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브랜드화를 위한 양식장 수조색에 따른 넙치 치어의 체색변화 연구 - 체색 넙치양식을 통한 브랜드화를 중심으로 - (Research on Changes in Body Colors of Young Flatfish in accordance to the Color of Fish Tanks at a Fish Farm for Brand Marketing - Focusing on Brand Marketing through Flatfish FarmingUtilizing Body Co)

10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13.03
10P 미리보기
브랜드화를 위한 양식장 수조색에 따른 넙치 치어의 체색변화 연구 - 체색 넙치양식을 통한 브랜드화를 중심으로 -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 수록지 정보 : 브랜드디자인학연구 / 11권 / 1호 / 175 ~ 184페이지
    · 저자명 : 고경란, 박연선

    초록

    속도와 경쟁사회의 21세기 디지털 정보화시대에서 사람들 은 신체적·정신적 안정과 풍요를 추구하고 여유로움을 갈망 한다. 이른바 웰빙 문화는 근본적으로 몸과 마음이 건강하고 자신이 추구하는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최근 들어 소 비자들의 보다 안전한 먹거리를 찾는 이유에서 비롯된다. 한 국인이 가장 즐겨 찾는 넙치는 지난 1980년대 중반 제주지역 에 넙치양식이 처음으로 도입된 이후 지속적인 성장을 거듭 하여 왔으며 그 결과 연간 조수입이 3,000억 원에 달할 정도 로 성장하였다.
    본 연구는 제주지역의 1차 산업 중에서도 규모가 큰 양식 어류의 성장에 있어 양식장의 수조 색을 이용한 체색변화를 연구하였다. 또한 수조색이 어류의 생리 및 색채본능에 미치 는 영향을 파악하여 소비자들의 식품소비 형태에 맞춰 보다 친환경적인 생육조건을 찾아보고 다른 지역과 달리 청정 지 하해수를 활용한 제주 넙치의 브랜드화를 위한 산업적 응용 이 가능한지에 대한 중요도를 알아보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4개의 수조에 Gray (청회색), Black(검정), White(흰색), Sand(모래)를 각 수조에 도색하고 부화 30일째 된 넙치 치어(몸길이 약 16mm) 100마리씩을 조건별로 분주하여 90일 동안 사육한 결과 수조 색에 따른 어류의 체색변화를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양식장 수조 는넙치양식에다음과같은시사점을줄수있다. 첫째, 수조 색에 따른 주위의 명암이 변하면 넙치의 체색은 그 명암에 상 응(相應)하여 안전과 위험을 구분하는 색채를 인지하고 눈을 통해 체색을 변화시킨다는 점이다. 둘째, 실험에서 넙치치어 를4가지수조색에서사육한결과수조색과거의흡사한체 색변화가 있었다. 셋째, 수조색 4가지(청회색, 검정, 흰색, 모 래)중에 가는 모래를 수조에 깔았던 실험구의 체색변화가 색 상, 톤, 넙치의 무늬모양 등이 자연산 넙치와 아주 흡사하였 다. 이는 다시 말해, 소비자가 접한 상품에 제주넙치에 브랜 드 구축이 가능하며 양식에 있어 수조 색을 기초한 새로운 경 쟁력에 유효한 효과적인 방법이 검색되어져야 하겠다. 결국, 양식어류들에게 있어서 어류의 생리 및 색채본능에 대한 다 양한 영역과 산업적 측면에서 응용연구가 무엇보다도 중요하 다는 것을 인식하고 수산물 소비시장 확대와 제주수산식품의 대외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보다 폭넓고 다양한 연구가 이 루어져야 할 것이다.

    영어초록

    In the 21st Century digital Information Age of speed a nd competition, people pursue physical and mental stabilit y and prosperity, and long for a more life. The goal of the so-called "well-being culture" is to have a healthy body and mind and an enhanced quality of life. The recent con sumer trend seeking safer food stems from this culture. Among these food items, flatfish has been most frequentl y consumed in Korea. Flatfish farming was introduced in Jeju in the mid 1980s. Since then, it has grown continuou sly to reach $277million USD of annual gross income.
    This research was conducted on hatchery fish which ha s a large part in the primary industry of Jeju. It studied changes in body colors of hatchery fish using the color of fish tanks at a fish farm. Also, it figured out the influe nce of fish tank colors on physiology and color instincts of fish to seek more environmentally-friendly growing co nditions in accordance to the consumer behavior of food consumption. In addition, it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plausible industrial application for brand marketing of uni que Jeju flatfish using clean ground seawater.
    In this research, 4 fish tanks were made and one of 4col ors- Gray, Black, White, and Sand-was painted on each fish tank. 100 young flatfish (approximately 16 mm of bo dy size)were put in each fish tank for 90 days, 30 days after they hatched. It examined the body color changes of fish in accordance to the color of fish tanks. This researc h has drawn some implications as follows. First, if the bri ghtness changes in accordance to fish tank colors, flatfis h responded to it distinguishing between safety and dang er through their color instincts, or vision, and changed th eir body color. Second, when young flatfish were grown in 4color fish tanks, they changed their body color in acc ordance to fish tank colors. Third, the flatfish in a fish ta nk where fine sand was laid showed similar body color tone and pattern to those in a natural setting. It indicates that the brand image build-up of Jeju flatfish as the worl d’s leading product is possible. Also, the search for the ef fective method forcompetitive flatfish farming based on fi sh tank colors is necessary. Therefore, the importance of applicationresearch in various fields and industries on ph ysiology and color instincts of fish in fish farming should be recognized. Moreover, relevant extensive research to expand the fishery product market and secure competitiv eness of Jeju fishery products should be conduct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브랜드디자인학연구”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33 오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