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TNER
검증된 파트너 제휴사 자료

성희롱의 법적 판단기준과 피해의미의 딜레마: 법/경험의 틈새를 성찰하는‘피해자’관점을 중심으로 (Legal Judgment of Sexual Harassment and the Meaning of Victimhood: Perspectives of Victims from between the Law and Experience)

35 페이지
기타파일
최초등록일 2025.05.21 최종저작일 2008.09
35P 미리보기
성희롱의 법적 판단기준과 피해의미의 딜레마: 법/경험의 틈새를 성찰하는‘피해자’관점을 중심으로
  • 미리보기

    서지정보

    · 발행기관 : 한국여성학회
    · 수록지 정보 : 한국여성학 / 24권 / 3호 / 111 ~ 145페이지
    · 저자명 : 변혜정

    초록

    본 연구는 판단자들의 관점에 따라 성희롱에 대한 판단 기준과 범위가 모호해지는 현실에 대한 문제 제기이다. 특히 피해자의 경험을 고려하지 않는 ‘의사에 반함, 성적 언동, 성적 모욕감’이라는 법적 판단기준들을 문제화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법적 판단 기준들과 피해자의 경험이 어떻게 만나는지를 분석한다. 성희롱 시정권고 결정례, 기각 사례, 그리고 피해자들의 성희롱 피해의미와의 비교분석은 성희롱 법적 판단기준과 피해자들이 주장하는 성희롱 피해의미의 틈새를 가시화할 수 있다.
    피해자들은 ‘의사에 반한 성적 언동’을 즉각적으로 성희롱으로 문제화하기보다 복잡한 자기 해석 과정을 통해 피해의미를 구성한다. 피해자들은 공적 관계에서 성별, 나이, 지위, 섹슈얼리티 규범 등에 따른 차별적인 성적 언동을 문제화한다.
    그러나 ‘있어서는 안 되는 성적 언동’도 성희롱으로 해석 한다. 이는 의도하지 않
    게 여성성 보호, 공적 관계의 무성적인(asexual) 성규범 유지를 강화할 수 있다.
    그러나 법적 판단은 신뢰성 부족을 이유로 피해자들이 말하는 고통을 성희롱으로 인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법이 성희롱이라고 생각하는 것’만 성희롱으로 판단한다. 이는 법이 성희롱의 발생 맥락과 피해자의 다양한 해석 과정을 이해하지 못할 뿐 아니라 무엇을 보장하는지를 분석할 수 있다. 특히 보조 사례인 가해 행위자들의 진술 분석에서도 이러한 사실이 드러난다. 이것은 성희롱 판단자들의 ‘피해자 관점’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요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희롱 행위에 대한 피해자의 대응이나 감정 등은 단일하지 않지만, 차이에 따른 성규범에 근거한 일상의 자연스러운 관계 형성으로 피해자의 거부의 어려움과 고통을 설명하고 있다. 특히 행위자, 피해자, 판단자의 ‘일방적 성적 언동과 모욕감의 관계’에 대한 해석의 혼란를 성찰하여 ‘피해자 관점’의 재구성을 제안한다.
    결국 성희롱은 피해자의 다양한 피해를 만들어내는 맥락에 대한 이해와 공적관계에서의 성적인 평등을 근거로, 일방적이고 차별적인 성적 언동을 할 수 있는 일상의 권력 관계에 대한 문제화이다. 그러므로 성희롱 명명의 정치학에 대한 이해를 통해 성희롱의 의미는 명확해지고 동시에 변화될 수 있다.

    영어초록

    This paper raises questions regarding the condition under which the basis
    and extent of the definition of sexual harassment is allowed to vary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he individual who passes judgment. In particular, this
    research looks into the legal bases for judgment, including the process of
    definition of the concepts “being against the person’s will”, “sexual remarks
    and/or actions”, and “a sense of sexual indignity”. It further analyzes how
    these legal bases impact the meaning of victimhood for sexual assault
    survivors. A comparative analysis of examples of legal cases or judicial
    decisions, dismissals, and the experience of victims may shed light on the
    link between the legal basis of judgments on sexual harassment and the
    meaning of victimhood.
    Victims facing “sexual remarks and/or actions” seem to undergo a
    complex process of to construct the meaning of their victimization, rather
    than immediately recognizing it as a sexual harassment. The victims may
    raise the issue of violation of equal rights when conventional gender roles
    are manifested in the form of sexual remarks and/or actions in a public
    relationship. However, some victims accept unlawful behaviors with a sense
    of humiliation, which may help to reinforce existing social norms about the protection of femininity and the assumed asexuality of public relationships.
    On the grounds of a lack of credibility, South Korean courts often
    dismiss victims’ testimony of pain. The courts tend to adhere to a narrow
    legal definition of sexual harassment which fails to take into account the
    context in which the sexual assault occurs and the range of individual
    interpretations of that experience by the victims. This demonstrates as well
    the limits of the protection provided by the law. Support for this argument
    is provided by an analysis of statements made by perpetrators as a
    supplementary case study.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establish that
    when passing judgment on sexual harassment,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perspectives of the victims must be considered.
    Although the reactions and experiences demonstrated by the victims are
    not uniform, this research explains the universal difficulty of standing up
    to sexual harassment and the pain victims face due to the personal and
    gender relationships that they have with their assaulter. In particular, it
    suggests a restructuring of the definition of “perspectives of the victims”
    based on an examination of the at times seemingly arbitrary interpretations
    of sexual norms and gender equality put forth by the perpetrators, victims,
    and judges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unilateral sexual remarks
    and/or actions and the sense of humiliation.
    In the end, sexual harassment is an issue raised on the grounds of gender
    equality in a public relationship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diverse
    experiences of the victims against a backdrop of a gendered reality that
    condones unpleasant sexual remarks and/or actions. Therefore, the implications of sexual harassment can be more clearly identified and then amended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politics of defining sexual harassment.

    참고자료

    · 없음
  •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해피캠퍼스 FAQ 더보기

    꼭 알아주세요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 다른 자료와 70% 이상 내용이 일치하는 경우 (중복임을 확인할 수 있는 근거 필요함) 인터넷의 다른 사이트, 연구기관, 학교, 서적 등의 자료를 도용한 경우 자료의 설명과 실제 자료의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한국여성학”의 다른 논문도 확인해 보세요!

문서 초안을 생성해주는 EasyAI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의 방대한 자료 중에서 선별하여 당신만의 초안을 만들어주는 EasyAI 입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작업을 도와드립니다.
- 주제만 입력하면 목차부터 본문내용까지 자동 생성해 드립니다.
- 장문의 콘텐츠를 쉽고 빠르게 작성해 드립니다.
- 스토어에서 무료 캐시를 계정별로 1회 발급 받을 수 있습니다. 지금 바로 체험해 보세요!
이런 주제들을 입력해 보세요.
- 유아에게 적합한 문학작품의 기준과 특성
- 한국인의 가치관 중에서 정신적 가치관을 이루는 것들을 문화적 문법으로 정리하고, 현대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과 사고를 비교하여 자신의 의견으로 기술하세요
- 작별인사 독후감
해캠 AI 챗봇과 대화하기
챗봇으로 간편하게 상담해보세요.
2025년 08월 05일 화요일
AI 챗봇
안녕하세요. 해피캠퍼스 AI 챗봇입니다. 무엇이 궁금하신가요?
4:54 오전