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毅菴 柳麟錫의 華西心說 傳承樣相 (The scholastic Background of Yu In-seok)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23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3.05
23P 미리보기
毅菴 柳麟錫의 華西心說 傳承樣相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서대학교 동양고전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방학 / 27호 / 219 ~ 241페이지
    · 저자명 : 박성순

    초록

    위정척사사상과 의병운동의 상징적 존재인 유인석의 활동상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그의 활동을 뒷받침해준 심설의 위상 검토에 대한 연구는 미진한 감이 있었다. 무엇보다도 유인석의 심설이 어떤 갈래에 속하며,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는지를 정확히 밝혀내기 위해서는, 우선 그의 스승인 이항로의 학문적 연원을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선결과제이다.
    이항로의 학통에 관해서는 여러 연구자들이 의견을 개진하였으나, 정확한 진단은 쉽게 찾아볼 수 없었다. 그것은 화서학파가 자임하는 학통과 그들이 견지한 심설이 통념적 견지에서 서로 어울리지 않는 모습을 노정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필자는 본고에서 19세기 심설 논쟁의 전단계인 17·8세기의 호락논쟁의 맥락 속에서 살펴보았을 때, 이항로의 학설은 호론보다는 낙론의 입장에 더 가까운 것임을 논증하였다.
    낙론의 특징은 심성에 대한 기의 제약성보다는 리의 보편성과 우월성을 중시한 것이다. 물욕을 조장하는 器的 측면을 앞세운 서양세력의 접근에 맞서, 기질지성을 용인하는 호론을 갖고서는 도도한 서학의 침투를 막아내기에 역부족이라고 느낀 것이다. 서양 세력이 객관적인 힘의 우위에 서 있는 만큼, 조선이 서양보다 우위에 설 수 있는 방법은 조선이 리라고 하는 자긍심을 유지하는 길뿐이었다. 따라서 리라는 것은 기질지성에 의해서 쉽게 변화될 수 있는 그런 것이 아니라, 遍在性과 主宰性을 갖춘 것이라는 점을 밝힐 필요가 있었다. 그것은 서양 물건을 趨附하는 어리석은 백성들을 교화하고, 조선이 서양보다 도덕적 우위에 설 수 있는 유일하고도 결정적인 수단이라고 생각했던 것이다.
    이와 같은 주리적 심설은 유인석이 위정척사운동에 매진하게 되는 사상적 근거가 되었다. 1861, 2년 사이에 유인석이 이항로에게 여러 가지를 질의한 「問目」을 통해서, 화서학파의 사상사적 갈래와 그들의 지향을 정확히 알 수 있다.

    영어초록

    Yu In-seok is a symbolic hero both in the doctrine of defending orthodoxy and rejecting heterodoxy, and the movement of righteous army. There are much studies of Yu In-seok but much tasks to be solved. It is the study of Simseol that we have to do as of now. Simseol means a theory of watching heart/mind. Through it we can exactly find out the scholastic background of Yu In-seok. For it, first of all, we have to understand the master Yi Hang-no's scholarship.
    Yi Hang-no put the importance on li than chi. Therefore we call his theory of heart/mind Simjuriseol(li-centric theory). Yi Hang-no devised the theory to defend Western Impact. Simjuriseol emphasized human morality than material. Yi Hang-no thought Joseon was a last moral land, the Western was beast without morality, so Joseon would win in the end.
    Yu In-seok started to learn Yi Hang-no's instruction in 1855. Yi Hang-no's li-centric theory became the scholastic base for the doctrine of defending orthodoxy and rejecting heterodoxy of Yu In-seok. So called Munmok, questions note of Yu In-seok in 1861~1862 shows us the contents and goal of Hwseo School.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방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2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