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중학생이 인식하는 특성화 고등학교 이미지 분석 (Image analysis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recognized by middle school student)

22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2 최종저작일 2013.09
22P 미리보기
중학생이 인식하는 특성화 고등학교 이미지 분석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대한공업교육학회
    · 수록지 정보 : 대한공업교육학회지 / 38권 / 2호 / 114 ~ 135페이지
    · 저자명 : 김영훈, 김태훈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배경 변인에 따른 특성화고의 이미지를 조사하여 특성화고에 대한 인식을 확인함으로써, 특성화고의 올바른 인식 확대 방안 및 발전방안 마련에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연구의 모집단은 전국 중학교 3학년 학생이며, 2012년 교육통계연보를 기준으로하였다. 협조를 허락해주신 학교를 대상으로 편의표집을 통한 학급 선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50개의 학교에 3학년 한 학급씩을 선정하였다.
    자료의 수집을 위한 조사 도구로는 Osgood(1957)이 제안한 의미분별법을 사용하여 최종적으로 11개의 형용사 군을 선정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방문과 우편을 통하여 이루어졌고, 총 1,441매의 설문지가 배포되어 그 중 1,198매가 회수되어 83.14%의 회수율을 나타냈으며, 이 중 불성실한 응답을 제외한 935매의 설문지가 분석에활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 Statistic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때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성별에 따른 특성화고 이미지의 평균은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긍정적이었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11개 항목 중에서 5개 항목에서만 나타났다.
    둘째,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 진로 교육을 받은 학생은 20%에 불과하였다. 보다빠른 진로에 대한 탐색과 적성에 맞는 진로 결정이 이루어지기 위하여 중학교 단계에서부터 진로 교육이 제대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특성화 고등학교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의 이미지가 다른 고교 진학을 희망한 학생보다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하여 9개 항목에서 긍정적인 이미지를 가지고있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진로 교육 유무별 특성화고 이미지 차이에서도 8개의 항목에서 유의미한차이가 나타났는데,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 진로 교육이 확대될 필요성이 있음을나타내는 것이다.
    다섯째,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 인지의 차이에 따른 특성화고 이미지 차이에서는7개 항목에서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하여 잘 알고 있을수록 특성화 고등학교에 대한이미지가 긍정적이었다. 이는 진로 교육이나 홍보 활동을 통하여 특성화 고등학교에대한 인식의 폭을 증대시켰을 때, 그에 따른 효과가 긍정적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영어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base line data for right concept and identity establishment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o identify recognition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o analyze imag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recognized by middle school student.
    The population was all middle school third year students in Korea. Using random sampling technique, 50 classes of 61 schools were sampled for the study. A survey questionnaire used Semantic Differential(SD) suggested by Osgood(1957). SD consisted of a number of adjective pairs, finally, this study used 11 adjective pairs to have validity. 1,198 out of 1,441 questionnaire were returned (a return rate of 83.14%),among which 935 were used for the analysis after data cleaning. An alpha level of 0.05 was established a prior for determining significance. All data analysis was accomplished using the SPSS 20.0 Win.
    Based on the finding of the study, the major results of the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Higher average is female students’ imag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an male students’ that, b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sample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2. It was only 20% that receive career education of Vocational high school. It is necessary to accomplish and expand career education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for proper career education from middle school, to realize career exploration and decide one's career path based on one's specialty.
    3. They have positive images who hope for going on to the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of education than the others.
    4. It is necessary to accomplish and expand career education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for proper career education from middle school, to realize career exploration and decide one's career path based on one's specialty, because the resul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5. They have the more possitive imag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 the more know it, totally.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대한공업교육학회지”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2일 토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10:34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