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 AI글쓰기 2.1 업데이트
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식민지 영화의 내셔널리티와 '향토색' - 1930년대 후반 조선영화 담론 연구 (The nationality and locality of the Korean film in the colonial period: The study of chsun film discourse in the late 1930's)

26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04.08
26P 미리보기
식민지 영화의 내셔널리티와 '향토색' - 1930년대 후반 조선영화 담론 연구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상허학회
    · 수록지 정보 : 상허학보 / 13권 / 363 ~ 388페이지
    · 저자명 : 이화진

    초록

    이 논문은 1930년대 후반 조선영화 담론을 통해 조선영화가 ‘조선적인 것’으로서 농촌 공간을 적극적으로 재현함으로써 영화 시장에서 자기 영역을 확보하고, 조선의 문화와 예술의 한 분야로서 자기 위상을 정립하고자 시도했으며, 또 한편으로 식민지의 민족 이야기를 제공했음을 밝히고자 했다.
    조선에서 영화제도가 형성되고 조선영화가 이론화되는 1930년대 후반 영화제작인들은 구미 외국영화나 일본영화와 구별되는 것으로서 조선영화의 입지를 확보하고, 미학적이고 기술적인 측면에서 조선영화의 후진성을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조선적인 것’을 재현하고자 했다. 또한 저널리즘과 문화 엘리트들은 「아리랑」(1926), 「임자 없는 나룻배」(1932), 「나그네」(1937) 등을 ‘민족적이고 대중적인’ 조선영화의 모범적 사례로 선택하고 매체를 통해 이 목록을 대중적으로 유포함으로써, 이 영화들에서 재현되었던 ‘조선적인 것’을 문화상품인 동시에 일정한 윤리적․미적 가치를 갖는 것으로 구성해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조선적인 것’이란 조선영화를 고급한 문화상품일 뿐만 아니라 조선의 중요한 문화 예술의 일부이게 하는 것으로 기대되었다.
    영화에서 ‘조선적인 것’은 주로 농촌이라는 특수한 공간을 통해서 재현되었다. 조선영화에서 농촌은 원시적이고, 가난하고, 낙후되고, 미개한 공간으로 담론화된다. 반복적으로 재현된 가난과 겁탈, 살인 모티프들이 울분과 비애라는 감정적 차원에 호소함으로써 농촌의 구체적인 쟁점들은 ‘향토색’이라는 이데올로기적인 문화 담론 속으로 밀려나 버렸다. 이렇게 해서 1930년대 후반의 조선영화 담론은 제국과 식민지 사이의 관계를 도시와 농촌의 공간적 위계를 통해 상상하고, 그 속에서 식민지인의 민족 이야기를 구성해내는 데 기여했다.

    영어초록

    Through the ‘chsun film(朝鮮映畵)’ discourse in the late 1930’s, this study examines that the chsun film, on the one hand, tried to achieve its domain in the film market and establish its position in the culture and the art, on the other, provided the ethnic narrative of the colonized.
    In the late 1930’s, the filmmakers made a positive attempt to represent ‘the chsun’, which made the difference between the chsun film and the others, with intent to overcome the backwardness in the aesthetic and the technique. The journalism and the culture elites chose the films such as 「Arirang(아리랑)」(1926), 「The ferryboat without the ferryman(임자 없는 나룻배)」(1932) and 「The wanderer(나그네)」(1937) as the standard chsun film. And they circulated that list of the standard chsun films through the mass media. Thus ‘the chsun’ represented in those films could constitute the chsun film which included the ethical and the aesthetic value. They expected ‘the chsun’ to make the chsun film the culture product as well as the major part of the culture in Korea.
    The ‘rural communities’ were represented as the colonial chsun in those films. That might be the discursive space, supposed as the primitive, poor, backward region. The poverty, rape and murder motives appealed to people’s emotion so that “the locality” as the ideological culture discourse could appropriate the agrarian concrete issues. Thus the ‘chsun film’ discourse in the late 1930’s might not only imag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Japanese empire and the colony through the disparity between the urban and the rural communities, but also make up the ethnic narrative of the colonized.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허학보”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20년의 운영 노하우를 이용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AI가 방대한 정보를 재가공하여, 최적의 목차와 내용을 자동으로 만들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이용권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9월 03일 수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3:20 오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