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한의학에서의 생명관 (Study o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View of Life)

한국학술지에서 제공하는 국내 최고 수준의 학술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다양한 논문과 학술지 정보를 만나보세요.
44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0.08
44P 미리보기
한의학에서의 생명관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원불교사상연구원
    · 수록지 정보 :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 / 45호 / 119 ~ 162페이지
    · 저자명 : 손인철

    초록

    의학(醫學)은 생명을 대상으로 하며, 사람을 질병으로부터 구하고 건강을 유지시켜 편안한 삶을 누리도록 하는 학문이다. 그러나 생명을 바라보는 관점과 질병을 일으키는 원인을 무엇으로 보느냐에 따라 치료 방법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 이에 이 글에서는 한의학은 어떠한 생명관에 근거하고 있는지, 또한 한의학의 생명관의 특징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서양의학은 질병의 원인을 주로 외부적인 인자, 곧 세균이나 바이러스 등으로 보기 때문에 치료방법도 이러한 것을 제거하는 데에 치중해 왔다. 이에 반하여 한의학은 질병의 발생요인을 주로 사람의 기력, 즉 정기(正氣)가 허하여 외부의 질병요인을 방어하지 못하는 것으로 보아 왔다. 또한 질병의 발생을 단순히 몸의 일부분에 국한된 이상으로만 보지 않고, 몸 전체의 생리적인 불균형 부조화로 파악하였다. 따라서 질병치료 역시 외부의 발병요인의 제거보다는 인체에 내재한 자연치유력의 회복과 불균형 상태를 조화롭게 만드는 것을 중시하였다.
    이러한 질병관은 생명을 바라보는 관점에서 출발하는 것으로 서양의학은 해부학의 발달과 서양철학의 사상에 근거하여 인체를 자연으로부터 독립된 개체와 세포단위의 물질적 구성으로 보았으며, 생명체를 세포·조직·기관이라는 유기적 관계 속에 이해하여 생명의 기본단위를 세포로 인식하였다. 반면, 한의학은 동양의 고대 철학 사상에 근본하여 인간과 자연의 상관성을 중시하고, 우주 자연의 원리인 음양오행설을 이론의 기초로 하여 인체 장부경락의 생리병리를 우주자연과 상응하는 관점에서 이해하여 왔다.
    한의학에서는 생명을 인체와 자연이 하나의 기운으로 통하는 천인상응(天人相應)에 바탕한 기(氣)를 중심으로 이해하고, 그 관점에서 인체의 구조와 생명현상을 정기신(精氣神)의 유기체 차원에서 파악하였다. 이들은 상호의존하면서 내(內)로는 음양의 평형을 유지하고, 외(外)로는 천지지연과 조화를 이루면서 상호상제의 관계에 의해 물질 기능 형상의 상호 관련성과 불가분의 통일성으로 생명현상을 발휘하게 된다. 그리하여 생사의 문제를 직선적이고 수평적인 개념이 아닌 음양론과 오행론을 통한 변화와 순환의 현상으로 한의학적 생명관을 완성하게 된다.
    생명의 단위를 세포로 인식하여 생명현상을 개체에 국한하는 현대 생명과학의 관점과 원기(原氣)를 바탕으로 자연과 개체의 관계까지 생명현상으로 이해하는 천인상응의 한의학적 관점은 현대 사회에서 음양의 관계처럼 공존하며 상대한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에 인체를 보는 관점에서 어느 한쪽으로 편중된 시각에서 벗어나 존재 자체로서 뚜렷한 전체생명을 보도록 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이며, 현대생명과학과 한의학 분야가 서로 배타적인 관계가 아닌 상호 보완적인 역할로 생명과 인간의 건강에 대한 책무를 다해야 한다고 본다.

    영어초록

    Medicine is the scientific study of human beings to diagnose, treat or prevent disease, which ultimately aims to give people good and healthy life. However, treatment approaches differ a lot depending on understanding of the human body and the cause of disease. In this study, I attempt to explore the traditional Korean medicine view of life and the fundamental difference in the perspective on life betwee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nd western medicine.
    In western medicine, disease is thought to be caused by one or more pathogenetic factors such as bacteria or virus, and thus, the main focus of the treatment is eradication of these external pathogens. I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on the contrary, disease is regarded to develop as a result of lack of inner energy(Qi) that defends against pathogenetic factors, and it is also regarded as deviation from the balanced state of whole body function rather than abnormality limited to a particular part of body. Therefore, traditional medicine treatment focuses on reinforcing inner energy(Qi) and restoring the balanced state.
    Such substantially different perspectives on the cause of disease between western and traditional medicine stem from fundamentally different view of human body. Based on the development of anatomy and western philosophies, western medicine views human body as independent from nature and composed of cells focusing on material composition of human body. In contrast, traditional medicine is based on eastern philosophies that emphasize inseparable unity between human and nature, and it approaches the human body function based on Yin and Yang and five element theories which are essential principles of nature.
    In traditional medicine, human body is considered as a small universe with interconnected system of Jing(essence), Qi(energy) and Shen(spirit). The system works in balance to maintain healthy function of human body, having balance between Yin and Yang within him or herself and harmony with the natural environment outside the body. This viewpoint approach life as circular and changing phenomenon compared to western medicine that view life as linear and constant phenomenon.
    All in all, these different perspectives on life of western medicine and traditional medicine coexist as Yin and Yang in modern society. Therefore, we need to approach life as it is through utilizing merits of both perspectives, and modern biomedical science and traditional medicine should develop complementary relationship rather than exclusive relationship for better healthcare.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원불교사상과 종교문화”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찾으시던 자료가 아닌가요?

지금 보는 자료와 연관되어 있어요!
왼쪽 화살표
오른쪽 화살표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 전문가요청 배너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10월 19일 일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31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