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티엔친신(田沁鑫)의 <생사장(生死場)> 각색 공연 연구 (A Study on Tian Qinxin’s Adapted Stage of The field of Life and Death)

37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21.11
37P 미리보기
티엔친신(田沁鑫)의 &lt;생사장(生死場)&gt; 각색 공연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양대학교 동아시아문화연구소
    · 수록지 정보 : 동아시아문화연구 / 87호 / 133 ~ 169페이지
    · 저자명 : 오수경

    초록

    티엔친신(田沁鑫, 1968- )은 2005년 처음 제1회 아시아연출가워크숍 레지던시 프로그램에 참가하여 한국판 <생사장>을 공연하며 한국과의 인연을 맺기 시작하여, 2006년 극단 미추 <조씨고아> 한국판, 2009년 베세토연극제 곤극 <1699도화선>, 2010년 Theatre Olympics의 <붉은 장미 흰 장미> 유행판, 그리고 2012년 한중 수교 20주년 기념 국립극단 <로미오와 줄리엣> 등, 한국에 가장 많이 드나들며 작품 활동을 한 중국 연출가이다. 지금 국가화극원 원장으로 중국 최고 연출가 중의 하나인 티엔친신의 연출 이력에서 한국의 작업이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 또 우리 무대에는 어떠한 영향을 남겼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그 연구의 일환으로 본문에서는 그가 2005년 처음 내한하여 만든 한국판 <생사장>을 주 대상으로 삼아, 각색의 의미 및 그녀의 무대미학에 대하여 살피고자 한다.
    원작은 1935년 동북 지역 출신 여성 작가 샤오훙(蕭紅, 1911-1942, 본명 張乃瑩)이 24세에 발표한 유명한 산문식 소설이다. 스스로 봉건 체제의 억압으로부터 뛰쳐나와 독립적인 삶을 추구하며 여성 타자로 온갖 고난을 겪었던 작가로서, <생사장>을 통해 봉건 체제하 동북 시골 사람들의 삶의 곤경과 특히 여성이 겪는 젠더 비극의 적층적 고난을 적나라하게 그려내는 동시에, 동북 지역의 시대적 당위였던 항일 서사로 나아간다. 산문적 구성과 거친 필치를 통해 주류 문학에 대한 저항을 표출하였다.
    1999년 티엔친신이 이 소설을 각색하여, 사실주의 일색의 중국 주류 연극 무대에 표현주의를 더한 강렬한 이미지로 항일연극 <생사장>을 연출해내며, 중국 주선율 연극 무대에 새바람을 일으켰다. 그 해 제6회 중국예술제 대상, 차오위희곡상 등을 휩쓸었다. 다만 그녀가 소설을 연극으로 각색하면서 원작의 여성 문제를 약화시키고 주선율 항일극으로 단순화시킨 점은 다소 아쉬운 부분이다.
    그 후 2005년 서울에 와서 한국판 소극장 연극 <생사장>을 다시 각색 연출하였는데, 한국판은 인간의 삶과 죽음에 대한 원작의 통찰과 의지가 약화되지 않도록, 항일 거대 서사보다 원작의 생명에 대한 보편적 의지에 초점을 맞춘 서사극적 처리로 관점을 이동하였다. 원작이 지닌 동아시아 봉건적 전근대의 시대적이고 지역적인 상황과 산문적 구성의 거친 질감을 적절히 살린 무대는 찬사를 받을 만했다. 특히 한국 무대에서 보여준 소극장 연극의 탄력성과 서사극적 효과는 중국판의 항일 주선율 연극에 비해 샤오훙의 <생사장>이 그 시대를 고발하고 비판하며 새로운 각성을 끌어내고자 하였던 의도를 살리는데 효과적이었으며, 그녀에 대한 경의를 표하는데 부족함이 없었다. 그녀는 한국 배우들의 탄력성과 직접 인물로 진입할 수 있는 자질을 발견, 활용하였고, 한편 한국 배우들은 그녀가 전통극 무대 미학에 기초하여 구축하는 신체 이미지와 무대의 리듬감 조절 등을 경험하는 기회였다. 티엔친신의 표현주의 주선율 무대가 한국판에서는 더욱 자유로워지면서 생로병사의 본질을 사유하는 연극으로 의미를 더한 데에 한국판 <생사장>의 의의가 있다.

    영어초록

    Tian Qinxin(田沁鑫, 1968- ) participated the 1st Asian Directors Workshop (Residency progrem), 2005, and directed re-adapted Korean version The field of Life and Death. After that she continued the relationship with Korean Stages, such as The Orphan of Zhao with Theatre company Michoo(2006), 1699, The Fan of Peach Blossom of Beseto Theater Festival(2009), Red Rose, White Rose of Theatre Olympics(2010), Romeo and Juliet of The National Theater Company of Korea(2012). She became the most famous director in Korea an now she is the Art director of National theatre of China. We need to think about what her career in Korea means to her artistic world and to Korean stage. In this paper, I try to study over her adaptation and stage work of The field of Life and Death.
    The original novel The field of Life and Death was written by Xiao Hong(蕭紅, 1911-1942), a famous woman writer from Northeast Province, at her age 24(1935). She attended a girl’s school and became politically liberal. To avoid the forced marriage, she fled to Harbin and lived a bitter life, at the end, she was remained pregnant and homeless. She carried the birth by her self and put the baby up for adoption. She described the difficulties of country life of the feudal society, especially the gender tragedy, additive hardships of women, and developped the story into the Anti Japan narrative, which was the demand of the times as a writer of Northeast province. She also expressed the resistance on the mainstream literature by prosematic structure and very rough style.
    In 1999, Tian Qinxin adapted the novel into a anti-Japan story drama and directed a powerful expressive stage based on Chinese realism dramatrugy. This new attempt invoked a new wind on normal main stream realism drama and got all the awards of that year. On the other hand, her adaption weakened the strong spirit of gender tragedy and simplified the diverse narratives in the novel to main stream anti-Japan narrative.
    In 2005, she visited for 1 month to participate the 1st Asian Directors Workshop. She adapted the play for Arko Blackbox Theatre and Korean actors for 3 days. In Seoul, she found the main stream realism anti-Japan narrative was no more valid, so she re-focused to the insight of the idea and attitude on human life and death of the original novel by epic theatre. Also her stage presented the temperal and regional contexts of feudal East Asia and rough texture of prosematic structure of original novel by the way of physical theatre. Tian was content with Korean actors’ flexibility to in and out of the character anytime and Korean actors also said useful to experience Chinese traditional way of making image with body and the way of rythum control. Tian’s Korean stage became free and deepened in reasoning the essence of life and death. The encounter of Chinese director and Korean actors through the stage of The Field of Life and Death, gave both very helpful experienc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동아시아문화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6:08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