물의 본성은 같다[人物性同]’는 낙학의 동론을 지지하였다. 다만 범인은 인욕이나 기품에 의해 그 명덕이 엄폐되었으나 기질변화를 통해 그 본심의 영명성을 회복할 수 있다는 전제하에서 성인과 같다는 것이다. 특히 본심의 영명성은 사물의 근거와 본질을 탐구하고자 하는 격물치지(格物致知)로 연결된다. 그의 격물치지는 도덕적 당위성으로써의 윤리도 내포하고 있지만, 궁극적으로는 다양한 학문에서 우리의 실생활에 유용한 것을 추구하려는 박학(博學)을 위한 것이었다. 때문에 심의 영명성에 의한 격물치지 공부는 주체적 목적의식을 지향하도록 하는 것이면서도 박학정신이 깃들어 있는 것이다.

    영어초록

    Hwang Yoon Seok enjoyed his days in the period of King Yeongjo and King Jeongjo. He succeeded Nak-Hak to form his Neo-Confucianism. In his Theory of Ri-Gi (理氣: Principle and Energy), he added Jil (質: Nature and Quality) to look for the organic relation between them. He tended to focus more on studying So-Yi-Yeon (所以然: Principle of the Nature) in the organic relation between Ri and Gi. He, however, argued that such Ri could not be expressed without Gi. Accepting the Theory of Neo-Confucianism formed by Kim Chang Heup, the great master of Nak-Hak, into his Theory of Ri-Gi, he sought the essential homogeneity of Ri.
    Seeking the essential homogeneity of Ri, he supported the Theory of Homogeneity argued by Nak-Hak: 'Great men are as same as ordinary people in genuine mind' and 'Men are as same as animals in nature'. Based on such argument of Smart Nature that great men and ordinary people should be same in genuine mind, he tried to study the basis and essence of things, which pointed straightly to Gyeok-Mul-Chi-Ji (格物致知: To be clearly enlightened of knowledge and get more knowledgeable by studying the principles of things). Studying Gyeok-Mul-Chi-Ji by Smart Nature of mind is to be toward subjective sense of purpose and with the spirit of erudition. His spirit of erudition went to the learning tendency of studying new Chinese learning and culture and furthermore the western learning.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사상과 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59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