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중 인터넷상에서의 저작권 규제 현상 연구:<소리바다>와 <산미엔샹(三面向)>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gulation of Korean and Chinese On-line Copyright: Centering on the Cases of the and the )

38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08.08
38P 미리보기
한중 인터넷상에서의 저작권 규제 현상 연구:&lt;소리바다&gt;와 &lt;산미엔샹(三面向)&gt;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현대중국학회
    · 수록지 정보 : 현대중국연구 / 10권 / 1호 / 47 ~ 84페이지
    · 저자명 : 강내영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한국과 중국의 인터넷 저작권제도에 나타난 새로운 규제 현상을 고찰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최근 인터넷 저작권제도에 대해 뜨거운 사회적 논쟁과 이슈를 제기한 한국의 <소리바다> 소송과 중국의 <산미엔샹(三面向)> 현상을 연구대상으로 설정했다. <소리바다> 소송은 2002년부터 2007년까지 이어진 한국의 대표적인 인터넷 저작권 분쟁이며, <산미엔샹> 현상은 중국의 한 민간저작권위탁회사가 관행적으로 용인되어왔던 인터넷 학술저작물 무단게재에 대해 저작권침해 소송을 제기하면서 중국사회에 파란을 일으킨 사회현상이다.
    본 연구는 이 두 사건의 소송과정에 참여한 각 주체의 입장을 분석하고, 판결에 영향을 미친 사회요인들을 집중분석함으로써, 최근 한중 양국의 인터넷 저작권제도를 둘러싼 규제 현상을 규명하고자 한다.
    최근 한국과 중국의 인터넷 저작권제도는 상이한 국가체제와 법제화 과정에도 불구하고, 지구화와 개방화 조류 속에 국제저작권기구와 국제협약에 적극 가입하며 국제규범에 맞게 국내 저작권제도를 개정하면서 규제를 강화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인터넷 기술발전에 따라 기존 저작권제도와 충돌양상을 보이고 있는 공통된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인터넷 문화공간은 이용자들의 문화생산과 유통과 소비와 재생산이 쌍방향적으로 진행되는 무한순환구조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최근 한중의 저작권 규제 강화 현상은 인터넷 이용자의 참여와 자유표현을 위축시키며, 국가간 경계를 넘나드는 초국적 문화교류를 저해하고, 트랜스내셔날 시대의 문화순환구조를 위축시킬 수 있는 문제점을 야기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 한국과 중국에서 나타나고 있는 인터넷 저작권 규제 강화 현상은 공유권과의 균형이라는 저작권제도 본연의 기본정신에 맞게 개선되어 나가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ulture regulation in the new cultural phenomena of Korean and Chinese on-line copyright.
    In order to analyze, research cases of the <Soribada> and <Sanmainxiang> at social issue in Korea and China. <Soribada> case represents social issue about on-line copyright from 2002 to 2007 in Korea, <Sanmainxiang> case is a important law-suit about on-line copyright from 2005 to now in China.
    This study research examines cultural regulation of on-line copyright in Korea and China, According to analyze interested parties in progress of cases, and to analyze dominant causes which influence judicial decision.
    Recently, even though different political establishment and law system between Korea and China, They have common phenomena in on-line copyright. Firstly, they positively join international copyright organizations after golobalization and open-market, and drive to reinforce copyright law in order to adjust domestic institution to a global standard. Secondly, according to on-line technology development, be discovered conflicts by copyright law and technology.
    On-line cultural space have feature of infinite circulation which influence mutually in cultural production, flow, consumption, reproduction.
    Reinforcing copyright law is shrinking on-line users’ participation and free expression. force netizens who use blog, UCC, Cafe etc. to copyright lawsuits. And hold transnational culture interchange.
    therefore, present copyright law has to improve that balance between public use and protection in copyright law. I hope this comparative research will provide a clue for copyright culture regulation in east-asia.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현대중국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1월 29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7:57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