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頤齋 黃胤錫의 出仕 一攷 (A Study on Hwang Yun-seok’s Principles as a Government Official)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3.05
45P 미리보기
頤齋 黃胤錫의 出仕 一攷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공자학회
    · 수록지 정보 : 孔子學 / 24호 / 35 ~ 79페이지
    · 저자명 : 박순철

    초록

    이재(頤齋) 황윤석(黃胤錫)은 조선 영조 5년(1729) 여름 4월 28일에 태어나서 정조 15년( 1791) 4월 17일에 만은재(晩隱齋)의 서별실(西別室)에서 죽으니 향년 63세였다. 그의 호는 이재(頤齋)인데 그 스스로 부친 만은공 서재(書齋)의 벽에 써져 있는 이괘대상(頤卦大象)의 “신언어(愼言語), 절음식(節飮食)”이라는 글귀를 보고 지은 것이다. 이를 통하여 이재 황윤석은 평소에 말을 매우 삼가고 음식을 절제했던 사람임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이재난고(頤齋亂藁)』와 『이재선생문집(頤齋先生文集)』을 저본으로 이재 황윤석의 학문연마와 출사배경, 출사후의 치적을 고찰하여 그의 출사관(出仕觀)의 특징을 밝혔다.
    이재의 과거응시는 부모의 권유와 자신의 포부로 인한 것이었다. 이런 배경 하에서 이재는 학문과 과업의 비율을 10대 3ㆍ4로 조정하여 학문과 과업을 병행하는 방법을 실천하였다. 그의 스승 김원행도 이를 용인하는 입장을 취하여 학문에 소홀하지 않도록 당부를 계속하였다. 이재는 향시 9회, 경시 17회를 볼 만큼 줄기차게 응시하였다. 그가 이처럼 많이 과거시험에 응시한 것은 음보출사에 대한 아쉬움, 부친의 기대와 부모 봉양의 방편, 본인의 포부와 출사행도의 의지 등이 결합된 산물이다.
    음보출사(蔭補出仕) 이후에 여러 관직을 역임하여 직책을 수행할 때는 출사행도의 명분에 맞는 직분을 다하기 위하여 출사와 퇴직을 거듭하면서 격군(格君), 준칙(準則), 청직(淸直), 교화(敎化)와 혜민(惠民), 엄치(嚴治)의 정치를 행하였다. 이재는 선비를 판단하는 커다란 기준의 하나인 학문과 출사의 문제에 대하여 가사가퇴(可仕可退)의 입장을 보였다. 이는 학문과 인격의 수양이 끝난 후, 때를 만나면 나아가 벼슬을 하고 그렇지 않으면 관직에서 물러나 진리를 탐구하며 후진을 가르친다는 입장이다. 이러한 점은 그 스승 김원행(金元行)이 벼슬에 나가지 않고 석담서원(石潭書院)에서 학문을 연구하며 후진을 양성한 사실에 견주어 보면 더욱 큰 이재(頤齋)만의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재는 그의 학문적 바탕 위에서 영․정조 시대를 벼슬할 수 있는 시기로 간주하여 음보출사를 하였고, 출사 후에는 가사(可仕)와 가퇴(可退)의 자세를 견지하면서 사환(仕宦)의 직분을 다하고자 한 출사행도지향형(出仕行道指向型)의 유자(儒者)였다고 평가 할 수 있다.

    영어초록

    Ijae(頤齋) Hwang Yun-seok (黃胤錫) was a scholar who lived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Following his family tradition of studies and father’s teaching, he always showed a modest attitude in speaking, eating and drinking and devoted himself to his studies. He continued his studies under Kim Won-haeng(金元行) in a lecture hall named Seokdamseowon(石潭書院) and also had great interest in learning western studies.
    His preparation for the state examination began early in his life. It was because of his parents’ encouragement and his desire to realize his aspiration. He also focused on practical studies while adjusting his time for learning and working at the rate of 3 or 4 to 10. Kim Won-haeng, who taught him, kept encouraging him to pay attention to his study while admitting such attitude. He took the state exam many times due to several reasons including his dissatisfaction with his low rank in the work, parents’ expectation and his wish to find a way to support his parents and realize his ambition as a government official.
    In this study, I aimed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his view on working as a government official by analyzing his devotion to his studies, background facts for taking the state examination and his achievement as a government official. He repeated working in and resigned from a government post; however, whenever he took up a public office, he always performed his job based on his own principles to support the king to rule properly(格君), emphasize norms(準則), live righteously and honestly(淸直), educate people(敎化), give favor to the people(惠民), and strictly administer public affairs(嚴治). In particular, even when he served the country as a low ranking official, he was never negligent in doing his responsibilities. After retiring from the government position, he continued his study and worked hard to foster the young generation. In conclusion, he was a virtuous figure who always lived by such principles that he would do his best to perform his responsibilities given by whatever government posts.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1:35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